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결혼 풍속의 변화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결혼 풍속의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대 중국의 결혼 풍습
1. 고대 중국의 혼례의 유래와 절차
2. 고대 결혼의 다양한 유형
3. 중국 지역별 고대 결혼 의식

Ⅱ. 중국 젊은이들의 연애
1. 연애에 대한 가치관
2. 과거 젊은이들의 연애
3. 현재 젊은이들의 연애
4. 부작용
5. 한국과의 차이
6. 배우자 선택의 기준 변화

Ⅲ. 소수 민족의 결혼 풍습

Ⅳ. 현대의 결혼 절차 및 풍습

본문내용

예물을 모두 받지 않고, 그 중에서 식품류는 돌려보냈다. 또, 신부의 혼수 중에는 이불이 있었다. 이불은 언제나 10월에 만들었는데, 10은 만수(滿數)를 뜻하는 것으로 10아들을 상징한다.
5) 청기(請期)
청기는 신랑측에서 길일을 정해 놓고 겸양을 보이며, 신부측에 최종 날짜를 정하도록 청하는 것으로서, 신부측의 여러 가지 심리적, 신체적 상황을 고려하여 최종 길일을 통보한다.
6) 친영(親迎)
친영은 영친 이라고도 하며 혼례의 마지막 절차이다. 즉, 혼례 날 저녁 신랑은 신부집으로 가서 신부를 맞아오는데, 친영의 예는 천자를 제외하고 누구든지 실행하는 예속이다. 아 친영은 후대에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하였으며, 대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즉, 친영의 며칠 전에 먼저 신랑측에서 신부측에 사람을 보내어 화장을 재촉하는 데 , 이 때 장식품과 화장분 따위를 보낸다. 또, 신부측에서 신방을 꾸미게 되는데, 부유한 가정에서는 금은보석으로 장식을 하고 서민들의 경우에는 의복과 신발, 양말들을 놓았다. 친영 때, 신랑은 화교(花轎)로 신부를 데려오며, 이 때 많은 놀이와 장난이 행해진다. 즉, 가마꾼들이 움직이지 않거나 신부의 가마가 신랑의 집으로 가지 못하게 하는 장차(障車)행위를 하게 되는데, 이 때 길리전(吉利錢) 등을 내준다. 송 대의 경우에는 신부가 가마에서 내리면 주위 사람들이 쌀, 콩, 풀잎, 돈, 가자 등을 문 쪽을 향해 던졌으며, 이는 문에 있는 삼살[三煞; 청양(靑羊), 오계(烏鷄), 청우(靑牛)의 귀신]을 몰아내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친영에는 배천지(拜天地)의식이 있다. 먼저, 천지탁(天地卓)을 설치한 후 세 번 절을 한다. 첫 번째는 천지에 대한 것으로 배천지이고, 두 번째로는 시부모에 대한 것으로 배고당(拜高堂)으로 불리며, 마지막으로 부부간에 행하는 대배(對拜)가 있다. 절이 끝나면 공뢰(共牢)의식이 진행되는데 뢰는 혼례 때의 조상 제례 때에 쓰인 제육(祭肉)으로 공뢰란 이 제육을 함께 먹는 것이다. 후대에 술잔을 나누는 교배와 함께 진행되었다. 어쨌든 교배를 마지막으로 친영은 끝을 맺는다.
2. 고대 결혼의 다양한 유형
1)형매혼(兄妹婚)
말그대로 자매간의 결혼을 말한다. 이는 중국의 신화 복희(伏羲)와 여와 남매의 신화를 인간이 생각해 냈다는 것은 이와 비슷한 형태의 결혼이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즉, 혈현혼이 있었다는 것을 반영한다.
2)대우혼(對偶婚)
이것도 형매혼과 비슷하게 중국의 신화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황제(黃帝)의 결혼이야기가 그것이다. 이는 모계사회의 반영이기도 하다. 쌍방의 동의하에 남자가 여자의 집으로 가서 하루 밤을 보내는 것이다.
3)전방제(轉房制)
