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놀이문화(놀이)와 전통놀이(민속놀이)
1. 수동별신굿의 진법놀이
2. 안동의 서당놀이
3. 통영의 사또놀이
4. 사또놀이의 지역성
Ⅱ. 놀이문화(놀이)와 문학
Ⅲ. 놀이문화(놀이)와 본산대놀이
Ⅳ. 놀이문화(놀이)와 기호놀이
1. 오감도 시제삼호 전문
2. 종생기
3. 지도의 암실
Ⅴ. 놀이문화(놀이)와 수수께끼
Ⅵ. 놀이문화(놀이)와 통일교육(남북통일교육)
1. 통일 의식 조사하기
1) 학습 계획
2) 교수-학습 진행
3) 학습 지도시 유의 사항
2. 설문지 예시 자료
3. 기대되는 효과
4. 제언
Ⅶ. 놀이문화(놀이)의 효과
참고문헌
1. 수동별신굿의 진법놀이
2. 안동의 서당놀이
3. 통영의 사또놀이
4. 사또놀이의 지역성
Ⅱ. 놀이문화(놀이)와 문학
Ⅲ. 놀이문화(놀이)와 본산대놀이
Ⅳ. 놀이문화(놀이)와 기호놀이
1. 오감도 시제삼호 전문
2. 종생기
3. 지도의 암실
Ⅴ. 놀이문화(놀이)와 수수께끼
Ⅵ. 놀이문화(놀이)와 통일교육(남북통일교육)
1. 통일 의식 조사하기
1) 학습 계획
2) 교수-학습 진행
3) 학습 지도시 유의 사항
2. 설문지 예시 자료
3. 기대되는 효과
4. 제언
Ⅶ. 놀이문화(놀이)의 효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치명적인 것이며, ‘나’의 인생의 패배를 의미하기에 반복하여 표현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2)의 경우는 ‘나’ 자신을 ‘千古不易의 蕩兒’라고 규정짓고 나서 내가 저지른 행위들을 열거하고 있는 장면이다. 여기에서는 연결어미 ‘-았고’가 그 문장의 마지막에 이를 때까지 기본적인 음으로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다.
(다)의 地圖의 暗室은 休業과 事情과 함께 문장의 리듬화 양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텍스트이다.(다)의(3)에서 작중화자는 이 소설의 서사 구조가 음악적 효과에 대한 편애 때문에 답보 상태에 있음을 말하고 있다. 서사 구조에서 반복은 텍스트의 종결을 지연시키는 가장 큰 수단이다. 반복은 표층적으로는 텍스트를 뒤로 전진시키지만 궁극적으로는 텍스트를 앞으로 전개시키는 하나의 충동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서사 구조는 텍스트적 긴장 즉 복잡한 지연 혹은 수많은 우회로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地圖의 暗室은 반복을 통해 서사 구조의 지연이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사가 인과적 고리가 아닌 환유적 혹은 해체적 연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반복과 리듬화를 통한 문장 구성은 이성적 질서에 의해 억압된 심적 장치를 완화시키는데 큰 도움을 준다. 그리고 진지한 사고에 의해 거부되고 회피되어온 사물들을 결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동일한 것의 반복 혹은 리듬화는 친숙한 것을 재발견하는 것으로, 이것은 명백히 즐거움을 준다. 이 즐거움은 이성적 질서에 의해 부과된 정신적 소비를 절약하는 데서 비롯한다. 결국 이 언어 유희는 상징질서가 부여한 이성적 억압을 해소하고 아이 때에 맛보았던 자유를 회복하는 기능을 한다.
Ⅴ. 놀이문화(놀이)와 수수께끼
수수께끼의 역사적 자료와 유형 - 수수께끼는 어느 장르보다 장구한 역사를 지녔다. 구약성서에서는 판관 삼손의 혼인식에서 수수께끼놀이가 행해지고 있고, 세바의 여왕은 지혜로 명성이 있는 솔로몬왕을 시험하기 위해 아주 어려운 문제를 준비하고 예루살렘을 방문한다. 희랍신화의 유명한 스핑크스-외디푸스 수수께끼도 매우 오래된 수수께끼의 하나이며, 그 밖에도 인도의 베다문학과 북구의 에다전승 등에 오래된 수수께끼의 모습들이 남아 있다. 한국수수께끼의 옛 모습을 전해주는 중요한 문헌으로는 三國遺事, 三國史記, 俚諺叢林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문헌 외에도 많은 구전 자료들이 수수께끼놀이의 모습을 담고 있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다음은 한국 수수께끼 문화를 담고 있는 중세의 문헌자료와 구전자료의 일부를 수수께끼의 문답자 및 문답내용, 또한 연행의 장을 중심으로 요약해서 보인 것이다.
