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화]일본문화와 일본결혼문화, 일본장례문화, 일본문화와 일본주택문화, 일본음식문화, 일본문화와 일본정원문화, 일본문화와 일본목욕문화, 일본문화와 일본방송문화, 일본문화와 일본자살문화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문화]일본문화와 일본결혼문화, 일본장례문화, 일본문화와 일본주택문화, 일본음식문화, 일본문화와 일본정원문화, 일본문화와 일본목욕문화, 일본문화와 일본방송문화, 일본문화와 일본자살문화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일본문화와 일본결혼문화
1. 일본인의 결혼
2. 결납(ゆいのう)

Ⅱ. 일본문화와 일본장례문화

Ⅲ. 일본문화와 일본주택문화

Ⅳ. 일본문화와 일본음식문화
1. 죠몬 토기시대(B.C 700-B.C 3세기경)
2. 야요이 시대(B.C 3-6세기경)
3. 나라 시대(710-794)
4. 헤이안 시대(794-1185)
5. 가마쿠라 시대(1192-1333)
6. 무로마치 시대(1338-1573)
7. 아츠치, 모모야마 시대(16세기 후반-16세기말)
8. 에도 시대(1603-1867)
9. 메이지 이후(1868-현대)

Ⅴ. 일본문화와 일본정원문화

Ⅵ. 일본문화와 일본목욕문화

Ⅶ. 일본문화와 일본방송문화

Ⅷ. 일본문화와 일본자살문화
1. 신쥬(心中)
2. 할복자살
1) 고대의 할복
2) 중세의 할복
3) 근세의 할복
4) 근․현대의 할복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기본입장이다. 낮에도 심야에도 채널을 켜면 5개의 민영방송은 쉴 새 없이 자체 경쟁을 하며 돌아가고 있다. 일본 방송국의 특징은 각국마다 뚜렷한 자체 노선이 있어 차별하가 되는 만큼 케이블 TV는 편성의 묘라든가 방송 프로그램의 차별화라는 무기를 가지고도 경쟁이 되질 않는다. 예를 들어, 모두 뉴스를 할 때 오락프로를 한다든지 드라마를 할 때 다큐멘터리를 한다거나 하는 수법들이 통하질 않는다. 간단하게 일본 텔레비전 방송국의 성격을 비교해 보자.
NHK는 공영방송으로서의 무게를 지니며 확실하게 정통성을 주장한다. 시청률에 구애받지 않고 국민들의 정서함양과 정보 전달, 국가의 공공 안녕이라는 차원에서 방송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방송이 재미를 위해서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안정과 인간성 회복에 있다는 쪽에 포커스를 맞추며 CF도 전혀 넣지 않고 제작되고 있다. 당연히 정통성이 있든 뉴스에 전력을 다하고 휴머니티가 있는 다큐멘터리 제작에 충실한다. 대작 다큐멘터리의 기획이나 투자는 대단하다. 우리가 잘 아는 <실크로드>같은 작품들이 NHK의 대표 프로그램이다.
후지TV는 NHK와 180도 다른 오락 전문방송으로서 9시 뉴스를 1분간만 방영하는 대신 1분 후 쇼, 코미디, 오락프로로 방방 뜨는 작전을 구사한다. 이런 편성 및 제작 차별화 작전은 대체로 10대, 20대, 30대의 소위 신인류에 맞춰져 있는 만큼 시청률면에서 톱을 기록한다. 일본 신인류들 중에는 텔레비전을 하나의 엔터테인먼트 소모라고 생각하는 축이 엄청나게 많다. 후지TV는 이런 세대의 사람들을 등에 업고 시청률 베스트50중에서 반을 차지한다.
TBS(니혼TV)는 \'드라마의 길\'을 고수하며 모든 드라마 부문에서 타 방송을 압도한다. 그동안 쌓아온 노하우와 과감한 소재, 과감한 시도가 계속 성공하며 드라마 방송국으로서의 체면을 유지하고 있다.
아사히 TV는 \'뉴스스테이션\'같은 흥미있고 쉬운 뉴스, TV도쿄는 놀고먹고 여행하고 건강하게 사는 생활정보, N-TV는 교양과 오락을 절묘하게 배합한 퀴즈 및 버라이어티 쇼프로에서 발군이다.
Ⅷ. 일본문화와 일본자살문화
1. 신쥬(心中)
일본의 광사원(廣辭苑)을 보면
1. 남에게 의리를 세우는 일
2. 사랑하는 남녀가 그 진실을 상대에게 보여주는 증거
3. 사랑하는 남녀가 함께 자살하는 것
4. 일반적으로 두 사람 이상이 함께 자살하는 것
이중 3,4가 일반화된 신주의 뜻풀이다.
