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1. 농심기업분석
2. 농심의 마케팅활동 분석
3. 농심의 브랜드이미지 개선위한 경영전략 제안
4. 마케팅전략 제안
(1)유기농제품 촉진전략
SWOT분석
-Strengths (강점)
-Weaknesses (약점)
-Opportunity (기회)
-Threat (위협)
마케팅 믹스 4P전략
(1) Prouduct
(2) Price
(3) Promotion
(4) Place
5. 프로모션 전략 제안
2. 농심의 마케팅활동 분석
3. 농심의 브랜드이미지 개선위한 경영전략 제안
4. 마케팅전략 제안
(1)유기농제품 촉진전략
SWOT분석
-Strengths (강점)
-Weaknesses (약점)
-Opportunity (기회)
-Threat (위협)
마케팅 믹스 4P전략
(1) Prouduct
(2) Price
(3) Promotion
(4) Place
5. 프로모션 전략 제안
본문내용
상품이 2000억원 매출채권이 1,060억원, 재고자산이 816억원으로 유동자산의 대부분을 점하고 있다.
04년 말 현재 부채 및 자본구성을 보면 타인자본 5,668억원,자기자본 7,725억원으로 부채 및 자본총액의 57,7%를 점하고 있으며 구성은 자본금 288억원, 자본잉여금 2,960억원, 이익잉여금 4,548억원, 자본조정 -71억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국내영업
1. 조직 및 판매망
현재 농심의 국내영업 조직은 영업본부 스탭부서로 영업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는 영업기획실과 영업지원 업무를 담당하는 영업지원팀, 그리고 상온제품과 냉동제품을 각각 담당하는 일선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선조직은 유통의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제로 개편, 종전 지역별 체제에서 2006년부터는 시판영업 부문과 직판영업 부문의 양대 전문 영업체제로 전환하였다.
시판영업 부문은 10개 영업부의 54개 지점과 6개 영업소 체제로,m 직판영업 부문은 600여개 특약점의 판매망이 구성돼 있다.
한편 스탭조직은 면류와 라이스류의 영업정책 및 전략개발의 담당하는 면영업기획팀, 스낵류의 영업정책 및 전략개발을 담당하는 스낵영업기획팀, 상품 및 음료류의 영업정책 및 전략개발을 담당하는 상품영업기획팀, 유통조사 업무를 담당하는 유통조사팀과 영업조사팀으로 구성돼 있다.
2. 선진 영업체제 구축
농심은 82개 지점, 6개 영업소,m 600여개의 특약점을 완비, 전국을 동시에 신속히 커버할 수 있는 대량 유통능력을 확보하고 있고 신유통채널은 할인점, 편의점 본부와의 협상력을 높이는 전문 영업체제를 갖추고 있다. 또한 유통채널별, 제품별로 차별화된 영업, 현장 분포위주, 진열위주의 영업, 600여 특약점에 대한 월별 분포조사 및 분석 등 현장 중심의 영업전략을 전개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주문접수 후 최대 1일 이내의 배송체계, 창고 보유재고 5.3일의 최단기 제품 회전기간 실현 완벽한 채권관리 시스템 구축, PDA를 활용한 Mobile Office 시스템 구축, 전산화를 통한 영업업무의 온라인화 등 선진 영업체제를 구축함으로써 급변하는 영업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3. 상품영업
농심은 변화하는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적극 대응하여 신시장을 개척하고 회사의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해외 초일류 브랜드의 식품을 수입해 판매하거나 국내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 2006년 1월 현재 이 부문을 담당하는 상품영업본부는 스탭부서로 상품기획실과 상품지원팀이 있으며, 영업조직은 상품사업부 내 4개 영업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영업부 산하에 총 16개 지점이 편재돼 있다.
1990년대 초 취급 브랜드는 켈로그, 거버 이유식, 맥코믹 후추, 캠벨스프 및 v-8주스, 햄류, 커피류, 건과류, 크랙카잭, 포테토칩 등 다양했으나, 1994년 이후 캠벨사 제품, 1995년 거버사 제품 등의 판매를 중단하고, 이후 웰치주스, 튜울립 햄, 카프리선, 일본 하우스 카레, 네슬레 제품 등을 차례로 수입하여ㅓ 새로운 제품 구색을 갖추었다.
