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국의 지역사회 경찰활동
1) 이웃 지켜주기 프로그램
2) 시민 순찰 활동
3) 언론의 범죄예방 프로그램
4) 시민경찰학교 운영(Citizen`s Polive Academy : CPA) 프로그램
5) 안전학교 프로젝트 (The Safe School Project:SSP)
(2) 미국의 지역사회 경찰활동 모델 및 성공사례
1) 미시간의 플린트에서의 이웃도보순찰
2) 버지니아의 뉴포트스뉴스에서의 문제지향적 경찰활동
3) 메릴랜드의 불티모아군에서의 지역사회 도보순찰관
4) 뉴저지의 뉴와크에서의 도보순찰과 공포 감소
5) 텍사스의 휴스턴에서의 이웃지향적 경찰활동
6) 미시간의 디트로이트에서의 소규모 경찰서
7) 위스컨신의메디슨에서의 실험경찰활동구역
8) 워싱턴의 시애틀에서의 시민행동계획(public action plan)
9) 캘리포니아의 로스앤젤레스에서의 3연포위작전
3. 결론
1) 이웃 지켜주기 프로그램
2) 시민 순찰 활동
3) 언론의 범죄예방 프로그램
4) 시민경찰학교 운영(Citizen`s Polive Academy : CPA) 프로그램
5) 안전학교 프로젝트 (The Safe School Project:SSP)
(2) 미국의 지역사회 경찰활동 모델 및 성공사례
1) 미시간의 플린트에서의 이웃도보순찰
2) 버지니아의 뉴포트스뉴스에서의 문제지향적 경찰활동
3) 메릴랜드의 불티모아군에서의 지역사회 도보순찰관
4) 뉴저지의 뉴와크에서의 도보순찰과 공포 감소
5) 텍사스의 휴스턴에서의 이웃지향적 경찰활동
6) 미시간의 디트로이트에서의 소규모 경찰서
7) 위스컨신의메디슨에서의 실험경찰활동구역
8) 워싱턴의 시애틀에서의 시민행동계획(public action plan)
9) 캘리포니아의 로스앤젤레스에서의 3연포위작전
3. 결론
본문내용
(1) 미국의 지역사회 경찰활동
도보순찰을 강화하면서 지역 주민과의 대면접촉 그리고 대화와 범죄예방을 위한 각종모임 및 프로그램의 진행으로 지역사회의 각종 모임과 회의 참석을 통한 애로사항 청취 및 경찰활동 홍보와 타 행정기관과의 조정을 통하여 간이 지구대의 개설을 통한 대면 서비스의 증대하며 지역사회 경찰관에게 재량권 부여 및 장기간 근무토록 하고 있다. 허찬. 2001
PERF의 연구에 따르면 5만명 이상을 관할하는 경찰기관의 약 41%가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19%는 지역사회 경찰활동 정책들을 개발 하고 있는 중이고, 11%는 1년안에 그러한 정책들을 개발할 계획 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70년 후반에 뉴욕시는 심각한 재정위기에 직면하면서 10,000 명의 경찰관을 해고하게 되었지만 911시스템에 접수된 사건은 매년 증가하여 1988년에는 800만 건을 넘어 서게 되었고 이러한 800만 건 중 약 50%는 경찰이 출동을 한다. 1982년 재정위기가 해소됨에 따라 경찰은 대규모로 신임경찰을 채용하기 시작했다. 뉴욕경찰은 Vera 재단에 의뢰하여 새로운 인적자원을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마련하고 있었다. Vera재단은 새로운 인적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마련하기 위해서 상급관리자와 중간관리자들을 면접하고, 질문지를 작성하염 ㅗ든 지역지휘관들에게 배포하고 이들에게 지구경찰서의 조직구조, 지구경찰서에 배치된 순찰경찰관의 수, 이러한 자원을 배치하는 방법, 특별한 순찰프로그램에 관한 견해를 표명하도록 했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폭넓은 연구 끝에 지역사회 순찰경찰관 프로그램을 제안하게 된다. 지역사회 경찰관 프로그램은 각 지구경찰서 마다 10명의 경찰관으로 구성되고 뉴욕시 경찰은 대략 인구 100,000명당 1개의 경찰서를 수렵하고 있으며, 모두 75개의 경찰서가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 순찰경찰관으로 근무하는 경찰관은 750명이다. 미국지역사회경찰의 여러 가지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자.
