목차
1. 1777년 ~ 1885년
2. 1886년 ~ 1910년
3. 1910년 ~ 1930년
4. 2차 세계대전 이후
5. 음악학의 시원으로 다시 돌아와서
2. 1886년 ~ 1910년
3. 1910년 ~ 1930년
4. 2차 세계대전 이후
5. 음악학의 시원으로 다시 돌아와서
본문내용
고 있으며 반면에 음향학, 생리학, 음악심리학, 음악사회학, 음악교육학, 음악철학, 음악미학, 음악인류학, 악기제작, 음악비평, 음악치료학 등이 후자에 대표적으로 포함된다.
5. 음악학의 시원으로 다시 돌아와서
음악학은 이미 고대에서 출발.
서양음악학의 기초는 피타고라스로부터 유클리드에 이르는 200년 사이에 완성
1) 피타고라스
수학과 물리학, 천문학과의 연계 속에서 음계론을 펼침.
음향학, 선율론등을 포함하므로 음악학의 역사적 갈래와 체계적 갈래의 모태가 됨.
2) 플라톤
국가론을 통해 음악의 가치에 대한 논의를 전개함으로 음악미학의 시작을 선언
사유체계는 음악 철학의 발전에 초석.
이상국가의 이상시민 교육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음악교육학의 시원이 되기도 함.
음악과 국가의 관계를 설명하는 대목들은 또한 음악사회학의 태동이 됨.
3) 아리스토텔레스
본인의 이론에 역사성을 부여하는 음악사학자.
사람이 노화 할수록 음악의 절대적 윤리가 아닌 상대적 윤리가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한 음악 생리학자이자, 음악윤리학자.
음악 고문헌학에 일익을 담당.
주변 국가들의 음악적 관습을 비교, 비교음악학의 시초.
4) 아리스토크세누스
지각되는 대상에만 음악적 탐구의 한계를 두어야 한다고 주장
인간의 지각과 인지, 기억능력 등에 근거를 둔 것은 그를 음악심리학의 시조로 일컫게 됨.
5) 유클리드
가장 객관적인 방법으로 그리이스 음악의 기본바탕이 되는 음계의 대완적 체계(Greater Perfect System)를 가장 명백한 방법으로 드러내려 함.
그래프와 숫자로 어려운 개념들을 객관화
5. 음악학의 시원으로 다시 돌아와서
음악학은 이미 고대에서 출발.
서양음악학의 기초는 피타고라스로부터 유클리드에 이르는 200년 사이에 완성
1) 피타고라스
수학과 물리학, 천문학과의 연계 속에서 음계론을 펼침.
음향학, 선율론등을 포함하므로 음악학의 역사적 갈래와 체계적 갈래의 모태가 됨.
2) 플라톤
국가론을 통해 음악의 가치에 대한 논의를 전개함으로 음악미학의 시작을 선언
사유체계는 음악 철학의 발전에 초석.
이상국가의 이상시민 교육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음악교육학의 시원이 되기도 함.
음악과 국가의 관계를 설명하는 대목들은 또한 음악사회학의 태동이 됨.
3) 아리스토텔레스
본인의 이론에 역사성을 부여하는 음악사학자.
사람이 노화 할수록 음악의 절대적 윤리가 아닌 상대적 윤리가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한 음악 생리학자이자, 음악윤리학자.
음악 고문헌학에 일익을 담당.
주변 국가들의 음악적 관습을 비교, 비교음악학의 시초.
4) 아리스토크세누스
지각되는 대상에만 음악적 탐구의 한계를 두어야 한다고 주장
인간의 지각과 인지, 기억능력 등에 근거를 둔 것은 그를 음악심리학의 시조로 일컫게 됨.
5) 유클리드
가장 객관적인 방법으로 그리이스 음악의 기본바탕이 되는 음계의 대완적 체계(Greater Perfect System)를 가장 명백한 방법으로 드러내려 함.
그래프와 숫자로 어려운 개념들을 객관화
추천자료
한국의 근대 누드화
한국 근대 여성화단 30년에 대한 연구
서유럽 근대국가의 성립
한국 근대음악의 변천사
일본 근대문학 , 탐미파(耽美派)와 나쓰메소세키(夏目漱石)에 대한 고찰
식민지 근대화론 [사범/법학]
한국의 근대 여성과 서구 중심주의: 식민지, 박정희 정권, 현재의 담론을 중심으로
조선의 근대화의 추진
식민지 근대의 ‘여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 - 1990년대 이후의 ‘신여성’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 근대 미술사와 한국 누드화, 한국 조각의 흐름
중세로부터 근대로의 이행
한국 근대 도시주거건축 변천과정에 관한 고찰 - 주택유형의 변화를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