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비뇨기(비뇨기관)의 개요
1. 요관(Ureter)
2. 방광(Bladder)
1) 점막
2) 방광 근육층-평활근
3) 방광 장막
3. 요도(Urethra)
1) 남성 요도
2) 여성 요도
Ⅱ. 비뇨기(비뇨기관)와 신장
1. 네프론(신단위)
1) 보우만 주머니(Bowman's capsule)
2) 사구체(Glomerulus)
3) 근위세뇨관(Proximal convoluted tubule)
4) 헨레고리(Loop of Henle)
5) 원위세뇨관(Distal convoluted tubule)
2. 뇨의 생성
1) 여과
2) 재흡수
3) 분비
3. 신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과 효소들
1) 에리쓰로포이에틴(Erythropoietin)
2) 칼시트리올(Calcitriol)
3) 레닌(RENIN)
Ⅲ. 비뇨기(비뇨기관)와 배뇨
1. 요형성과 배설
1) 사구체 여과
2) 세뇨관 재흡수
3) 세뇨관 분비
2. 신장으로부터 요의 운반
3. 체액량 및 전해질의 조절
4. 수소인온 균형의 조절(산염기 균형조절)
5. 혈압조절
6. 대사와 내분비 기능
7. 노화와 배뇨기능
Ⅳ. 비뇨기(비뇨기관)와 세뇨
1. 세뇨관에서의 능동적 이동
2. 세뇨관에서의 수동적 재흡수
3. 재흡수되지 않는 물질들
4. 세뇨관 부위별 특성에 따른 재흡수
1) 근위곡세뇨관
2) 헨레씨 고리
3) 원위곡세뇨관과 집합관
Ⅴ. 비뇨기(비뇨기관)와 장애
1. 다낭종신(multicystic kidney)
2. 성인형 다낭신(adult polycystic kidney disease)
3. 단순 신낭종(simple cyst)
4. 마제철신(Horseshoe kidney)
Ⅵ. 비뇨기(비뇨기관)와 질환
1. OLIGURIA AND ANURIA
2. HEMATURIA AND CASTS Isolated hematuria
3. Mechanisms of dysuria
4. Approach to the patient with dysuria
참고문헌
1. 요관(Ureter)
2. 방광(Bladder)
1) 점막
2) 방광 근육층-평활근
3) 방광 장막
3. 요도(Urethra)
1) 남성 요도
2) 여성 요도
Ⅱ. 비뇨기(비뇨기관)와 신장
1. 네프론(신단위)
1) 보우만 주머니(Bowman's capsule)
2) 사구체(Glomerulus)
3) 근위세뇨관(Proximal convoluted tubule)
4) 헨레고리(Loop of Henle)
5) 원위세뇨관(Distal convoluted tubule)
2. 뇨의 생성
1) 여과
2) 재흡수
3) 분비
3. 신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과 효소들
1) 에리쓰로포이에틴(Erythropoietin)
2) 칼시트리올(Calcitriol)
3) 레닌(RENIN)
Ⅲ. 비뇨기(비뇨기관)와 배뇨
1. 요형성과 배설
1) 사구체 여과
2) 세뇨관 재흡수
3) 세뇨관 분비
2. 신장으로부터 요의 운반
3. 체액량 및 전해질의 조절
4. 수소인온 균형의 조절(산염기 균형조절)
5. 혈압조절
6. 대사와 내분비 기능
7. 노화와 배뇨기능
Ⅳ. 비뇨기(비뇨기관)와 세뇨
1. 세뇨관에서의 능동적 이동
2. 세뇨관에서의 수동적 재흡수
3. 재흡수되지 않는 물질들
4. 세뇨관 부위별 특성에 따른 재흡수
1) 근위곡세뇨관
2) 헨레씨 고리
3) 원위곡세뇨관과 집합관
Ⅴ. 비뇨기(비뇨기관)와 장애
1. 다낭종신(multicystic kidney)
2. 성인형 다낭신(adult polycystic kidney disease)
3. 단순 신낭종(simple cyst)
4. 마제철신(Horseshoe kidney)
Ⅵ. 비뇨기(비뇨기관)와 질환
1. OLIGURIA AND ANURIA
2. HEMATURIA AND CASTS Isolated hematuria
3. Mechanisms of dysuria
4. Approach to the patient with dysuria
참고문헌
본문내용
2. HEMATURIA AND CASTS Isolated hematuria
요도에서 신우(renal pelvis)까지의 비뇨기에서의 출혈은 의미있는 단백뇨, 세포나 urinary casts 없이 혈뇨만이 단독으로 생긴다. 전체 혈뇨(total hematuria)는 배뇨 전체를 통해서 균등하게 나오며, 혈액이 방광 소변과 완전히 혼합될 기회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출혈이 주로 배뇨의 초기나 끝에 나온다면 전립선이나 요도에서 나왔을 확률이 농후하다.