2006년 1월 gswo 농심에서 취급하는 해외 브랜드는 켈로그(씨리얼류), 네슬레(커피류) 튤립(육가공제품), 하우스(카레류), 알쿠니아(과일통조림류), 맥코믹(후추 등 향신료), 바릴라(스파케티류), 빌라블랑카(올리브유), 수산물(냉동 새오 및 각종 어패류) 등 10개 브랜드를 취급하고 있으며, 2005년 말 기준 매출액은 940 여억원에 달하고 있다.
2. 농심의 마케팅활동 분석
1. 제품 및 상품 마케팅
농심의 제품 마케팅은 국내 생산되는 면, 스낵, 라이스 제품 및 냉동식품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고객이 원하는 양질의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고급함으로써 지속적인 매출 및 이익증대 실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과거 10여년 동안 경영환경은 극심한 변화의 연속이었다. 국제화, 개방화의 급속한 진전 속에서 1997년 말에는 IMF 외환위기로 대기업의 구조조정, 평생직장 개념의 붕괴, 실업인구 급증 등 내수소비 위축요인이 극대화되었다.
한편 인터넷 보급의 확대와 디지털문화의 확산, 소득 양극화 현상의 심화로 인해 고객층의 니즈가 점점 더 다양해지고 까다로워지면서 기업의 사업환경도 더욱 어려워지고 있로 츄실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속성장을 이루기 위해 농심은 신개념 면류 개발 노려의 일환으로 1998년 냉동면 사업이 진출한 바 있으며, 업소용에 편중돼 있던 냉동면의 가정용 수요 창줄에 앞장서 2006년 냉동면 매출액 200억원을 바라볼 수 있을 만큼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왓다.
고객의 니즈가 점점 더 개별화되고 세분화되는 흐름 속에서 ‘기본에 충실한다’, ‘좋은 원료로 맛있게“ 라는 철학에 따라 2001년 제대로 된 소고기 장국 맛을 구현한 프리미엄급 빅브랜드인 ’무파마탕면‘을 탄생시켰다. 무, 파, 마늘 등 천연소재를 대폭 적용한 이 라면은 800원 이상 봉지면 중 유일하게 라면 브랜드 순위 상위에 랭크 되었다. 또한 2004년에는 MSG와 동물성 소재가 전혀 첨가되지 않은 라면인 ’채식주의‘를 출시해 식품의 안전성, 건강 기능성을 추구하는 웰빙 마케팅을 LT도하여 소비자들로부터 꾸준한 관심을 끌고 있다.
스낵부문에서는 1998년 우리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쌀을 소재로 한 조청유과를 출신, 전통 지향의 차별화에 성공하며 농심의 대표 스낵으로 성장시켰다. ‘새우깡’ 또한 시대 흐름에 발맞추어 2000년 4월 ‘매운 새우깡’, 2004년 ‘쌀새우깡’ EMDD로 브랜드 확장을 꾀하면서 변함없는 인기를 이어나가고 있다.
농심의 최대 강점인 라면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차별화에 성공한 ‘쫄병스낵’ 역시 2001년 출시한 이후 기대 이상의 인기를 누리며 새로운 농심 대표 스낵의 하나라 자리잡게 되었다. 2005년에 출시한 ‘자연지향땅침’은 고급화, 건강지향의 트렌드에 초점을 맞춘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서 이 역시 웰빙 추구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호응을 얻고 있다.
2002년 회사의 핵심역량인 노하우를 바탕으로 추진한 밥사업도 ‘우리 가정의 밥상을 책임진다’는 최종 목표를 향해 꾸준히 품목을 다양화하는 등 소비자들의 니즈 변화에 부응해 나가고 있다.
