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시조 부벽루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사리화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어부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어져 내일이야, 충의가, 오우가, 기세탄 작품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시대 시조 부벽루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사리화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어부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어져 내일이야, 충의가, 오우가, 기세탄 작품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려시대 시조 부벽루 작품분석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주제
5) 출전
2. 감상
1) ‘성은 텅 빈 채로 달 한 조각 떠 있고’
2) ‘오래된 조천석 위에 천 년의 구름 흐르네’
3) ‘산은 오늘도 푸르고 강은 절로 흐르네’

Ⅱ.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Ⅲ. 고려시대 시조 사리화 작품분석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갈래
4) 주제
5) 출전
2. 감상

Ⅳ.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1. 漁父四時詞(어부사시사)
2. 핵심 정리
1) 작자
2) 출전
3) 종류
4) 성격
5) 제재
6) 주제
3. 전문 풀이
4. 해설
5. 감상
6. 제재 및 주제
1) 제재
2) 주제

Ⅴ. 조선시대 시조 어부가 작품분석
1. 시상 전개
2. 이미 고려 시대부터 전해오던 <<악장가사>> 소재의 <어부가>를 작자가 장가와 단가로 각각 개작한 것

Ⅵ. 조선시대 시조 어져 내일이야 작품분석
1. 전문 풀이
2. 해설
3. 감상
4. 핵심 정리
1) 작자
2) 출전
3) 종류
4) 성격
5) 제재
6) 주제

Ⅶ. 조선시대 시조 충의가 작품분석
1. 지은이
2. 낱말풀이
1) 삼각산
2) 고국산천
3) 하랴마는
4) 하 수상하니
5) 올동말동
3. 시조풀이

Ⅷ.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작품분석
1. 五友歌(오우가)
2. 전문 풀이
3. 해설
4. 감상
5. 핵심 정리
1) 작자
2) 출전
3) 종류
4) 성격
5) 제재
6) 주제

