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영국의 혁신운동
Ⅱ. 영국의 노동운동
Ⅲ. 영국의 노조운동
Ⅳ. 영국의 토지개혁운동
Ⅴ. 영국의 성병방지법 폐지운동
Ⅵ. 영국의 참정권운동
참고문헌
Ⅱ. 영국의 노동운동
Ⅲ. 영국의 노조운동
Ⅳ. 영국의 토지개혁운동
Ⅴ. 영국의 성병방지법 폐지운동
Ⅵ. 영국의 참정권운동
참고문헌
본문내용
Stuart Mill)이 주도하여 창설했던 토지임대법개정협회(Land Tenure Reform Association)도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기 전 밀의 죽음과 함께 사라져 버렸다.
1880년대의 토지개혁 운동은 상당히 달랐다. 1870년대 말부터 시작된 경제 전반에 대한 불안감, 특히 농업 불황과 아일랜드의 소요 사태는 토지문제의 중요성을 부각시켰고, 아일랜드의 정치적 주도권 다툼에도 토지문제가 가장 중요한 사안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880년 알프렛 러셀 월러스(Alfred Russel Wallace)는 아일랜드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토지국유화론을 제기했다. 그의 논문은 몇몇 개혁가들의 관심을 끌어, 1882년 1월 월러스의 주장을 근간으로 하는 정강을 세운 영국 토지국유화협회(Land Nationalisation Society)가 발족되었다.
협회의 국유화론은 몇 가지의 특징을 가진다. 우선 그것은 문제의 핵심을 토지의 사유로부터 파생되는 절대적 정치권력의 부도덕성으로 파악했다. 경제적인 측면, 국유화가 가져다 줄 경제적 이익이라든가, 농업 문제에 관하여는 거의 언급이 없었다. 둘째로, 협회는 점진주의적 해결 방식을 거부했다. 토지의 사유를 완전히 폐지하지 않는, 중간 단계로서의 어떠한 제안도 반대하면서, 의회의 입법을 통해, 현재로부터 3대째의 지주가 사망했을 때 일시에 그 토지를 국가로 귀속시킬 것을 요구했다. 월러스와 협회는 또 지주들에게 토지 상실에 대해 보상을 해 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의 지주들이 토지의 사유를 시작한 범죄자들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논리에 바탕 한 것이었는데 이는 지주층의 반발을 약화시키기 위한 전략인 동시에 월러스의 도덕적 정치철학의 표출이었다.
이러한 기본 원리에 바탕 하여 협회는 팸플릿, 대중 강연 등의 활동을 벌였으나, 월러스가 협회의 성격이 아직은 “일반 정치인들에게는 지나치게 급진적”이라는 자조적인 결론을 내릴 정도로, 첫해의 성과는 미미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해 말부터 국유화론의 인기가 급속도로 높아지기 시작하여, 1884년 월러스는 자신 있게 “토지개혁의 문제가 이미 실질 정치의 영역으로 진입하였다”라고 선언할 수 있었다. 이렇게 국유화론이 갑작스럽게 정치적 주장으로서 힘을 가지게 되는 데 무엇보다도 큰 공헌을 한 것은 미국인 저널리스트 헨리 조지와 그의 진보와 빈곤(Progress and Poverty)이었다.
Ⅴ. 영국의 성병방지법 폐지운동
1869년 12월 31일 성병방지법을 폐지하기 위한 전국적인 규모의 전국여성연합이 결성되었다. 이 연합은 성병방지법 폐지를 위한 여론형성에 주력하면서, 8개 조항으로 이루어진 “여성으로부터의 저항”이라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 성명서에는 당시 전국에 걸쳐 널리 알려져 있었던 251명의 주요 여성인사들이 서명을 했다. 전국여성연합 결성과 함께 13명으로 구성된 대표위원회와 전국의 주요 큰 도시 및 지방의 소도시들을 대표하는 34개의 하부조직이 동시에 구성되었으며, 그 본부는 브리스톨에 설치되었다. 전통적으로 사회개혁운동의 중심지였던 브리스톨은 성병방지법 폐지운동의 출발지로 거듭난 것이다. 또한 이곳에는 당시 사회 개혁을 목표로 하여 선각자적으로 자선운동에 투신했던 다섯 명의 저명한 페미니스트들이 거주하면서 실질적으로 전국여성연합을 운영해 나가게 되었다.
