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량고객화란?
2. 대량고객화의 실현 및 사례
(1). 델(Dell)컴퓨터
(2). 나이키
(4). 내쇼날 자전거 공업주식회사(NBIC)
(5). Paris Miki(일본 안경업체)
(6). 한샘
3. 기업의 대응
2. 대량고객화의 실현 및 사례
(1). 델(Dell)컴퓨터
(2). 나이키
(4). 내쇼날 자전거 공업주식회사(NBIC)
(5). Paris Miki(일본 안경업체)
(6). 한샘
3. 기업의 대응
본문내용
어 매출 신장 및 고급 이미지 확립
□ 7개월 만에 대량맞춤을 도입한 공장을 준공하고 운영에도 성공
- 고객화제품이 기존 제품에 비해 20~30% 높은 가격에 판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객들은
기꺼이 제품을 구매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급증하면서 대량고객화에 대한 믿음이 확산
·전년대비 판매량이 20% 늘어났고, 이중 고객화제품이 높은 비중을 차지
- 주문 즉시 제조 및 배달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미리 생산해놓은 제품을 주는 것이 아니냐’는 고객의 오해를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2주의 배송기간을 지켰음
□ 고가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세계적 브랜드로 성장
- 대량고객화 체제 구축이 고질적인 수요체계를 타개하는 원동력이 됨
-「고급 고객화 자전거 생산업자」의 이미지가 형성되어 브랜드 자산이 증가한 것이 큰 소득
□지속적 개선을 통해 최근에는 대량고객화 역량을 더욱 강화
- 고개 주문(색상, 치수, 옵션 등)에 따라 컴퓨터가 설계를 하면 로봇이 용접과 도색을 하며
작업자들은 단순 조립작업만을 수행
·24시간 내에 포장까지 끝나고 배송준비 완료됨
-고객에게 8백만 가지 조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
□ 대량고객화의 선도적 회사로 글로벌 벤치마킹의 대상이 됨
- 포전(1990년) 등에 사례가 보도되면서, 각국에서 자전거 공장을 방문
- 경쟁사인 브리지스톤, 미야타 등이 NBIC의 대량맞춤 방식을 모방했으나, NBIC가 구축한
고급브랜드의 벽을 넘어서지 못했음
(5). Paris Miki(일본 안경업체)
고객의 세세한 요구를 만족 시키는 ‘나만을 위한 안경’으로 고성장
□ 파리스 미키는 세계 최다 체인점을 보유한 일본의 안경 소매업체
- 1930년 작은 안경점에서 출발하여 현재 미국 등 9개 국에서 1,045개 체인점을 운영
- 장기 불황으로 일본 기업들이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계속 고성장
(2002년 매출 74억엔)
□ 개별 고객의 얼굴 형태나 취향에 맞춘 안경을 신속하게 제공
- 인공지능,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디자인 시스템을 보유
·고객이 여러 종류의 안경을 써본후 선택을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점포 재고도 감축
-다양한 제품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원하는 대로 제작을 하여 만족도를 높
이면서 고객충성도를 강화
‘나만을 위한 안경’제작
1.얼굴형 분석: 고객 얼굴을 디지털 사진으로 찍어 화면에 띄운 후에 얼굴 윤곽, 눈썹 모양,
귀와 눈의 높이 등을 분석
2.선호도 분석: 단순함, 우아함, 스마트해 보임 등 고객이 원하는 디자인의 안경 프레임을 60여
가지 속성으로 구체화하고 얼굴 분석 내용을 반영하여 적절한 안경을 추천
3.디지털 합성: 고객이 가상안경을 쓴 모습을 화면으로 보면서 렌즈 색상과 사이즈, 코받침
