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반도체신소자기술, 첨단기술, 나노바이오기술]기술과 반도체신소자기술, 기술과 첨단기술, 기술과 나노바이오기술, 기술과 산업과학기술, 기술과 벤처기술, 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 기술과 정보보호기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술, 반도체신소자기술, 첨단기술, 나노바이오기술]기술과 반도체신소자기술, 기술과 첨단기술, 기술과 나노바이오기술, 기술과 산업과학기술, 기술과 벤처기술, 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 기술과 정보보호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기술과 반도체신소자기술
1. 나노 신소자 기술
2. 융합반도체 기술
3. 안테나와 센서 기술
4. 유비쿼터스 RFID

Ⅱ. 기술과 첨단기술

Ⅲ. 기술과 나노바이오기술
1. 세포독성실험(Cell Cytotoxicity)
2. HCS(High Contents Screening)
3. 단일 생체 분자 검출 기술(Single Molecule Detection)
4. DNA computing

Ⅳ. 기술과 산업과학기술
1. 산업과학기술 실무그룹 등 APEC내 관련 실무그룹에서 수행하는 프로젝트의 수적인 증가가 우선적으로 이를 뒷받침한다
2. APEC내 산업과학기술 활동을 담당하는 조직이 전문화되고 연계가 강화되고 있다
3. APEC내 산업과학기술 협력에 관련된 논의가 APEC 정상회의에서 주요의제의 일부로 다루어지고 있다

Ⅴ. 기술과 벤처기술
1. R & D 투자확대
2. 기술개발 인력의 확보
3. 첨단기술 개발자금 확보
4. 전략적 제휴 모색
5. 종합적인 지원 시스템 구축

Ⅵ. 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

Ⅶ. 기술과 정보보호기술
1. 지불(결제 : payment) 보안기술
2. 인증 기술
3. 웹 보안기술
4. 개인정보 보호기술
5. 상호연동성 및 보안성 평가 기술