[a](문답자)東明王琉璃太子
(문) 일곱 모난 돌 위의 소나무 아래에 있는 물건 찾기?(‘七稜石上松下’?)
(답) 斷劍(‘柱礎間若有聲’)
(場) 친자확인, 세자책봉
三國史記권13 高句麗本紀
[b](문답자) 神(까마귀, 돼지, 노인)毗處王(日官)
(문) 열어보면 두 사람이 죽고 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는다?(‘開見二人死不開見一人死’?)
(답) 거문고를 쏘아라.(‘射琴’)
(場) 왕의 거동(神託, 국운)
三國遺事권1 紀異1, 射琴匣
[c](문답자) 徵兆善德女王
(문) 겨울철에 개구리가 모여들어 삼사 일을 울었다?(‘冬月衆蛙集鳴三四日?’)
(답) 西郊 女根谷에 賊兵이 있을 것이니 精兵을 모아 엄습하라.
(場) 신라의 왕실(외침, 국운)
三國遺事권1 紀異1, 善德王知幾三事
[d](문답자) 寶藏王卜筮士 楸南
(문)(쥐 한 마리를 함 속에 감추어 두고) 안에 무슨 물건이 들었는가?( ‘一鼠藏於 合中是何物?’)
(답) 쥐이며, 그 수가 여덟이다.(‘是必鼠 其命有八’)
(場) 고구려의 왕실(국운)
三國遺事권1 紀異1, 金庾信
[e](문답자) 神託(거북의 등)의자왕(巫者/或者)
(문) 백제는 둥근 달 같고, 신라는 새 달과 같네?(‘百濟圓月輪 新羅如新月?’)
(답)(巫者) : 달은 차면 기울고 새 달은 점차 차게 되는 것이다.(‘滿則虧 未滿則漸盈’)
(或者) : 둥근 달은 성한 것이고 새 달은 미약한 것이니 백제는 盛하고 신라는 弱해진다는 뜻이다.(‘圓月輪新月者微’)
(場)백제의 왕실(신탁, 국운)
三國遺事권1 紀異1, 太宗春秋公
[f](문답자) 蘇定方金庾信(元曉)
(문) 난새와 송아지를 그린 두 종이?(‘紙畵鸞犢二物?’)
(답) 속히 군사를 돌이키라.(‘速還其兵’)
(場) 戰時(국운)
三國遺事, 太宗春秋公
[g](문답자) 元曉태종(요석공주)
(문) 누가 자루없는 도끼를 내게 빌리겠는가, 나는 하늘을 떠받칠 기둥을 찍으리.(‘誰許沒柯斧 我斫支天柱?’)
(답) 귀부인을 얻어 귀한 아들을 낳고자 하는 것.(‘欲得其婦 産賢子’)
(場) 왕실의 혼인
三國遺事권4 義解5, 元曉不羈
[h](문답자)車得公(文武王의 庶弟) - 관리 安吉(老翁)
(문) 내 집은 황룡황성 두 절 사이에 있으며, 내 이름은 端午이다?(‘吾家在皇龍皇聖 二寺之間 吾名端午也?’)
(답) 大闕 內의 車得令公
(場) 차득공의 ‘潛行示官吏之淸濁’
三國遺事권2 紀異2, 文武王法敏
[i](문답자) 顯宗術士
(문) 닭 우는 소리와 다듬이 소리가 들려 오는 꿈?
(답) 닭울음은 꼬끼요(‘鷄鳴高貴位’), 다듬이 소리는 어근당어근당(‘砧響御近當’)하니 왕위에 오를 징조이다.
(場) 즉위
高麗史 권 제4, 世家 제4, 顯宗1
[j](문답자) 미륵 풀맷독이풀개고리새앙쥐
(문) “물의 근본 불의 근본 아느냐?”
(답) “금덩산 들어가서 한짝은 차돌이오 한짝은 시우쇠요 툭툭치니 불이 났소. 삼취솔솔 나와 물의 근본.”
(場) 創世, 천하의 두지 차지
<創世歌>
[k](문답자) 대별왕소별왕
(문) “설운 아시야, 어떤 낭(나무)는 주야펭셍 섶(잎)이 아니 지곡, 어떤 낭은도 섶이 지느니?”
(답) “설운 성님아,오곡이라 딩돌막이 른 낭 주야펭셍 섶이 아니 지고, 오곡이라 게구린낭 주야펭셍 섶이 지옵네다.”
(반문) “설운 동 모른 말을 말라. 청대 대는도 디디 구리여도(비어도) 섶이 아니진다. 그 말곡지 지어간다.”
(場) 인세차지경쟁
<천지왕본풀이>
[l](문답자) 문도령문도령의 어머니
(문) “어머님아 어머님아, 옷은 새옷이 좋읍네까? 묵은옷이 좋읍네까?”