안경다리, 곡선정도, 경첩 등을 조절하고 결정
4.안경 제작: 고객이 안경을 최종 결정해 주면, 기술자가 한 시간 내 제작
□ 저가격 업체의 공격적인 공세 속에서 프리미엄 경쟁력을 확보
- 경기 침체가 지속되자 일본 안경시장에 가격파괴 업체들이 등장
·신생 안경회사 「Own Days」는 3천 5천 7천 엔으로 판매하는 ‘357 전략’을 구사
-파리 미키는 맞춤 서비스를 선호하는 고급 고객을 대상으로 프리미엄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음
(6). 한샘
‘3分CAD\'와 ’시공좌석제‘로 맞춤화 실현
□한샘은 보급형 부엌가구 시장을 개척한 국내 가구업체의 선도 기업
- 양산체제 구축 및 프로세스 혁신으로 고품질 보급형 제품을 개발하는데 성공
·대표적 히트상품인 ‘밀란시리즈’는 연간 5만 세트 이상 판매
- 주문과 발주의 온라인화로 납기일을 대폭 단축하는 동시에 고객의 생활환경에 맞춘 제품을 판매
·주문 후 3일 내에 납품을 하고, 1일 내 시공을 완료
□ 설계에서 발주까지 3분 만에 완성시키는 ‘3分CAD’를 가동
- 고객이 대리점의 키친디자이너와 상담을 하고 제품 사양을 선택하는 즉시, 맞춤화된
부엌 설계도와 견적서를 확인할 수가 있음
·‘3分CAD’에는 2천여 개의 평형별 .길이별 설계 데이터베이스와 모든 제품의 가격이 저장되어 있음
□ 고객이 제품설치 일자를 직접 선택하는 ‘시공좌석제’를 운영
-고객이 시공 날짜와 시간을 온라인 상에서 선택하도록 하는 ‘시공예약제’를 운영하고
있는데, 항공사의 좌석예약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시공좌석제’로 명명
-8백 명에 이르는 시공서비스 요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서비스 품질에도 각별히 신경을 쓰고 있음
-납기일과 물량에 대한 예측이 가능해져 재고 부담이 크게 줄었음
·시공일에 맞춰 제품을 출하배송하기 때문에 물류센터에서는 필요한 최소의 재고물량만보유
협력업체와의 시스템 연계 및 대량 자재구매로 비용을 절감
□협력업체와의 정보공유와 세밀한 지원을 통해 업무효율을 제고
- 1999년 대리점, 협력업체와 본사를 연결하는 기간 전산망인 ERP(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시스템을 구축
·ERP시스템을 통해 주문서를 실시간으로 발송하여 제품 납기를 단축
- 원자재 공동구매, 구매예시 시스템 등을 통해 협력업체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을 줌
□ 자재 대량구매와 부품 모듈화로 원가경쟁력을 확보
- 대량 구매로 제조원가의 40%를 차지하는 원자재 구매비용을 절감
·협력업체 및 중소 부엌가구업체의 물량까지 공동으로 구매
- 부엌가구에 많이 소요되는 도어를 모듈화한 ‘도어호환시스템’을 개발하여 생산공정을 단
순화하고 재고활용도를 높였음
3. 기업의 대응
대량고객화 역량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했음을 인식
□대량고객화이 기업 경쟁력의 필수조건으로 부상
- 델컴퓨터의 경우 사업초기부터 ‘대량맞춤’ 모델을 도입한 것이 업계 1위를 계속 지킬 수 있었던 요인
·‘주문 후 생산(build to order)\' 방식을 통해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면서 원가경쟁력도 확보
-최근 비즈니스 위크지는 삼성의 성공요인으로 대량맞춤 역량을 지적
삼성의 성공요인을 ‘대량고객화’으로 설명
- 비즈니스 위크지(2003년 6월 23일)는 ‘고객화 역량’과 ‘스피드’를 삼성의 성공요인으 로 지적. 반도체 가격이 경쟁사 대비 평균 17% 비싼데도 시장에서 각광받는 것은 제 품의 60%가 맞춤상품이기
□ 7개월 만에 대량맞춤을 도입한 공장을 준공하고 운영에도 성공
- 고객화제품이 기존 제품에 비해 20~30% 높은 가격에 판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객들은
