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국방품질경영과 국방관리
1. 미래전에 대비한 국방정보화 체계 기반 구축
2. 군수조달의 경쟁체제 구축
3. 민간자원 활용과 물자 동원능력 확충
Ⅲ. 국방품질경영과 말콤볼드리지상
Ⅳ. 국방품질경영과 보잉 에어리프트&탱커(보잉 A&T)
1. 정보와 자료의 선택과 이용
2. 비교정보와 자료의 선택과 사용
1) 보잉 A&T에서 최상
2) 산업에서 최상
3) 세계 일류
Ⅴ. 국방품질경영과 미국
1. 미 육군 품질경영 기본정신
2. 혁신 4대 원칙
3. 미 육군 품질경영 포상제도
1) 대통령 품질상(PQA : The President’s Quality Award)
2) 부통령 개혁 해머상(The Vice President’s Hammer Award for Reinvention)
3) 국방장관 생산성 대상(The Secretary of Defense Productivity Excellence Award)
4) 국방성 가치공학상(Department of Defense Value Engineering Award)
5) 육군 최우수 프로그램(The Army Communities of Excellence Program)
참고문헌
Ⅱ. 국방품질경영과 국방관리
1. 미래전에 대비한 국방정보화 체계 기반 구축
2. 군수조달의 경쟁체제 구축
3. 민간자원 활용과 물자 동원능력 확충
Ⅲ. 국방품질경영과 말콤볼드리지상
Ⅳ. 국방품질경영과 보잉 에어리프트&탱커(보잉 A&T)
1. 정보와 자료의 선택과 이용
2. 비교정보와 자료의 선택과 사용
1) 보잉 A&T에서 최상
2) 산업에서 최상
3) 세계 일류
Ⅴ. 국방품질경영과 미국
1. 미 육군 품질경영 기본정신
2. 혁신 4대 원칙
3. 미 육군 품질경영 포상제도
1) 대통령 품질상(PQA : The President’s Quality Award)
2) 부통령 개혁 해머상(The Vice President’s Hammer Award for Reinvention)
3) 국방장관 생산성 대상(The Secretary of Defense Productivity Excellence Award)
4) 국방성 가치공학상(Department of Defense Value Engineering Award)
5) 육군 최우수 프로그램(The Army Communities of Excellence Program)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방 배치된 주한미군 병력은 후방으로 재배치하고 있지만, 스트라이커 여단을 통해 신속한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고, 주요 무기 및 장비도 사전배치(preposition)에 따라 전방에 담겨둘 예정이다.
이와 같은 상황을 종합해볼 때, 국방부가 대북 열세를 만회한다는 명분으로 타격 능력의 배가에 나서고 있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고 할 수 있다. 특히 2020년까지 전차 전력을 1.8배, 헬기 전력을 2배로 늘리고, 장갑차 전력도 강화하겠다는 것은 국방부가 여전히 육군 중심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전력은 국방부가 강조하는 주변국 위협 대처에 있어서도 실효성이 떨어진다.
우리가 가장 우려하는 것은 대규모의 전력증강에 바탕을 둔 국방개혁이 북한의 반발을 가져와 한반도의 평화정착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형태의 군비경쟁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주한미군과 한국군이 동시에 대대적인 전력증강에 나선 상황에서, 북한도 노후한 무기 및 장비의 현대화를 꾀한다는 명분으로 전력증강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만약 이러한 상황이 벌어진다면, 북핵 문제 해결에도 난관이 조성될 뿐만 아니라, 북핵 문제가 해결된다 하더라도 한반도의 군사 문제를 풀기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우리는 이와 같은 평가와 우려를 바탕으로 현재 국방부가 계획하고 있는 전력 증강 계획은 전면 재검토되어야 한다고 본다. 특히 이미 과도해진 육군의 타격 능력은 동결하는 수준에서 유지관리하도록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Ⅱ. 국방품질경영과 국방관리
1. 미래전에 대비한 국방정보화 체계 기반 구축
국방정보화와 관련된 제대별 유사 조직을 통폐합하여 정보화 기획관을 신설 편성하였고, 정보화 업무에 대해 장관에게 조언 및 의사결정을 보좌할 수 있도록 국방부 차관을 정보화 책임관(CIO)으로 임명하였다.