1870년 3월부터 조세핀 버틀러가 전국여성연합의 지도자로 임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리버풀이 아니라 브리스톨이 계속 전국여성연합의 본부로 남아있었을 정도로 성병방지법 폐지운동에서 이 지역출신 여성들의 주도적인 역할과 그 영향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바로 마아가렛 프리스트먼 태너(Margret Priestman Tanner, 전국여성연합의 회계담당), 안나 마리아(Anna Maria Priestman) 그리고 매리(Mary Priestman)자매들이 전국여성연합에서 보유한 영향력 때문이었다. 이들 프리스트먼 가문의 자매들은 이 연합에 전국적인 연결 망을 부여한 핵심적인 위치에 있었다. 프리스트먼(Priestman)이라는 성이 암시하는 바는 크다. 프리스트먼 집안은 전통적으로 퀘이커 교리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해왔으며, 면직물업에 종사해온 뉴캐슬지방의 조나단 프리스트먼(Jonathan Priestman, 1786-1863)이었다. 또한 어머니 레이첼 윌슨 브래그(Rachel Wilson Bragg, 1791-1849)는 그들에게 사회개혁 운동의 정신을 유산으로 물려주었다. 레이첼은 캔달지방의 아이삭(Isaac)과 윌슨 집안의 손녀였는데, 윌슨 집안은 17세기 초 종교적 탄압의 시기에 특히 퀘이커 교도들이 중심이 되었던 10일조 납부 반대운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시민불복종운동을 전개했던 유서 깊은 가문이었다. 폐지운동의 시기에 전국을 연결시켰던 퀘이커 교도들의 혈연관계는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며, 따라서 영국사회에 전통적으로 지속되어왔던 종교적인 배타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전통적으로 볼 때 혈연관계에서 여성들이 전통적으로 수행해왔던 역할은 사적인 영역에서의 단순한 재생산에 국한되었다.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여성들의 혈연관계는 여성운동을 전개하기 위한 정치세력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면서 기존의 틀을 벗어나는 새로운 국면을 전개시켰다.
족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폐지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이들 퀘이커 여성들은 직접간접으로 인척관계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프리스트먼 집안의 장녀였던 엘리자베스의 남편은 맨체스터에서 면직물업으로 성공한 브라이트(Bright) 집안의 큰아들 존이였다. 당시 존 브라이트는 공공장소와 거리 등에서 반곡물법 운동과 선거법 개정운동과 관련하여 큰소리로 대중연설을 하고 다녔다. 이러한 행위는 당시 영국사회뿐만 아니라 특히 퀘이커 교도들 사이에서도 스캔들 거리가 되었다. 그러나 종교적으로 유서 깊은 프리스트먼 가문과의 결합으로 존 브라이트는 퀘이커 교도들로부터 신임을 얻게 했다. 엘리자베스가 출산 후유증으로 일찍 사망하자, 어린 딸 헬렌은 외가에서 미혼인 이모들인 메리와 안나 마리아의 보살핌 속에 성장했다. 둘째딸 마아가렛(남편은 무두장이)은 그녀의 조카 헬렌 브라이트와 신발산업으로 유명했던 클
1880년대의 토지개혁 운동은 상당히 달랐다. 1870년대 말부터 시작된 경제 전반에 대한 불안감, 특히 농업 불황과 아일랜드의 소요 사태는 토지문제의 중요성을 부각시켰고, 아일랜드의 정치적 주도권 다툼에도 토지문제가 가장 중요한 사안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880년 알프렛 러셀 월러스(Alfred Russel Wallace)는 아일랜드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토지국유화론을 제기했다. 그의 논문은 몇몇 개혁가들의 관심을 끌어, 1882년 1월 월러스의 주장을 근간으로 하는 정강을 세운 영국 토지국유화협회(Land Nationalisation Society)가 발족되었다.