기꺼이 제품을 구매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급증하면서 대량고객화에 대한 믿음이 확산
·전년대비 판매량이 20% 늘어났고, 이중 고객화제품이 높은 비중을 차지
- 주문 즉시 제조 및 배달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미리 생산해놓은 제품을 주는 것이 아니냐’는 고객의 오해를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2주의 배송기간을 지켰음
□ 고가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세계적 브랜드로 성장
- 대량고객화 체제 구축이 고질적인 수요체계를 타개하는 원동력이 됨
-「고급 고객화 자전거 생산업자」의 이미지가 형성되어 브랜드 자산이 증가한 것이 큰 소득
□지속적 개선을 통해 최근에는 대량고객화 역량을 더욱 강화
- 고개 주문(색상, 치수, 옵션 등)에 따라 컴퓨터가 설계를 하면 로봇이 용접과 도색을 하며
작업자들은 단순 조립작업만을 수행
·24시간 내에 포장까지 끝나고 배송준비 완료됨
-고객에게 8백만 가지 조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
□ 대량고객화의 선도적 회사로 글로벌 벤치마킹의 대상이 됨
- 포전(1990년) 등에 사례가 보도되면서, 각국에서 자전거 공장을 방문
- 경쟁사인 브리지스톤, 미야타 등이 NBIC의 대량맞춤 방식을 모방했으나, NBIC가 구축한
고급브랜드의 벽을 넘어서지 못했음
(5). Paris Miki(일본 안경업체)
고객의 세세한 요구를 만족 시키는 ‘나만을 위한 안경’으로 고성장
□ 파리스 미키는 세계 최다 체인점을 보유한 일본의 안경 소매업체
- 1930년 작은 안경점에서 출발하여 현재 미국 등 9개 국에서 1,045개 체인점을 운영
- 장기 불황으로 일본 기업들이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계속 고성장
(2002년 매출 74억엔)
□ 개별 고객의 얼굴 형태나 취향에 맞춘 안경을 신속하게 제공
- 인공지능,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디자인 시스템을 보유
·고객이 여러 종류의 안경을 써본후 선택을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점포 재고도 감축
-다양한 제품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원하는 대로 제작을 하여 만족도를 높
이면서 고객충성도를 강화
‘나만을 위한 안경’제작
1.얼굴형 분석: 고객 얼굴을 디지털 사진으로 찍어 화면에 띄운 후에 얼굴 윤곽, 눈썹 모양,
귀와 눈의 높이 등을 분석
2.선호도 분석: 단순함, 우아함, 스마트해 보임 등 고객이 원하는 디자인의 안경 프레임을 60여
가지 속성으로 구체화하고 얼굴 분석 내용을 반영하여 적절한 안경을 추천
3.디지털 합성: 고객이 가상안경을 쓴 모습을 화면으로 보면서 렌즈 색상과 사이즈, 코받침
안경다리, 곡선정도, 경첩 등을 조절하고 결정
4.안경 제작: 고객이 안경을 최종 결정해 주면, 기술자가 한 시간 내 제작
□ 저가격 업체의 공격적인 공세 속에서 프리미엄 경쟁력을 확보
- 경기 침체가 지속되자 일본 안경시장에 가격파괴 업체들이 등장
·신생 안경회사 「Own Days」는 3천 5천 7천 엔으로 판매하는 ‘357 전략’을 구사
-파리 미키는 맞춤 서비스를 선호하는 고급 고객을 대상으로 프리미엄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음
(6). 한샘
‘3分CAD\'와 ’시공좌석제‘로 맞춤화 실현
□한샘은 보급형 부엌가구 시장을 개척한 국내 가구업체의 선도 기업
- 양산체제 구축 및 프로세스 혁신으로 고품질 보급형 제품을 개발하는데 성공
·대표적 히트상품인 ‘밀란시리즈’는 연간 5만 세트 이상 판매