일본이 자살이 많은 이유 중 하나가 일본인의 사생관(死生觀), 즉 죽음에 대한 인식이 아닐까 싶다. 그들은 죽음을 \'생명의 끝\'이 아니라 삶의 연장이나, 의사표현의 한 수단으로 생각하는 듯 하다. 일본어에는 \'신쥬(心中)\'라는 말이 있다. 사랑하는 남녀(대부분 불륜관계)가 동반 자살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이 말은 에도시대 때 일반에 유행했던 \'동반자살 풍습\'에서 유래됐다. \'마음의 속\'으로 번역할 수 있는 신쥬는 몸은 죽지만 상대의 마음속에 남아 저승에서 행복하게 살겠다는 뜻에서 붙여진 말이라고 한다. 동반 자살이 가장 극성을 부렸던 시기는 1680~1770년이었다고 한다. 당시 일반 대중은 사랑하는 남녀가 이승에서 사랑을 이루지 못해 동반 자살하는 것을 \'멋있고 아름다운 일\'로 선망했다. 그걸 불륜이나 치정에 얽힌 죽음으로 보기보다 \'용기 있는 사랑의 결단\'으로 봤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도처에서 모방 자살이 잇따랐고, 정부가 신쥬 금지령을 내리기에 이를 정도로 큰 사회 문제가 되기도 했다. 이러다 보니 신쥬는 문학 소재로까지 이용되게 됐다. 분라쿠(文樂)라 불리는 전통인형극 중에 일본인들이 즐겨보는 \'소네자키 신쥬\'라는 작품은 에도시대 일어난 동반자살실화를 소재로 한 것이다. 줄거리는 대충 이렇다. 장래가 촉망되는 20대 상점 점원 도쿠베와 가난 때문에 기생으로 팔려나온 10대 소녀 오하쓰가 사랑에 빠진다. 도쿠베는 오하쓰를 유곽에서 빼내려고 백방으로 노력하지만 엄청난 몸값을 마련하지 못하고 오히려 돈을 떼먹었다는 누명까지 쓴다. 돈거래의 신용을 목숨보다 중시하던 당시 상인사회에서 더 이상 살아갈 수 없게 된 두 사람은 칼로 목을 찔러 동반자살을 선택한다.
동반자살 사례모음집쯤에 해당하는 \'신쥬대감\'(大鑑)\'에 의하면 1600년대 말 무렵에는 매년 20건 이상의 신쥬 사건이 전국에서 발생했던 것으로 기록돼 있다. 그런 신쥬신드롬은 현대 일본인에게서도 종종 관찰된다. 얼마 전 일본에 개봉되었던 \'실낙원(失樂園)\'이란 소설이 공전의 히트를 친 적이 있다. 책은 물론이고 영화와 드라마로 제작돼 일대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내용은 남녀의 \'신쥬\'를 소재로 한 것이었다. 이렇듯 옛적부터 신쥬라는 것이 꾸준히 이어져 내려와 하나의 문화형태로 굳어진 것 같다.
2. 할복자살
또 다른 종류는 영화에서나 역사시간 중 태평양전쟁을 공부하면서 듣게 된 일본군인들이 자신의 배를 가르고 죽는 할복자살이다. 일본에서는 ‘셋뿌쿠(切腹)’ 또는 ‘하라기리(腹切)’라고 한다. 물론 우리나라에도 고구려 시대에는 복검(腹劍)이라고 하여 칼이나 창을 꽂아놓고 그 위에 엎어져 자결하는 전통이 없지 않았다. 유리왕의 해명태자가 부왕이 보낸 칼 위에 몸을 던져 자결했고 모본왕도 실정과 무고한 살생에 대한 여론에 굴복, 복검자결(腹劍自決)했다.
일본의 할복도 역사가 상당히 깊다. 편의상 시대를 나눠 설명하겠다.
먼저, 시대를 1세기경부터 1192년 최초 무사들의 정권인 ‘가마꾸라막부’가 설치되기까지를 고대로 하고, 1192년부터 160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에 의해 에도막부(江戶幕府)가 설치되기까지를 중세로 하겠다. 그리고 1603년부터 1867년 에도막부가 멸망하고 명치 천황에게 모든 전권이 위임되는 시기까지를 근세로 하며, 1867년부터 2차세계대전으로 말미암아 일본이 패망하는 1945년까지를 근대로 하고, 그 이후부터 오늘날까지를 현대로 삼았다.
1) 고대의 할복
기록으로 찾을 수 있는 일본 최초의 할복은 713년경의 ‘하라마풍토기(播磨風土記)’라는 문헌에서 발견된다. 그 내용 중 현재 \'효오고\'지방인 하리마 지역의 지명유래 설화의 형식으로 할복의 이야기가 서술되어 있다. 내용에는 여신이 남편의 부정을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1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