지아비가 죽으면 아내는 죽은 자의 형제나 당형제 등 그 피붙이에게 시집가는 것이다.
4)영첩제(迎妾制)
한 여자가 출가할 때 같은 성을 가진 여자 동생과 노비가 함께 시집가는 형태이다. 영첩은 정부인과 첩의 중간 위치에 해당한다.
3. 중국 지역별 고대 결혼 의식
1)섬서성
① 신부맞이
동이 틀 무렵 폭죽과 풍악 소리로 시작한다. 영친대는 팥죽을 먹고 예복과 기장떡을 가지고 신부의 집으로 출발한다. 신부는 3~4일 전부터 어머니에게 의례를 배우고 바느질을 배우면서 모녀간의 정분을 나눈다. 결혼 당일이 되면 신부는 예복을 갈아입고 얼굴에 숯검정을 칠한다. 이는 도중에 귀신에게 붙잡혀 가지 않기 위해 못난이로 분장하는 것이다. 신부측에서 영친대를 맞으면 영친대의 인원수와 같은 수로 이루어진 송친대를 보낸다. 영친대가 신랑의 마을에 들어서면 두 사내가 대나무 장대에 새 침대 시트를 걸고 달려나가 문기를 낚아챈다.
② 신방의식
천지 신명께 절을 하고 풍년과 행복을 상징하는 말을 안고 들어간다. 말 안에는 거울 (사악한 기운을 없애는 물건)과 자(신부의 됨됨이와 처세가 반듯하고 공정하기를 바라는 물건) 등이 들어있다. 신랑과 신부는 개검(얼굴에 난 솜털을 뽑는 것, 성인이 됨을 나타냄) 과 결발 가계(여인은 머리를 올리고 비녀를 꽂으며 남성은 머리를 묶어 올린다.)를 한 후 신방에 들 때 베게를 당기고 호두를 뿌리는 절차를 거치고 온돌에 올라선다.(다투지 않고 공경하겠다는 의미)
③ 피로연 후
항렬에 따라 일일이 절을 하면서 상견례를 한다. 그리고 신부가 남자에게 수놓은 담배 쌈지를 여자에게는 수놓은 바늘겨레를 주고 신랑은 돈을 주는 의식이다.
④밤이 되면
신방을 시끄럽게 하는 놀이를 시작한다. 이는 얼굴도 못보고 중매결혼을 하는 경우가 흔한 옛날에 처음 대면한 신랑 신부가 어색함을 떨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였다.
⑤다음날
신랑과 신부가 함께 처가로 돌아가서 술잔치를 벌인다. 이것은 가까운 친지들에게 감사 드리는 의식이다. 신랑이 대문에 들어서면 숯검정을 바른 어린 처제가 교자를 내오는데 이 교자에는 고춧가루, 콩가루, 콩깍지 등이 가득 들어있어서 신랑을 골탕 먹이는데 쓰인다. 이 때 다시 장모가 들어와서 고기를 넣은 교자를 준다.
2) 감숙성
① 신부맞이
신랑과 신부의 영친 행렬이 들어서면 어릿광대가 대문 손잡이를 잡아당겨 들어가지 못하게 하면서 명장합(아가씨가 사모하는 사람에게 선물하는 증표 또는 예물)을 요구한다. 대문에 들어서면 신랑과 신부가 멈춰 서서 말안장을 깔고 함께 넘어가게 한다. 이는 한 세대가 평안하라는 의미의 예식이다. 신랑의 형수가 의복과 신을 들고 나와 신부에게 갈아입게 하였다. 시댁의 옷을 입어야 비로소 시댁의 일원이 된다는 의미다. 신방에 들어설 때에는 광대가 신방 문을 자고 못 들어가게 하는데 이런 과정에서 즐거운 웃음소리가 나면서 서먹함이 사라지게 된다. 그러면 신부는 다시 명장합을 올리고 들어가게 된다.
②결혼식날
시어머니가 신부를 향해 대추, 밤, 계피 등을 던져주는데 이것은 어서 빨리 귀한 아들을 보자는 의미이다. 시아버지가 신방의 온돌 위에서 향을 피우는데 이는 향불이 끊이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신부는 부엌에 들어가 국수를 끓여 시부모를 직접 대접한다. 오후에 신혼 부부는 관습에 따라 우물에 물을 기러 가는데 대문 안에 들어설 때 어릿광대가 물통에 돌을 던져 신부가 물에 흠뻑 젖게 한다.(돌을 빠뜨리다[쳔스]와 성실하다의 음[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3.07.31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4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