참고문헌

본문내용

achining과
microfluidics 및 microelectronics 기술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연구나 유전자 관련 진단 및 처지에 사용될 자동화된 랩온어칩 시스템 개념의 MicroBE를 개발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PCR과정을 빠르게 진행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on-board 상에서 시료가 준비되며, 시료를 카트리지에 채우고 삽입한 후 단추만 누르면 자동으로 작동하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있어 기존의 실험 과정을 정확하고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aliper Technologies에서는 랩온어칩 기술을 이용한 Multi-sipper chip을 적용한 continuous-flow HTS(High Throughput Screening)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는 기존의 plate-based HTS 시스템에 비하여 훨씬 빠르고 경제적이며 재현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다.
Ⅳ. 기술과 산업과학기술
‘89 호주에서 출범한 이래 APEC의 산업과학기술 관련활동은 그 대상분야와 내용면에서 성장하여 왔다.
1. 산업과학기술 실무그룹 등 APEC내 관련 실무그룹에서 수행하는 프로젝트의 수적인 증가가 우선적으로 이를 뒷받침한다
‘95 북경 과학기술 각료회의를 계기로 하여 기존 10여개의 산업과학기술 실무그룹 프로젝트가 30여개로 증가한 것이 단적이 예이며 그 후 이러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이와 함께 프로젝트의 내용에서도 질적인 성장을 발견할 수 있다. 초기에는 관련 이슈를 제기하기 위한 workshop, conference 등 일과성 행사로 끝나기 쉬운 프로그램이 많았으나 점차 교육 훈련, 인적교류, 공동연구 등 지속적이고 효과가 큰 프로젝트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여러 활동을 포괄하는 프로젝트가 늘고 있다. 예컨대 survey를 통하여 관련이슈를 발굴하고 workshop에서 이의 해결방안을 협의하며 훈련프로그램에서 그 실행방안을 교육시키는 등의 복합프로젝트가 증가하고 있다.
2. APEC내 산업과학기술 활동을 담당하는 조직이 전문화되고 연계가 강화되고 있다
초기 산업과학기술, 에너지, 정보통신, 해양자원보존 실무그룹 등 실무그룹 차원에서 진행되던 논의가 ‘95 APEC 과학기술 각료회의의 신설에 따라 각료급 논의로 격상된 것, ’96 공식정책위원회로 변경 된 ‘농업기술협력 전문가그룹(ATC)’의 출범, ‘95 이후 ‘식량, 에너지, 환경, 경제성장, 인구(FEEEP)’ 논의를 다루고 있는 경제위원회(EC)와 관련 APEC 기구의 연계활동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또한 회원국들은 각 실무그룹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관련 논의를 종합적으로 조정하여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97 밴쿠버 정상회의에서 ‘경제기술협력 소위원회(ESC)’의 신설에 합의하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회시스템이 형성 발전 성숙하는 과정에서 시스템이 전문화/계열화하고 전문화된 개별시스템을 조정 통합하는 신설조직이 형성되는 추세와 맥을 같이 한다.
‘98 창설이후 연중 3차례 회의를 개최한 경제기술협력 소위원회는 ‘21세기 과학기술산업 협력의제’등 ‘96 마닐라 정상회의에서 제시한 경제기술협력의 6개 우선분야에 대한 진행상황 점검, ‘98 경제기술분야의 APEC 기구별 활동현황 등 현황자료를 정리하면서 향후 정책적 논의의 기초자료를 준비하고 있다. 물론 경제기술협력 소위원회는 그 탄생부터 선진국과 개도국의 이해가 합치되지 못하면서 위원회 급이 아닌 소위원회로 결정되면서 그 활동범위에 대한 한계성을 노정한 바 있다.
3. APEC내 산업과학기술 협력에 관련된 논의가 APEC 정상회의에서 주요의제의 일부로 다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APEC의 주요 논의가 무역자유화 및 투자원활화에 집중되었듯이 APEC 정상회의에서도 경제기술협력에 관한 논의는 우선순위가 낮았던 것이 사실이었다. 그러나 ‘96 필리핀 정상회의시 ‘경제협력 및 개발강화에 관한 선언(Declaration on an APEC Framework for Strengthening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을 채택하였다는 사실은 역내 경제기술협력에 관한 논의가 비중을 갖기 시작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97 의장국인 캐나다는 동 선언에서 채택한 6개 과제중 ‘경제인프라 구축’과 ‘환경친화적 개발’을 경제기술협력(ecotech) 논의의 주요 의제로 채택하였으며 ’98 의장국인 말레이시아는 ‘인적자원개발’과 ‘미래를 위한 기술활용’을 주요의제로 채택하여 추진하였다. 이어서 ‘97 밴쿠버 정상회의에 참석한 정상들은 ‘21세기 과학기술산업 협력의제(APEC Agenda for Science and Technology Industry Cooperation towards 21st Century)’를 마련할 것을 지시하였다. 또한 밴쿠버회의의 정상들은 고위관리회의의 경제기술협력 이슈에 대한 종합조정기능을 지원하도록 하기 위하여 경제기술협력 소위원회의 설립에 합의하였다.
우리나라는 비교적 활발하게 APEC 산업과학기술 관련활동에 참여하여 왔다. 현재 우리나라는 외교통상부를 창구로 하여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 등 관계부처가 참여하고 있다. 고위관리회의, 각료회의, 정상회의에는 외교통상부가 관련부처와 전문가의 협조를 받아 직접 참여하고 있으며 각종 위원회, 실무그룹, 분야별 전문 각료회의에는 관련부처가 직접 참여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주요 참여활동을 보면 회의개최와 APEC 프로젝트 수행으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는 ‘95 제1차 정보통신 각료회의, ’96 제2차 과학기술 각료회의, ‘97 제2차 인력개발 각료회의, ’97 제10차 해양자원보존 실무그룹회의, ‘98 제12차 관광 실무그룹회의, ’98 제14차 교통 실무그룹회의 등을 개최하였다. 또한 APEC 프로젝트로서 ‘95 제1차 APEC Technomart, \'98 제1차 청소년 과학축전을 개최하였으며 정보통신 각료회의와 과학기술 각료회의의 후속조치로서 ‘아태 정보인프라 구축(Asia-Pacific Information Infrastructure)’, ‘APEC 과학기술네트
  • 가격7,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7.18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25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