분리성 혈뇨(isolated hematuria)의 흔한 원인들로는 요석(urinary tract stones), 비뇨기의 양성과 악성 종양, 결핵, 외상과 전립선염 등이 있다 ; 일차성 신질환들은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234장과 240장에서 논의되었듯이, 양성 재발성 혈뇨(benign recurrent hematuria)나 Berger\'s disease 즉 IgA nephropathy 와 같은 국소 사구체염은 일반적으로 RBC casts 와 연관되어 있다. Analgesic nephropathy와 sickle cell disorders는 중등도의 단백뇨를 제외하면 분리성 혈뇨를 유발한다 ; papillary necrosis 나 질소혈증이 동반되면 신장 기원을 시사한다. 혈색소 전기영동은 sickle cell disorder가 의심될 때마다 적절한 검사법이다.
전립선과 외부 요도의 검사는 고립성 혈뇨의 평가에서 첫 단계이다. IVP와 신장 초음파가 다음 단계이다. 만일 아무런 병변이 없거나 신장석과 같은 출혈의 원인이 명백하지 않다면, 방광경과 RGP(retrograde pyelography)가 필요할 수 있다. 방광경 검사에서 혈액이 단지 한 요도에서 나올 수 있고, 이것은 일차성 신질환보다는 국소적인 병변을 시사하는 도움을 주는 단서이다. 비뇨기계 감염증 뿐만 아니라 응고 질환과 혈소판결핍증도 감별하여야 한다. 결핵과 진균 감염은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수의 소변 검체를 배양하고 현미경 검사를 하여야 한다. 신장의 CT와 때때로 신장 동맥조영술이 낭종이나 종양과 같은 해부학적 병변을 발견하기 위해서 필요할 수 있다. 소변 세포진검사는 다른 방법으로 놓칠 수 있는 신장과 비뇨기계 악성 종양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3. Mechanisms of dysuria
REDUCED BLADDER COMPLIANCE 방광의 팽창능이 감소되면, 빈뇨, 야뇨와 긴급증이 생긴다. 팽창능 감소가 감염, 방사선, 화학물질이나 이물질(catheter, stones) 등에 의한 점막의 염증에 의한 것(방광염)일 때, 방광이나 인접한 기관(전립선, 직장, 자궁)의 종양에 의해 방광 근육이 침윤되었을 때보다 일반적으로 작열감이 더 심하다.
INFECTION 여성에서 좀 더 흔히 나타나는 급성 세균성 방광염은 일반적으로 낮밤으로 흔한 배뇨와 배뇨시 작열감을 유발하고, 드물지 않게 육안적 혈뇨를 일으킨다. 남성에서 전립선염이나 전립선방광염은 여성에서의 급성 방광염과 유사한 양상을 유발할 수 있다. 단지 전립선만이 침범되었을 때, 하복부, 서헤부, 회음부, 직장, 고환 혹은 음경에 막연한 통증이나 불편감과 같은 경한 증상이 생긴다. 이러한 증상들은 배뇨와 연관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배뇨나 사정할 때 이외에 나타난다.
PSYCHOSOMATIC CYSTITIS 기능성 방광 증후군과 만성 선성 요도삼각부염(urethrotrigonitis)은 동의어로 매우 흔하나 잘 이해되지 않은 중년이상의 여성에서 발병하는 질환으로 통증은 일반적으로 모호하고, 아리는 양상이며 하복부나 질에서 발생한다. 낮 시간 동안의 빈뇨증은 있으나 야뇨증은 없고 농뇨도 없다. 증상이 만성적으로 잘 완치되지 않기 때문에 완전한 비뇨기계 검사가 일반적으로 필요하다. 기능성 방광 증후군은 수술적으로 치유될 수 있는 방광류(cystocele)의 효과와 감별하여야 한다.
