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목고 현황과 그 문제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특목고 현황과 그 문제점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요약>

Ⅰ. 서 론

Ⅱ. 본론
1. 본 설립취지의 왜곡
 가. 특목고의 입시명문고화
 다. 특목고 본래의 목적 상실에 대한 우려
2. 입학 사교육·조기유학 조장
 가. 사교육의 조장
 나. 조기유학 분위기로의 부채질
3. 학생들간의 위화감 조성
 가. 학생들 간의 지나친 경쟁구도 조성
 나. 일부 계층 자녀의 전유물화

Ⅲ. 결 론

Ⅳ. 논 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언이 아니다. 특목고가 입시 목적의 고등학교로서 역할을 하고, 이런 특목고에 들어가기 위해 초등학생 때부터 사교육을 받는 것을 볼 때, 대학 입시 종속이 심화되어가고 있으며 사교육이 그만큼 우리나라 교육의 주도권을 잡고 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다.
Ⅳ. 논 의
현 정권에서 사교육비를 경감하기 위해 대책을 내놓지만 오히려 이것이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늘리고 공교육을 사교육 기관화 하였다. 초등학교 때부터 아이들이 대학진학을 위한 입시 경쟁에 시달리고 있는 현상을 볼 때 대한민국의 교육이 입시 위주로 치우치고 그마저 공교육보다는 사교육이 입시의 주도권을 잡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목고에 진학을 희망하는 초등학생 90% 이상이 사교육을 받고 있다는 사실은 사교육을 근절시키겠다는 정부의 방침과 정면으로 대치되는 결과이며 특목고가 사교육을 유발하는 주범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평준화 정책으로 나타난 학력의 하향적 평준화, 사학의 독자성 상실로 인한 자율성 및 다양성의 훼손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완 정책들로 나온 것이 특목고, 자립형사립고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이다. 하지만 특목고가 어학 및 과학 인재를 양성한다는 본래의 취지에서 벗어나 일부 계층 자녀의 전유물이 되고 있다. 평균 수준의 중학교 교육 내용보다 훨씬 어려운 특목고 입학시험에 대비하기 위한 사교육비, 일반고보다 5배정도 비싼 특목고의 등록금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학부모의 경제력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나아가 특목고 진학이 대학입시에서 우위를 가진 것을 볼 때, 가정의 사회적 배경이 자녀의 사회적 지위로 이어진다는 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렇게 애초의 목적을 잃어버린 특목고는 기존학교보다 대학입시 경쟁에 유리한 학교 일 뿐이며, 평준화 체제를 파괴하는 주범이 되었다. 본래 취지가 외국어에 관심 있는 학생들을 집중적으로 육성시키는 것에서 벗어나 입시 학원화가 됐다면 더 이상 특목고로 존재할 의의가 없다. 특목고 진학을 위한 경쟁도 치열하지만 특목고 안에서도 대학입시에 맞춰 반을 나누어 수업하고 있으며 이것이 학생들의 위화감 조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교사, 학생이 모두 대학 진학이라는 목적만을 중시해 피상적인 인간관계가 형성되고 참 교육의 의미가 무색해진다.
참고문헌
1. 사교육 걱정없는 세상을 사는 사람들 http://cafe.daum.net/no-worry
2. 전일국,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의 필요성과 학교운영 방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04.
3. 한만중, 특목고 혹은 학벌 카르텔의 수혜자, 전교조, 2007.
4. 이경숙, 특목고와 사교육의 현황, 열린우리당, 2007.
자립형사립고 자체평가보고서, 2005
5. 이명박 정부 교육정책의 방향과 과제, 교육정책토론회, 2008
6. 이승표, 교육을 받을 권리와 바람직한 교육정책
교육평준화 정책과 학교선택권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7. 국회 국감 자료, 2006
8. 교육개발원이 진단한 ‘특목고 현주소’, 한겨레 기사 2007.9.12 19:39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7.20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5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