한편 카프리썬, 웨
04년 말 현재 부채 및 자본구성을 보면 타인자본 5,668억원,자기자본 7,725억원으로 부채 및 자본총액의 57,7%를 점하고 있으며 구성은 자본금 288억원, 자본잉여금 2,960억원, 이익잉여금 4,548억원, 자본조정 -71억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국내영업
1. 조직 및 판매망
현재 농심의 국내영업 조직은 영업본부 스탭부서로 영업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는 영업기획실과 영업지원 업무를 담당하는 영업지원팀, 그리고 상온제품과 냉동제품을 각각 담당하는 일선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선조직은 유통의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제로 개편, 종전 지역별 체제에서 2006년부터는 시판영업 부문과 직판영업 부문의 양대 전문 영업체제로 전환하였다.
시판영업 부문은 10개 영업부의 54개 지점과 6개 영업소 체제로,m 직판영업 부문은 600여개 특약점의 판매망이 구성돼 있다.
한편 스탭조직은 면류와 라이스류의 영업정책 및 전략개발의 담당하는 면영업기획팀, 스낵류의 영업정책 및 전략개발을 담당하는 스낵영업기획팀, 상품 및 음료류의 영업정책 및 전략개발을 담당하는 상품영업기획팀, 유통조사 업무를 담당하는 유통조사팀과 영업조사팀으로 구성돼 있다.
2. 선진 영업체제 구축
농심은 82개 지점, 6개 영업소,m 600여개의 특약점을 완비, 전국을 동시에 신속히 커버할 수 있는 대량 유통능력을 확보하고 있고 신유통채널은 할인점, 편의점 본부와의 협상력을 높이는 전문 영업체제를 갖추고 있다. 또한 유통채널별, 제품별로 차별화된 영업, 현장 분포위주, 진열위주의 영업, 600여 특약점에 대한 월별 분포조사 및 분석 등 현장 중심의 영업전략을 전개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주문접수 후 최대 1일 이내의 배송체계, 창고 보유재고 5.3일의 최단기 제품 회전기간 실현 완벽한 채권관리 시스템 구축, PDA를 활용한 Mobile Office 시스템 구축, 전산화를 통한 영업업무의 온라인화 등 선진 영업체제를 구축함으로써 급변하는 영업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3. 상품영업
농심은 변화하는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적극 대응하여 신시장을 개척하고 회사의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해외 초일류 브랜드의 식품을 수입해 판매하거나 국내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 2006년 1월 현재 이 부문을 담당하는 상품영업본부는 스탭부서로 상품기획실과 상품지원팀이 있으며, 영업조직은 상품사업부 내 4개 영업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영업부 산하에 총 16개 지점이 편재돼 있다.
1990년대 초 취급 브랜드는 켈로그, 거버 이유식, 맥코믹 후추, 캠벨스프 및 v-8주스, 햄류, 커피류, 건과류, 크랙카잭, 포테토칩 등 다양했으나, 1994년 이후 캠벨사 제품, 1995년 거버사 제품 등의 판매를 중단하고, 이후 웰치주스, 튜울립 햄, 카프리선, 일본 하우스 카레, 네슬레 제품 등을 차례로 수입하여ㅓ 새로운 제품 구색을 갖추었다.
2006년 1월 gswo 농심에서 취급하는 해외 브랜드는 켈로그(씨리얼류), 네슬레(커피류) 튤립(육가공제품), 하우스(카레류), 알쿠니아(과일통조림류), 맥코믹(후추 등 향신료), 바릴라(스파케티류), 빌라블랑카(올리브유), 수산물(냉동 새오 및 각종 어패류) 등 10개 브랜드를 취급하고 있으며, 2005년 말 기준 매출액은 940 여억원에 달하고 있다.
2. 농심의 마케팅활동 분석
1. 제품 및 상품 마케팅
농심의 제품 마케팅은 국내 생산되는 면, 스낵, 라이스 제품 및 냉동식품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고객이 원하는 양질의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고급함으로써 지속적인 매출 및 이익증대 실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과거 10여년 동안 경영환경은 극심한 변화의 연속이었다. 국제화, 개방화의 급속한 진전 속에서 1997년 말에는 IMF 외환위기로 대기업의 구조조정, 평생직장 개념의 붕괴, 실업인구 급증 등 내수소비 위축요인이 극대화되었다.