1) 이웃 지켜주기 프로그램
이웃 지켜주기 프로그램은 이웃 지켜주기, 구역지켜주기 , 가정지켜주기, 지역사회지켜주기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활동으로 1960년대 말에 처음으로 시작된 것으로 지역주민들이 서로 간에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여 이웃사람들의 습관이나 일상 활동에 대해 잘 알게 되고, 이렇게 되면 자신들의 구역 내에서 의심스러운 사람이나 행동을 쉽게 발견할 수 있어 지역내의 범죄를 예방하려는 프로그램인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1980년대 이후 미국에서 가장 대중적인 지역사회 범죄예방 프로그램으로 미 법무부 통계국에 따르면 미국의 다섯 가구 중에 한 가구가 이러한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는 지역에 거주하고 이쏙, 지역내의 실질적인 참여율이 약 38%에 이른다고 한다. 이 프로그램 운영에는 지방정부에서 재정적인 지원을 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보안관서나 관할 경찰국에서 관리하고있다.
평균 15가정을 하나의 조로 구성된 이웃집단은 먼저 이 프로그램의 운영에 관한 세부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규칙과 절차를 만들게 하고 지역사
도보순찰을 강화하면서 지역 주민과의 대면접촉 그리고 대화와 범죄예방을 위한 각종모임 및 프로그램의 진행으로 지역사회의 각종 모임과 회의 참석을 통한 애로사항 청취 및 경찰활동 홍보와 타 행정기관과의 조정을 통하여 간이 지구대의 개설을 통한 대면 서비스의 증대하며 지역사회 경찰관에게 재량권 부여 및 장기간 근무토록 하고 있다. 허찬. 2001
PERF의 연구에 따르면 5만명 이상을 관할하는 경찰기관의 약 41%가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19%는 지역사회 경찰활동 정책들을 개발 하고 있는 중이고, 11%는 1년안에 그러한 정책들을 개발할 계획 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70년 후반에 뉴욕시는 심각한 재정위기에 직면하면서 10,000 명의 경찰관을 해고하게 되었지만 911시스템에 접수된 사건은 매년 증가하여 1988년에는 800만 건을 넘어 서게 되었고 이러한 800만 건 중 약 50%는 경찰이 출동을 한다. 1982년 재정위기가 해소됨에 따라 경찰은 대규모로 신임경찰을 채용하기 시작했다. 뉴욕경찰은 Vera 재단에 의뢰하여 새로운 인적자원을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마련하고 있었다. Vera재단은 새로운 인적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마련하기 위해서 상급관리자와 중간관리자들을 면접하고, 질문지를 작성하염 ㅗ든 지역지휘관들에게 배포하고 이들에게 지구경찰서의 조직구조, 지구경찰서에 배치된 순찰경찰관의 수, 이러한 자원을 배치하는 방법, 특별한 순찰프로그램에 관한 견해를 표명하도록 했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폭넓은 연구 끝에 지역사회 순찰경찰관 프로그램을 제안하게 된다. 지역사회 경찰관 프로그램은 각 지구경찰서 마다 10명의 경찰관으로 구성되고 뉴욕시 경찰은 대략 인구 100,000명당 1개의 경찰서를 수렵하고 있으며, 모두 75개의 경찰서가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 순찰경찰관으로 근무하는 경찰관은 750명이다. 미국지역사회경찰의 여러 가지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자.
1) 이웃 지켜주기 프로그램
이웃 지켜주기 프로그램은 이웃 지켜주기, 구역지켜주기 , 가정지켜주기, 지역사회지켜주기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활동으로 1960년대 말에 처음으로 시작된 것으로 지역주민들이 서로 간에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여 이웃사람들의 습관이나 일상 활동에 대해 잘 알게 되고, 이렇게 되면 자신들의 구역 내에서 의심스러운 사람이나 행동을 쉽게 발견할 수 있어 지역내의 범죄를 예방하려는 프로그램인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1980년대 이후 미국에서 가장 대중적인 지역사회 범죄예방 프로그램으로 미 법무부 통계국에 따르면 미국의 다섯 가구 중에 한 가구가 이러한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는 지역에 거주하고 이쏙, 지역내의 실질적인 참여율이 약 38%에 이른다고 한다. 이 프로그램 운영에는 지방정부에서 재정적인 지원을 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보안관서나 관할 경찰국에서 관리하고있다.
평균 15가정을 하나의 조로 구성된 이웃집단은 먼저 이 프로그램의 운영에 관한 세부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규칙과 절차를 만들게 하고 지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