4. Approach to the patient with dysuria
병력은 현재의 비뇨기계 문제뿐만 아니라 과거력에도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여성에서 골반검사와 남성에서 전립선검사는 이학적 검사의 필요한 성분들이다. 모든 환자들에서 2 glass 소변 침전물()과 남성에서 전립선 마사지로 얻은 전립선액은 현미경으로 검사하여야 한다. 요도가 염증이나 감염의 주된 부위일 때, 분리해서 모은다면 배뇨의 처음 20 mL가 나머지 부분보다 높은 농도의 백혈구와 세균을 함유할 수 있다. 정상 전립선액은 원심분리하지 않는다면 10 leukocytes per high-power field 이하만을 함유한다. 전립선액의 백혈구증다증은 전립선염의 중요한 단서이고 전립선염이 만성일 때는 발견 가능한 유일한 이상이다. 추가적인 검사는 급성 전립선염을 제외하고 하부 요로 감염에서는 드문 만성적이거나 재발성 발병이나 발열이 동반되는 것과 같은 양상이 있으면 시행하여야 한다. 의학적 검사상 골반이나 직장 내 종양이나 압통, 혈뇨, 혹은 농뇨와 같은 이상도 검사 대상이 되고; 전립선액의 과다한 백혈구와 대식세포의 증가도 대상이 된다.
임상적 검사로 원인이 불명할 때 추가적인 배뇨곤란의 검사에는 호기성과 혐기성 세균, 결핵 간균, 마이코플라스마 등에 대한 소변과 전립선액의 배양 ; 배설성 요로조영술(excretory urography) ; 그리고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voiding cystourethrography)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검사들로 진단이 내려지지 않고 증상이 까다로운 경우에는 방광경, 요도경검사를 시행하여 이상 부위의 내시경하 생검, 그리고 역동성 요로검사 등이 유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면진, 배뇨장애 성인의 증상경험 및 건강관련 삶의 질, 연세대학교, 2010
민병갑, 신장 및 비뇨기 질환과 전해질의 변동, 중앙대학교 의과학연구소, 1970
배상욱, 출산 후 비뇨기·대장 질환, DI저널사, 2008
최명애 외, 인체구조와 기능, 계축문화사, 2002
한상엽, 생식비뇨기계통의 장애, 약업신문사, 1980
한은진 외 8명, 엔테카비어 사용 후 발병한 세뇨간질성 신염, 대한신장학회, 2010
요도에서 신우(renal pelvis)까지의 비뇨기에서의 출혈은 의미있는 단백뇨, 세포나 urinary casts 없이 혈뇨만이 단독으로 생긴다. 전체 혈뇨(total hematuria)는 배뇨 전체를 통해서 균등하게 나오며, 혈액이 방광 소변과 완전히 혼합될 기회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출혈이 주로 배뇨의 초기나 끝에 나온다면 전립선이나 요도에서 나왔을 확률이 농후하다.
분리성 혈뇨(isolated hematuria)의 흔한 원인들로는 요석(urinary tract stones), 비뇨기의 양성과 악성 종양, 결핵, 외상과 전립선염 등이 있다 ; 일차성 신질환들은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234장과 240장에서 논의되었듯이, 양성 재발성 혈뇨(benign recurrent hematuria)나 Berger\'s disease 즉 IgA nephropathy 와 같은 국소 사구체염은 일반적으로 RBC casts 와 연관되어 있다. Analgesic nephropathy와 sickle cell disorders는 중등도의 단백뇨를 제외하면 분리성 혈뇨를 유발한다 ; papillary necrosis 나 질소혈증이 동반되면 신장 기원을 시사한다. 혈색소 전기영동은 sickle cell disorder가 의심될 때마다 적절한 검사법이다.
전립선과 외부 요도의 검사는 고립성 혈뇨의 평가에서 첫 단계이다. IVP와 신장 초음파가 다음 단계이다. 만일 아무런 병변이 없거나 신장석과 같은 출혈의 원인이 명백하지 않다면, 방광경과 RGP(retrograde pyelography)가 필요할 수 있다. 방광경 검사에서 혈액이 단지 한 요도에서 나올 수 있고, 이것은 일차성 신질환보다는 국소적인 병변을 시사하는 도움을 주는 단서이다. 비뇨기계 감염증 뿐만 아니라 응고 질환과 혈소판결핍증도 감별하여야 한다. 결핵과 진균 감염은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수의 소변 검체를 배양하고 현미경 검사를 하여야 한다. 신장의 CT와 때때로 신장 동맥조영술이 낭종이나 종양과 같은 해부학적 병변을 발견하기 위해서 필요할 수 있다. 소변 세포진검사는 다른 방법으로 놓칠 수 있는 신장과 비뇨기계 악성 종양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3. Mechanisms of dysuria
REDUCED BLADDER COMPLIANCE 방광의 팽창능이 감소되면, 빈뇨, 야뇨와 긴급증이 생긴다. 팽창능 감소가 감염, 방사선, 화학물질이나 이물질(catheter, stones) 등에 의한 점막의 염증에 의한 것(방광염)일 때, 방광이나 인접한 기관(전립선, 직장, 자궁)의 종양에 의해 방광 근육이 침윤되었을 때보다 일반적으로 작열감이 더 심하다.