한편 인터넷 보급의 확대와 디지털문화의 확산, 소득 양극화 현상의 심화로 인해 고객층의 니즈가 점점 더 다양해지고 까다로워지면서 기업의 사업환경도 더욱 어려워지고 있로 츄실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속성장을 이루기 위해 농심은 신개념 면류 개발 노려의 일환으로 1998년 냉동면 사업이 진출한 바 있으며, 업소용에 편중돼 있던 냉동면의 가정용 수요 창줄에 앞장서 2006년 냉동면 매출액 200억원을 바라볼 수 있을 만큼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왓다.
고객의 니즈가 점점 더 개별화되고 세분화되는 흐름 속에서 ‘기본에 충실한다’, ‘좋은 원료로 맛있게“ 라는 철학에 따라 2001년 제대로 된 소고기 장국 맛을 구현한 프리미엄급 빅브랜드인 ’무파마탕면‘을 탄생시켰다. 무, 파, 마늘 등 천연소재를 대폭 적용한 이 라면은 800원 이상 봉지면 중 유일하게 라면 브랜드 순위 상위에 랭크 되었다. 또한 2004년에는 MSG와 동물성 소재가 전혀 첨가되지 않은 라면인 ’채식주의‘를 출시해 식품의 안전성, 건강 기능성을 추구하는 웰빙 마케팅을 LT도하여 소비자들로부터 꾸준한 관심을 끌고 있다.
스낵부문에서는 1998년 우리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쌀을 소재로 한 조청유과를 출신, 전통 지향의 차별화에 성공하며 농심의 대표 스낵으로 성장시켰다. ‘새우깡’ 또한 시대 흐름에 발맞추어 2000년 4월 ‘매운 새우깡’, 2004년 ‘쌀새우깡’ EMDD로 브랜드 확장을 꾀하면서 변함없는 인기를 이어나가고 있다.
농심의 최대 강점인 라면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차별화에 성공한 ‘쫄병스낵’ 역시 2001년 출시한 이후 기대 이상의 인기를 누리며 새로운 농심 대표 스낵의 하나라 자리잡게 되었다. 2005년에 출시한 ‘자연지향땅침’은 고급화, 건강지향의 트렌드에 초점을 맞춘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서 이 역시 웰빙 추구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호응을 얻고 있다.
2002년 회사의 핵심역량인 노하우를 바탕으로 추진한 밥사업도 ‘우리 가정의 밥상을 책임진다’는 최종 목표를 향해 꾸준히 품목을 다양화하는 등 소비자들의 니즈 변화에 부응해 나가고 있다.
한편 카프리썬, 웨
추천자료
신라면 중국진출 마케팅성공사례분석
농심기업분석과 중국라면시장에 관한 마케팅플랜
빵빵한 광고 마케팅
마케팅 경쟁 전략
패밀리레스토랑과 호텔업의 서비스마케팅 성공사례 분석
농심 마케팅 광고기획서
꼬꼬면 브랜드분석및 마케팅 성공전략분석 - 라면의 중심에서 ‘꼬끼오’를 외치다
하얀국물라면 제품 마케팅전략분석 : 나가사끼짬뽕, 꼬꼬면, 기스면, 후루룩칼국수, 사리곰탕...
마케팅 전략 - 라면 시장의 경쟁 사례
노스페이스 성공요인분석과 노스페이스 마케팅전략분석및 노스페이스 재도약위한 향후전략 제안
코오롱스포츠 vs 노스페이스 마케팅전략과 기업전략 비교분석 레포트_노스페이스,코오롱스포...
매드포갈릭 브랜드 분석 및 마케팅전략과 매드포갈릭 성공요인분석
기업 마케팅 사례 분석 - CJ푸드빌의 새로운 한식 브랜드 『계절밥상』 (SWOT STP 7P) - 알찬...
계절밥상 마케팅 전략(SWOT,4P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