Ⅸ. 조선시대 시조 기세탄 작품분석
1. 기세탄
2. 전문 풀이
3. 해설
4. 감상
5. 핵심 정리
1) 작자
2) 출전
3) 종류
4) 성격
5) 제재
6) 주제
7) 정서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려시대 시조 부벽루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사리화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어부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어져 내일이야, 충의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기세탄 작품분석
Ⅰ. 고려시대 시조 부벽루 작품분석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주제
5) 출전
2. 감상
1) ‘성은 텅 빈 채로 달 한 조각 떠 있고’
2) ‘오래된 조천석 위에 천 년의 구름 흐르네’
3) ‘산은 오늘도 푸르고 강은 절로 흐르네’
Ⅱ.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Ⅲ. 고려시대 시조 사리화 작품분석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갈래
4) 주제
5) 출전
2. 감상
Ⅳ.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1. 漁父四時詞(어부사시사)
2. 핵심 정리
1) 작자
2) 출전
3) 종류
4) 성격
5) 제재
6) 주제
3. 전문 풀이
4. 해설
5. 감상
6. 제재 및 주제
1) 제재
2) 주제
Ⅴ. 조선시대 시조 어부가 작품분석
1. 시상 전개
2. 이미 고려 시대부터 전해오던 <<악장가사>> 소재의 <어부가>를 작자가 장가와 단가로 각각 개작한 것
Ⅵ. 조선시대 시조 어져 내일이야 작품분석
1. 전문 풀이
2. 해설
3. 감상
4. 핵심 정리
1) 작자
2) 출전
3) 종류
4) 성격
5) 제재
6) 주제
Ⅶ. 조선시대 시조 충의가 작품분석
1. 지은이
2. 낱말풀이
1) 삼각산
2) 고국산천
3) 하랴마는
4) 하 수상하니
5) 올동말동
3. 시조풀이
Ⅷ.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작품분석
1. 五友歌(오우가)
2. 전문 풀이
3. 해설
4. 감상
5. 핵심 정리
1) 작자
2) 출전
3) 종류
4) 성격
5) 제재
6) 주제
Ⅸ. 조선시대 시조 기세탄 작품분석
1. 기세탄
2. 전문 풀이
3. 해설
4. 감상
5. 핵심 정리
1) 작자
2) 출전
3) 종류
4) 성격
5) 제재
6) 주제
7) 정서
참고문헌
Ⅰ. 고려시대 시조 부벽루 작품분석
昨過永明寺 어제 영명사를 지나다가
暫登浮碧樓 잠시 부벽루에 올랐네.
城鞏月一片 성은 텅 빈 채로 달 한 조각 떠 있고
石老雲千秋 오래된 조천석 위에 천 년의 구름 흐르네.
麟馬去不 기린마는 떠나간 뒤 돌아오지 않는데,
天孫何處遊 천손은 지금 어느 곳에서 노니는가?
長嘯倚風 돌다리에 기대어 휘파람 부노라
山靑江自流 산은 오늘도 푸르고 강은 절로 흐르네.
1. 작품 정리
1) 연대
고려 말
2) 작자
이색
3) 형식
한시(五言律詩)
4) 주제
지난 역사의 회고와 고려 국운 회복의 소망
5) 출전
목은집(牧隱集)
2. 감상
이 작품은 작자가 고구려의 유적지인 평양성을 지나면서 읊은 서정시이다.
오언 율시의 이 작품은 인간 역사의 유한함과 덧없음 그리고 자연의 영원함을 대비시키면서 쓸쓸한 마음을 노래하고 있다.
1) ‘성은 텅 빈 채로 달 한 조각 떠 있고’
인간 역사의 유한함이 자연의 영구함과 맞물려 제시된 서경임. 쓸쓸한 서정적 자아의 심회가 감각적으로 잘 나타나 있다.
2) ‘오래된 조천석 위에 천 년의 구름 흐르네’
오래 된 돌에서 세월의 흐름을 느끼고 있다. 시간의 흐름을 시각적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3) ‘산은 오늘도 푸르고 강은 절로 흐르네’
변함없는 자연의 모습을 노래함으로써, 인간 역 사의 유한함과 자신의 쓸쓸한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Ⅱ.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한 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 쥐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렸더니
백발이 저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우탁, 고려 원종)
<백발가>라는 제목으로 불리는 시조이다. 세월이 흘러 늙게 됨을 안타까워하는 마음이 잘 드러나 있다. <백발>은 하얗게 센 머리털을 뜻한다.
Ⅲ. 고려시대 시조 사리화 작품분석
黃雀何方來去飛 참새야 어디서 오가며 우느냐,
一年農事不曾知 일 년 농사는 아랑곳하지 않고,
鰥翁獨自耕耘了 늙은 홀아비 홀로 갈고 맸는데,
耗盡田中禾黍爲 밭의 벼며 기장을 다 없애다니.
1. 작품 정리
1) 연대
고려 말
2) 작자
이제현(李齊賢)
3) 갈래
한시(七言絶句)
4) 주제
가혹한 수탈로 인한 농민의 피폐한 삶
5) 출전
익재난고(益齋亂藁)
2. 감상
이 노래는 작자가 당시 민요를 소악부(小樂府) 11 편으로 옮겼는데, ‘사리화’는 그 중 네 번째 시이다.
이 시에서 ‘참새’는 평민을 수탈하는 탐관 오리를 상징하고, ‘늙은 홀아비’는 수탈 당하는 힘없고 가난한 농민을 상징한다. 관리들의 가혹한 수탈에 대항하지 못하고 참새에 비유하여 노래할 수밖에 없었던 백성들의 서글픈 처지가 잘 나타나 있다.
Ⅳ.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1. 漁父四時詞(어부사시사)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1587~1671)가 지은 연시조(聯時調). 작자가 65세 되던 해인 1651년(효종 2) 가을 벼슬을 버리고 보길도(甫吉島)의 부용동(芙蓉洞)에 들어가 한적한 나날을 보내면서 지은 노래이다. 봄 노래(春詞)여름 노래(夏詞)가을 노래(秋詞)겨울 노래(冬詞)로 나뉘어 각각 10수씩 모두 40수로 되었다. 고려 때부터 전하던 《어부가(漁父歌)》를 이현보(李賢輔)가 9장으로 고쳐 지었고, 다시 윤선도가 시조의 형식에 여음만 넣어 완성한 것이다. 이현보의 《어부사(漁父詞)》에서 시상(詩想)을 얻었다 하나, 그 한시구(漢詩句)의 어의(語意)나 어음(語音)에 상응하는 우리말로 전혀 새로운 자신의 언어를 능란하게 구사하여 속계를 벗어나 물외(物外)에 서서 자연에 합치한 어부의 생활을 아름답게 나타내었다. 고산의 작품 가운데서도 《오우가(五友歌)》와 아울러 으뜸이라 할 이 작품은 《고산유고》에 실려 전한다.
2. 핵심 정리
1) 작자
윤선도
2) 출전
<고산유고>
3) 종류
단가
4) 성격
한정가(閑情歌)
5) 제재
어부(漁父)의 생활
6) 주제
강호의 한정(閑情). 철따라 펼쳐지는 자연의 경치와 어부(漁父) 생활의 흥취
[春詞]
압 에 안  것고

키워드

  • 가격9,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07.2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5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