협회의 국유화론은 몇 가지의 특징을 가진다. 우선 그것은 문제의 핵심을 토지의 사유로부터 파생되는 절대적 정치권력의 부도덕성으로 파악했다. 경제적인 측면, 국유화가 가져다 줄 경제적 이익이라든가, 농업 문제에 관하여는 거의 언급이 없었다. 둘째로, 협회는 점진주의적 해결 방식을 거부했다. 토지의 사유를 완전히 폐지하지 않는, 중간 단계로서의 어떠한 제안도 반대하면서, 의회의 입법을 통해, 현재로부터 3대째의 지주가 사망했을 때 일시에 그 토지를 국가로 귀속시킬 것을 요구했다. 월러스와 협회는 또 지주들에게 토지 상실에 대해 보상을 해 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의 지주들이 토지의 사유를 시작한 범죄자들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논리에 바탕 한 것이었는데 이는 지주층의 반발을 약화시키기 위한 전략인 동시에 월러스의 도덕적 정치철학의 표출이었다.
이러한 기본 원리에 바탕 하여 협회는 팸플릿, 대중 강연 등의 활동을 벌였으나, 월러스가 협회의 성격이 아직은 “일반 정치인들에게는 지나치게 급진적”이라는 자조적인 결론을 내릴 정도로, 첫해의 성과는 미미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해 말부터 국유화론의 인기가 급속도로 높아지기 시작하여, 1884년 월러스는 자신 있게 “토지개혁의 문제가 이미 실질 정치의 영역으로 진입하였다”라고 선언할 수 있었다. 이렇게 국유화론이 갑작스럽게 정치적 주장으로서 힘을 가지게 되는 데 무엇보다도 큰 공헌을 한 것은 미국인 저널리스트 헨리 조지와 그의 진보와 빈곤(Progress and Poverty)이었다.
Ⅴ. 영국의 성병방지법 폐지운동
1869년 12월 31일 성병방지법을 폐지하기 위한 전국적인 규모의 전국여성연합이 결성되었다. 이 연합은 성병방지법 폐지를 위한 여론형성에 주력하면서, 8개 조항으로 이루어진 “여성으로부터의 저항”이라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 성명서에는 당시 전국에 걸쳐 널리 알려져 있었던 251명의 주요 여성인사들이 서명을 했다. 전국여성연합 결성과 함께 13명으로 구성된 대표위원회와 전국의 주요 큰 도시 및 지방의 소도시들을 대표하는 34개의 하부조직이 동시에 구성되었으며, 그 본부는 브리스톨에 설치되었다. 전통적으로 사회개혁운동의 중심지였던 브리스톨은 성병방지법 폐지운동의 출발지로 거듭난 것이다. 또한 이곳에는 당시 사회 개혁을 목표로 하여 선각자적으로 자선운동에 투신했던 다섯 명의 저명한 페미니스트들이 거주하면서 실질적으로 전국여성연합을 운영해 나가게 되었다.