- 주문과 발주의 온라인화로 납기일을 대폭 단축하는 동시에 고객의 생활환경에 맞춘 제품을 판매
·주문 후 3일 내에 납품을 하고, 1일 내 시공을 완료
□ 설계에서 발주까지 3분 만에 완성시키는 ‘3分CAD’를 가동
- 고객이 대리점의 키친디자이너와 상담을 하고 제품 사양을 선택하는 즉시, 맞춤화된
부엌 설계도와 견적서를 확인할 수가 있음
·‘3分CAD’에는 2천여 개의 평형별 .길이별 설계 데이터베이스와 모든 제품의 가격이 저장되어 있음
□ 고객이 제품설치 일자를 직접 선택하는 ‘시공좌석제’를 운영
-고객이 시공 날짜와 시간을 온라인 상에서 선택하도록 하는 ‘시공예약제’를 운영하고
있는데, 항공사의 좌석예약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시공좌석제’로 명명
-8백 명에 이르는 시공서비스 요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서비스 품질에도 각별히 신경을 쓰고 있음
-납기일과 물량에 대한 예측이 가능해져 재고 부담이 크게 줄었음
·시공일에 맞춰 제품을 출하배송하기 때문에 물류센터에서는 필요한 최소의 재고물량만보유
협력업체와의 시스템 연계 및 대량 자재구매로 비용을 절감
□협력업체와의 정보공유와 세밀한 지원을 통해 업무효율을 제고
- 1999년 대리점, 협력업체와 본사를 연결하는 기간 전산망인 ERP(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시스템을 구축
·ERP시스템을 통해 주문서를 실시간으로 발송하여 제품 납기를 단축
- 원자재 공동구매, 구매예시 시스템 등을 통해 협력업체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을 줌
□ 자재 대량구매와 부품 모듈화로 원가경쟁력을 확보
- 대량 구매로 제조원가의 40%를 차지하는 원자재 구매비용을 절감
·협력업체 및 중소 부엌가구업체의 물량까지 공동으로 구매
- 부엌가구에 많이 소요되는 도어를 모듈화한 ‘도어호환시스템’을 개발하여 생산공정을 단
순화하고 재고활용도를 높였음
3. 기업의 대응
대량고객화 역량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했음을 인식
□대량고객화이 기업 경쟁력의 필수조건으로 부상
- 델컴퓨터의 경우 사업초기부터 ‘대량맞춤’ 모델을 도입한 것이 업계 1위를 계속 지킬 수 있었던 요인
·‘주문 후 생산(build to order)\' 방식을 통해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면서 원가경쟁력도 확보
-최근 비즈니스 위크지는 삼성의 성공요인으로 대량맞춤 역량을 지적
삼성의 성공요인을 ‘대량고객화’으로 설명
- 비즈니스 위크지(2003년 6월 23일)는 ‘고객화 역량’과 ‘스피드’를 삼성의 성공요인으 로 지적. 반도체 가격이 경쟁사 대비 평균 17% 비싼데도 시장에서 각광받는 것은 제 품의 60%가 맞춤상품이기
키워드
추천자료
인간존중 경영의 실제 사례를 문화경영 관점에서 분석
[경영학] 지식경영 레포트
[경영]GM 경영위기 분석
[ 환경보건경영시스템 ] 환경경영시스템의 대두 배경과 환경권의 기본적 법리
[경영] 정보사회와 지식사회 출현 특징 지식경영 발표레포트
[환경경영] 환경경영 시험대비 완벽정리 노트
[경영학원론]삼성생명 고객만족경영 사례조사
[지속경영의 개념] 지속경영의 도입배경과 발전과정 및 정의
[기업경영 접근방식] 기업경영에 대한 접근방식(고전적, 행위론적, 계량적 접근방식)
[경영학원론] 제4부 경영활동의 대상 - 제11장 인적자원과 정보지식의 관리 (인적자원의 관리...
농심 기업경영분석 및 브랜드이미지 개선위한 농심 경영 마케팅전략 제안
유니클로 경영전략과 문제점,유니클로경영전략,유니클로문제점,유니클로기업분석,SPA
[경영학] 유니클로(UNIQLO)의 경영전략
[경영전략] 쉐보레(Chevrolet)의 경영전략사례.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