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유형, 전승성,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전승과정, 시대,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지배집단, 통과의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유형, 전승성,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전승과정, 시대,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지배집단, 통과의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유형

Ⅲ.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전승성

Ⅳ.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전승과정

Ⅴ.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시대

Ⅵ.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지배집단

Ⅶ.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통과의례

Ⅷ.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와 신화

Ⅸ.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한계점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였으나 신통력으로 죽음을 거부하였다.
문호장이 관찰사로부터의 죽음을 거부한 것은 관찰사와의 대결에서 승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김덕령이 왕으로부터의 죽음을 거부한 것과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호장은 김덕령과 같이 죽을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문호장이 비록 관찰사는 이겼지만 관찰사 뒤에 버티고 있는 지배질서는 극복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문호장은 완강한 현실의 벽을 허물지 못하고 죽어주기로 했다. 설화에서 문호장은 죽음의 대가로 당집과 제사를 받아낸다. 당집과 제사가 개인적이고 가정적인 것이라는 점에서 볼 때 문호장은 사회에서 좌절당하고 가정으로 복귀한 것이 된다.
죽어주는 것은 죽임을 당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죽임을 당하는 것은 힘의 우열과 관계가 있지만, 죽어주는 것은 명분과 관련되는 문제이다. 아기장수가 죽임을 당한 것은 자신을 방어할 힘이 없었기 때문이고, 죽어준 것은 충과 효의 명분을 잃지 않기 위해서이다. 김덕령과 문호장이 충과 효의 명분 때문에 죽어주었다는 것은 아기장수설화의 전승에 일관되게 흐르는 충과 효에 대한 민중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고려시대 김씨 집안의 한 과부가 잉태하여 배가 불러왔다. 동네 사람들이 수군거리자 부모에게 사실을 이야기하고 지렁이를 죽였다. 옥동자를 낳았는데 온 몸에 비늘이 돋혀 있고 겨드랑이에 날개가 달려 있었다. 과부는 이 사실을 숨기고 아이를 키웠다. 김씨 집안에서 지렁이와 정을 통했다고 하여 아이의 이름을 김통정이라 하였다. 김통정은 비범하고 도술을 부릴 수 있어 삼별초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김통정은 육지에서 쫓겨 제주도로 왔으나 따라온 김방경장군을 당할 수 없어 백성과 함께 성으로 들어갔다. 이 때 급한 나머지 아기업개를 성에 들이지 못하고 문을 닫고 말았다. 아기업개는 분함을 품고 김방경장군에게 김통정 잡을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 김통정은 결국 아기업개의 배신으로 김방경장군에게 죽고 말았다.
몸에 비늘과 날개가 달렸다는 것과 도술을 부릴 수 있다는 것은 아기장수설화의 기본형과 같다. 그러나 어머니가 김통정의 비밀을 감추고 키웠다는 점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김통정의 탄생 배경에 야래자설화가 삽입된 것은 김통정을 신비화시키기 위한 장치에 불과하다. 김통정은 어머니의 보호를 받으며 장수로 성장했을 뿐만 아니라 삼별초의 우두머리가 되어 몽고 지배하의 조정에 대항하였다. 이로 인하여 김통정은 민중의 영웅일 뿐만 아니라 민족적인 영웅으로서의 성격도 지니게 된다.
김통정은 제주도로 쫓겨와 최후의 항쟁을 시도했으나 조정에서 파견된 김방경장군에게 죽임을 당했다. 그런데 중요한 사실은 김통정이 패배하게 되는 배경에 아기업개의 배신이 설정되어 있는 점이다. 이는 아기장수가 어머니의 실수 때문에 재기에 실패하는 것과 유사하다. 김통정 이야기에는 어머니가 비밀을 감추고 김통정을 키웠기 때문에 어머니가 아닌 다른 여자를 방해자로 설정했을 것으로 보인다. 김통정은 결국 아기장수의 경우와 같이 지배집단에 합세한 여자에 의해 죽임을 당한 것이다.
Ⅶ.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통과의례
아기장수이야기의 통과의례적 상징에 대해서는 이미 앞에서 언급하였다. 아기장수의 죽음을 통해 이 통과의례는 실패로 귀결되는데 통과의례의 실패 요인이 어머니의 폭로와 살해에 있다는 점이 특히 비극적이다. 모든 인간관계 가운데서도 어머니와 자식의 관계만큼 근원적이고 이상적인 것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기장수이야기는 표면적으로 사회 입문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감을 고취시킨다고 볼 수 있다. 이야기 전승을 통해 통과의례의 실패가 곧 존재의 파멸로 이어짐을 목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두려움과 불안감은 오히려 사회 입문에 대한 무의식적인 거부로 이어져 심리적인 고착을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의미를 전적으로 받아들일 때 이와 같은 이야기를 오랜 세월 동안 사회 입문을 앞둔 어린 아이들에게 전승해 왔다는 사실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 마을이나 집안의 연장자가 어린 아이들에게 들려주는 형태로 전승되는 아기장수이야기는, 그 전승양상이나 내용으로 볼 때 이야기의 전승 자체가 사회 입문을 위한 통과의례적인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아기장수의 죽음을 사회 입문의 통과의례와 관련하여 좀더 심층적으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아기장수의 죽음이 새로운 존재로 거듭나기 위한 의례적인 죽음이라면 아기장수의 죽음 자체가 하나의 통과의례적 상징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때 아기장수는 전승자들을 대신해서 사회 입문의 통과의례를 치루는 영웅이 된다. 아기장수의 죽음을 이렇게 이해할 때 아기장수의 죽음을 둘러싼 비극성은 새롭게 해석될 필요가 있다.
아기장수의 죽음은 신화에서 흔히 등장하는 ‘기아(棄兒)’의 모티프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기아’의 과정이 영웅의 모험, 통과의례의 시작을 의미한다면, 두 가지는 모두 입사 과정의 분리와 단절을 상징한다. 특히 이 죽음과 ‘기아’는 모두 부모로부터의 분리와 단절, 특히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어머니로부터의 분리이기에 고통을 동반하며 이것이 곧 통과의례의 아픔과 시련을 상징한다.
‘기아(棄兒)’의 모티프는 여러 영웅신화에서 발견된다. 알의 상태로 버려지는 주몽이나 함에 담겨 떠내려오는 탈해, 그리고 제주도 무속신화에 등장하는 여러 영웅들 역시 부모로부터 버림받아 함에 담긴 채 바다에 버려진다. 특히 제주도 무속신화에 등장하는 ‘기아’ 모티프는 부모에 의한 살해의 형식을 띤다는 점, 그리고 이로 인한 부모와 자식 간의 갈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아기장수의 죽음과 가장 유사하다.
동이요왕할마님이 솟아납기는 신구월 초아흐렛날. 아방국 동이용궁 어멍국 서이용궁으로 솟아나, 열다섯 십오세 나니, 두설에 아버님 삼각쉬 메온 줴목, 아바님 통대 거끈 줴목, 어머님 가심 허위튿은 줴목을 마련허연, 죽이기로 때, 서이용궁 어멍국이 말을 뒈, “이 내 속으로 난 식을 어찌 이 내 손으로 죽일 수 있오리까. 그리 말고 동이용궁 쒜처리 아 불러당 무쉐설캅을 맹글아그네 죽으랭 동이와당데레 띄와불미 어찌오리까?”
애기를 부려놓난 소천국 아바님 독립데레 올라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6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