정보화 추진 목표, 수준 및 방향을 국가 정보화 계획과 연계하여 우리 군의 실정에 맞게 재설정하였으며, 단계별 목표에 맞춰 일관성 있게 정보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단계별 목표에 맞춰 지휘소 자동화 체계는 ’99년 6월 조기에 전력화되었고, 해커바이러스 등 새로운 유형의 정보침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전 방어 대책 종합 발전계획’을 수립하였다.
2. 군수조달의 경쟁체제 구축
규제 성격의 군납업체 등록제도와 업체실태 조사제도를 폐지하고 군납 안전진단의 대상업체 및 품목을 1,235개에서 361개로 대폭 축소함으로써 자유경쟁 원칙하에서 많은 민간 업체들이 군납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조달관련 정보도 이제까지 조달본부 종합상담실에서만 비치하여 오던 것을 인터넷 ‘조달 홈페이지’(www.dpa.go.kr)를 개설하여 군납 희망 업체들이 손쉽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해외 무기체계 획득시 이미 성능이 입증된 무기체계에 대해서는 시험평가 절차를 생략하고 자료에 의한 평가로 대체하도록 하였으며, 해외구매 무기가격 정보에 대한 자료은행체계도 구축하였다.
그 외 일반 상용물자의 구매 업무를 단계적으로 조달청에 이관토록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792개 품목을 이관할 계획이다.
3. 민간자원 활용과 물자 동원능력 확충
민간자원이 풍부한 품목에 대해서는 평시 군 보유 수준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아래 군에서 보유하고 있는 수송건설장비 중 3,564대를 축소하여 799억 원의 예산을 절감하였다. 아울러 전시에 군수품으로 대체가능한 민수품 365개 품목을 발굴하였고, 동원물자 중 총 3,740개 품목의 국방규격을 완화 및 폐지하였다.
Ⅲ. 국방품질경영과 말콤볼드리지상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지 공장이나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품질관리만으로는 불가능하고 관련된 업무 전체가 효율성을 갖고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품질경영의 주된 이론이다. 품질경영상은 이러한 이론적 기반 밑에서 리더십부터 프로세스, 경영성과에 이루는 전 과정을 심사하여 우수 조직을 표창함으로서 조직의 경영성과를 높이려는 경영사조이다. 195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일본의 대표적 품질경영상인 데밍상이 1960년대부터 70년대, 80년대의 일본 기업의 경쟁력을 이끌었다면 1990년대 미국 기업들의 경쟁력은 1980년대 말부터 시작된 말콤 볼드리지상이 견인차 역할을 하며 이끌었다고 얘기할 수 있다.
이제 말콤 볼드리지 상은 기업 경영 평가의 중요한 이론적 바탕이 될 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의 평가에도 중요한 심사기준의 역할을 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볼드리지상 심사기준의 프레임
이와 같은 상황을 종합해볼 때, 국방부가 대북 열세를 만회한다는 명분으로 타격 능력의 배가에 나서고 있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고 할 수 있다. 특히 2020년까지 전차 전력을 1.8배, 헬기 전력을 2배로 늘리고, 장갑차 전력도 강화하겠다는 것은 국방부가 여전히 육군 중심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전력은 국방부가 강조하는 주변국 위협 대처에 있어서도 실효성이 떨어진다.
우리가 가장 우려하는 것은 대규모의 전력증강에 바탕을 둔 국방개혁이 북한의 반발을 가져와 한반도의 평화정착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형태의 군비경쟁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주한미군과 한국군이 동시에 대대적인 전력증강에 나선 상황에서, 북한도 노후한 무기 및 장비의 현대화를 꾀한다는 명분으로 전력증강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만약 이러한 상황이 벌어진다면, 북핵 문제 해결에도 난관이 조성될 뿐만 아니라, 북핵 문제가 해결된다 하더라도 한반도의 군사 문제를 풀기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우리는 이와 같은 평가와 우려를 바탕으로 현재 국방부가 계획하고 있는 전력 증강 계획은 전면 재검토되어야 한다고 본다. 특히 이미 과도해진 육군의 타격 능력은 동결하는 수준에서 유지관리하도록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Ⅱ. 국방품질경영과 국방관리
1. 미래전에 대비한 국방정보화 체계 기반 구축
국방정보화와 관련된 제대별 유사 조직을 통폐합하여 정보화 기획관을 신설 편성하였고, 정보화 업무에 대해 장관에게 조언 및 의사결정을 보좌할 수 있도록 국방부 차관을 정보화 책임관(CIO)으로 임명하였다.