INFECTION 여성에서 좀 더 흔히 나타나는 급성 세균성 방광염은 일반적으로 낮밤으로 흔한 배뇨와 배뇨시 작열감을 유발하고, 드물지 않게 육안적 혈뇨를 일으킨다. 남성에서 전립선염이나 전립선방광염은 여성에서의 급성 방광염과 유사한 양상을 유발할 수 있다. 단지 전립선만이 침범되었을 때, 하복부, 서헤부, 회음부, 직장, 고환 혹은 음경에 막연한 통증이나 불편감과 같은 경한 증상이 생긴다. 이러한 증상들은 배뇨와 연관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배뇨나 사정할 때 이외에 나타난다.
PSYCHOSOMATIC CYSTITIS 기능성 방광 증후군과 만성 선성 요도삼각부염(urethrotrigonitis)은 동의어로 매우 흔하나 잘 이해되지 않은 중년이상의 여성에서 발병하는 질환으로 통증은 일반적으로 모호하고, 아리는 양상이며 하복부나 질에서 발생한다. 낮 시간 동안의 빈뇨증은 있으나 야뇨증은 없고 농뇨도 없다. 증상이 만성적으로 잘 완치되지 않기 때문에 완전한 비뇨기계 검사가 일반적으로 필요하다. 기능성 방광 증후군은 수술적으로 치유될 수 있는 방광류(cystocele)의 효과와 감별하여야 한다.
4. Approach to the patient with dysuria
병력은 현재의 비뇨기계 문제뿐만 아니라 과거력에도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여성에서 골반검사와 남성에서 전립선검사는 이학적 검사의 필요한 성분들이다. 모든 환자들에서 2 glass 소변 침전물()과 남성에서 전립선 마사지로 얻은 전립선액은 현미경으로 검사하여야 한다. 요도가 염증이나 감염의 주된 부위일 때, 분리해서 모은다면 배뇨의 처음 20 mL가 나머지 부분보다 높은 농도의 백혈구와 세균을 함유할 수 있다. 정상 전립선액은 원심분리하지 않는다면 10 leukocytes per high-power field 이하만을 함유한다. 전립선액의 백혈구증다증은 전립선염의 중요한 단서이고 전립선염이 만성일 때는 발견 가능한 유일한 이상이다. 추가적인 검사는 급성 전립선염을 제외하고 하부 요로 감염에서는 드문 만성적이거나 재발성 발병이나 발열이 동반되는 것과 같은 양상이 있으면 시행하여야 한다. 의학적 검사상 골반이나 직장 내 종양이나 압통, 혈뇨, 혹은 농뇨와 같은 이상도 검사 대상이 되고; 전립선액의 과다한 백혈구와 대식세포의 증가도 대상이 된다.
임상적 검사로 원인이 불명할 때 추가적인 배뇨곤란의 검사에는 호기성과 혐기성 세균, 결핵 간균, 마이코플라스마 등에 대한 소변과 전립선액의 배양 ; 배설성 요로조영술(excretory urography) ; 그리고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voiding cystourethrography)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검사들로 진단이 내려지지 않고 증상이 까다로운 경우에는 방광경, 요도경검사를 시행하여 이상 부위의 내시경하 생검, 그리고 역동성 요로검사 등이 유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면진, 배뇨장애 성인의 증상경험 및 건강관련 삶의 질, 연세대학교, 2010
민병갑, 신장 및 비뇨기 질환과 전해질의 변동, 중앙대학교 의과학연구소, 1970
배상욱, 출산 후 비뇨기·대장 질환, DI저널사, 2008
최명애 외, 인체구조와 기능, 계축문화사, 2002
한상엽, 생식비뇨기계통의 장애, 약업신문사, 1980
한은진 외 8명, 엔테카비어 사용 후 발병한 세뇨간질성 신염, 대한신장학회,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