1870년 3월부터 조세핀 버틀러가 전국여성연합의 지도자로 임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리버풀이 아니라 브리스톨이 계속 전국여성연합의 본부로 남아있었을 정도로 성병방지법 폐지운동에서 이 지역출신 여성들의 주도적인 역할과 그 영향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바로 마아가렛 프리스트먼 태너(Margret Priestman Tanner, 전국여성연합의 회계담당), 안나 마리아(Anna Maria Priestman) 그리고 매리(Mary Priestman)자매들이 전국여성연합에서 보유한 영향력 때문이었다. 이들 프리스트먼 가문의 자매들은 이 연합에 전국적인 연결 망을 부여한 핵심적인 위치에 있었다. 프리스트먼(Priestman)이라는 성이 암시하는 바는 크다. 프리스트먼 집안은 전통적으로 퀘이커 교리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해왔으며, 면직물업에 종사해온 뉴캐슬지방의 조나단 프리스트먼(Jonathan Priestman, 1786-1863)이었다. 또한 어머니 레이첼 윌슨 브래그(Rachel Wilson Bragg, 1791-1849)는 그들에게 사회개혁 운동의 정신을 유산으로 물려주었다. 레이첼은 캔달지방의 아이삭(Isaac)과 윌슨 집안의 손녀였는데, 윌슨 집안은 17세기 초 종교적 탄압의 시기에 특히 퀘이커 교도들이 중심이 되었던 10일조 납부 반대운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시민불복종운동을 전개했던 유서 깊은 가문이었다. 폐지운동의 시기에 전국을 연결시켰던 퀘이커 교도들의 혈연관계는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며, 따라서 영국사회에 전통적으로 지속되어왔던 종교적인 배타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전통적으로 볼 때 혈연관계에서 여성들이 전통적으로 수행해왔던 역할은 사적인 영역에서의 단순한 재생산에 국한되었다.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여성들의 혈연관계는 여성운동을 전개하기 위한 정치세력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면서 기존의 틀을 벗어나는 새로운 국면을 전개시켰다.
족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폐지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이들 퀘이커 여성들은 직접간접으로 인척관계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프리스트먼 집안의 장녀였던 엘리자베스의 남편은 맨체스터에서 면직물업으로 성공한 브라이트(Bright) 집안의 큰아들 존이였다. 당시 존 브라이트는 공공장소와 거리 등에서 반곡물법 운동과 선거법 개정운동과 관련하여 큰소리로 대중연설을 하고 다녔다. 이러한 행위는 당시 영국사회뿐만 아니라 특히 퀘이커 교도들 사이에서도 스캔들 거리가 되었다. 그러나 종교적으로 유서 깊은 프리스트먼 가문과의 결합으로 존 브라이트는 퀘이커 교도들로부터 신임을 얻게 했다. 엘리자베스가 출산 후유증으로 일찍 사망하자, 어린 딸 헬렌은 외가에서 미혼인 이모들인 메리와 안나 마리아의 보살핌 속에 성장했다. 둘째딸 마아가렛(남편은 무두장이)은 그녀의 조카 헬렌 브라이트와 신발산업으로 유명했던 클
추천자료
[좌우합작운동][좌우합작][좌익][우익]좌우합작(좌우합작운동)의 단계, 좌우합작(좌우합작운...
[미디어운동][미디어운동 흐름][미디어운동 현황][미디어운동 사례][미디어운동 개선과제]미...
[여성운동][여성운동 뿌리][여성운동 이면][여성운동 약화][여성운동 현황][선진국 여성운동 ...
[항일독립운동][항일무장투쟁][항일민족운동][항일의병운동][항일학생운동][항일지방유생투쟁...
[낙선운동][낙천운동]낙선운동(낙천낙선운동)의 정의, 낙선운동(낙천낙선운동)의 특성, 낙선...
[민주화운동, 이데올로기, 명예회복법]민주화운동의 개념, 민주화운동의 필요성, 민주화운동...
[민주화운동, 자본주의, 다원주의, 권리주창]민주화운동의 의미, 민주화운동의 자본주의, 민...
[민중운동][민중][운동][민중운동과 시민운동][민중운동과 남북관계][민중운동과 통일][장애...
[시민운동][시민][시민운동 개념]시민운동의 개념, 시민운동의 특성, 시민운동의 민주화, 시...
[6월민주화운동]6월민주화운동(6월민주항쟁)의 의미, 배경, 6월민주화운동(6월민주항쟁)의 전...
[운동권][운동][운동권 역사][운동권 언론매체][운동권 현장활동][운동권 대중혁명][언론매체...
[운동연대][운동][연대][사회운동연대][인권운동연대][평화여성운동연대][미디어운동연대][사...
한국시민운동의 약력, 한국시민운동의 특징, 한국시민운동의 발전, 한국시민운동의 영향력, ...
[새마을운동][박정희][새마을운동 중요성][새마을운동 발전단계][새마을운동 북한][새마을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