정보화 추진 목표, 수준 및 방향을 국가 정보화 계획과 연계하여 우리 군의 실정에 맞게 재설정하였으며, 단계별 목표에 맞춰 일관성 있게 정보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단계별 목표에 맞춰 지휘소 자동화 체계는 ’99년 6월 조기에 전력화되었고, 해커바이러스 등 새로운 유형의 정보침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전 방어 대책 종합 발전계획’을 수립하였다.
2. 군수조달의 경쟁체제 구축
규제 성격의 군납업체 등록제도와 업체실태 조사제도를 폐지하고 군납 안전진단의 대상업체 및 품목을 1,235개에서 361개로 대폭 축소함으로써 자유경쟁 원칙하에서 많은 민간 업체들이 군납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조달관련 정보도 이제까지 조달본부 종합상담실에서만 비치하여 오던 것을 인터넷 ‘조달 홈페이지’(www.dpa.go.kr)를 개설하여 군납 희망 업체들이 손쉽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해외 무기체계 획득시 이미 성능이 입증된 무기체계에 대해서는 시험평가 절차를 생략하고 자료에 의한 평가로 대체하도록 하였으며, 해외구매 무기가격 정보에 대한 자료은행체계도 구축하였다.
그 외 일반 상용물자의 구매 업무를 단계적으로 조달청에 이관토록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792개 품목을 이관할 계획이다.
3. 민간자원 활용과 물자 동원능력 확충
민간자원이 풍부한 품목에 대해서는 평시 군 보유 수준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아래 군에서 보유하고 있는 수송건설장비 중 3,564대를 축소하여 799억 원의 예산을 절감하였다. 아울러 전시에 군수품으로 대체가능한 민수품 365개 품목을 발굴하였고, 동원물자 중 총 3,740개 품목의 국방규격을 완화 및 폐지하였다.
Ⅲ. 국방품질경영과 말콤볼드리지상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지 공장이나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품질관리만으로는 불가능하고 관련된 업무 전체가 효율성을 갖고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품질경영의 주된 이론이다. 품질경영상은 이러한 이론적 기반 밑에서 리더십부터 프로세스, 경영성과에 이루는 전 과정을 심사하여 우수 조직을 표창함으로서 조직의 경영성과를 높이려는 경영사조이다. 195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일본의 대표적 품질경영상인 데밍상이 1960년대부터 70년대, 80년대의 일본 기업의 경쟁력을 이끌었다면 1990년대 미국 기업들의 경쟁력은 1980년대 말부터 시작된 말콤 볼드리지상이 견인차 역할을 하며 이끌었다고 얘기할 수 있다.
이제 말콤 볼드리지 상은 기업 경영 평가의 중요한 이론적 바탕이 될 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의 평가에도 중요한 심사기준의 역할을 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볼드리지상 심사기준의 프레임
키워드
추천자료
성격 분석
[에니어그램][에니어그램 단계][에니어그램 9가지 유형][에니어그램 장단점][에니어그램 사례...
인간의성격유형과이해
(A+) 한국사회문제 - 먹거리의 결핍 문제와 과잉 현상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분석하...
에너지 패러다임과 해양자원&개발의 이해
[개성공단폐쇄위기] 개성공단 폐쇄 논란의 원인과 대책-개성공단문제 해결방안, 개성공단폐쇄...
[준법, 준법과 준법정신, 준법과 준법감시인, 준법과 준법투쟁, 준법과 준법감시매뉴얼, 준법...
[소련붕괴(소비에트연방 붕괴), 소련, 소비에트연방]소련붕괴(소비에트연방 붕괴)의 배경, 소...
제2차세계대전 이후의 사회주의, 제2차세계대전 이후의 냉전체제, 제2차세계대전 이후의 쿠바...
[러시아][북한][북러][정치][정상회담]러시아와 북한(북러)의 정치적 특징, 러시아와 북한(북...
[삼성SDS][삼성][삼성SDS 경영이념][삼성SDS 조직재창조][삼성SDS 사회봉사]삼성SDS의 경영이...
일본 자동차 기업 토요타, 닛산, 미국 자동차 기업 포드, GM(제너럴모터스), 독일 자동차 기...
인재육성(인재양성, 인재개발)의 교육, 정보소양, 인재육성(인재양성, 인재개발)의 지식경영,...
벤처산업(벤처기업, 벤처창업)의 의미, 벤처산업(벤처기업, 벤처창업)의 현황, 벤처산업(벤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