(답) “옷은 새옷이 밴조롱이 곱긴 곱나마는 어디 강(가)
(다)의 地圖의 暗室은 休業과 事情과 함께 문장의 리듬화 양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텍스트이다.(다)의(3)에서 작중화자는 이 소설의 서사 구조가 음악적 효과에 대한 편애 때문에 답보 상태에 있음을 말하고 있다. 서사 구조에서 반복은 텍스트의 종결을 지연시키는 가장 큰 수단이다. 반복은 표층적으로는 텍스트를 뒤로 전진시키지만 궁극적으로는 텍스트를 앞으로 전개시키는 하나의 충동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서사 구조는 텍스트적 긴장 즉 복잡한 지연 혹은 수많은 우회로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地圖의 暗室은 반복을 통해 서사 구조의 지연이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사가 인과적 고리가 아닌 환유적 혹은 해체적 연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반복과 리듬화를 통한 문장 구성은 이성적 질서에 의해 억압된 심적 장치를 완화시키는데 큰 도움을 준다. 그리고 진지한 사고에 의해 거부되고 회피되어온 사물들을 결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동일한 것의 반복 혹은 리듬화는 친숙한 것을 재발견하는 것으로, 이것은 명백히 즐거움을 준다. 이 즐거움은 이성적 질서에 의해 부과된 정신적 소비를 절약하는 데서 비롯한다. 결국 이 언어 유희는 상징질서가 부여한 이성적 억압을 해소하고 아이 때에 맛보았던 자유를 회복하는 기능을 한다.
Ⅴ. 놀이문화(놀이)와 수수께끼
수수께끼의 역사적 자료와 유형 - 수수께끼는 어느 장르보다 장구한 역사를 지녔다. 구약성서에서는 판관 삼손의 혼인식에서 수수께끼놀이가 행해지고 있고, 세바의 여왕은 지혜로 명성이 있는 솔로몬왕을 시험하기 위해 아주 어려운 문제를 준비하고 예루살렘을 방문한다. 희랍신화의 유명한 스핑크스-외디푸스 수수께끼도 매우 오래된 수수께끼의 하나이며, 그 밖에도 인도의 베다문학과 북구의 에다전승 등에 오래된 수수께끼의 모습들이 남아 있다. 한국수수께끼의 옛 모습을 전해주는 중요한 문헌으로는 三國遺事, 三國史記, 俚諺叢林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문헌 외에도 많은 구전 자료들이 수수께끼놀이의 모습을 담고 있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다음은 한국 수수께끼 문화를 담고 있는 중세의 문헌자료와 구전자료의 일부를 수수께끼의 문답자 및 문답내용, 또한 연행의 장을 중심으로 요약해서 보인 것이다.
[a](문답자)東明王琉璃太子
(문) 일곱 모난 돌 위의 소나무 아래에 있는 물건 찾기?(‘七稜石上松下’?)
(답) 斷劍(‘柱礎間若有聲’)
(場) 친자확인, 세자책봉
三國史記권13 高句麗本紀
[b](문답자) 神(까마귀, 돼지, 노인)毗處王(日官)
(문) 열어보면 두 사람이 죽고 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는다?(‘開見二人死不開見一人死’?)
(답) 거문고를 쏘아라.(‘射琴’)
(場) 왕의 거동(神託, 국운)
三國遺事권1 紀異1, 射琴匣
[c](문답자) 徵兆善德女王
(문) 겨울철에 개구리가 모여들어 삼사 일을 울었다?(‘冬月衆蛙集鳴三四日?’)
(답) 西郊 女根谷에 賊兵이 있을 것이니 精兵을 모아 엄습하라.
(場) 신라의 왕실(외침, 국운)
三國遺事권1 紀異1, 善德王知幾三事
[d](문답자) 寶藏王卜筮士 楸南
(문)(쥐 한 마리를 함 속에 감추어 두고) 안에 무슨 물건이 들었는가?( ‘一鼠藏於 合中是何物?’)
(답) 쥐이며, 그 수가 여덟이다.(‘是必鼠 其命有八’)
(場) 고구려의 왕실(국운)
三國遺事권1 紀異1, 金庾信
[e](문답자) 神託(거북의 등)의자왕(巫者/或者)
(문) 백제는 둥근 달 같고, 신라는 새 달과 같네?(‘百濟圓月輪 新羅如新月?’)
(답)(巫者) : 달은 차면 기울고 새 달은 점차 차게 되는 것이다.(‘滿則虧 未滿則漸盈’)
(或者) : 둥근 달은 성한 것이고 새 달은 미약한 것이니 백제는 盛하고 신라는 弱해진다는 뜻이다.(‘圓月輪新月者微’)
(場)백제의 왕실(신탁, 국운)
三國遺事권1 紀異1, 太宗春秋公
[f](문답자) 蘇定方金庾信(元曉)
(문) 난새와 송아지를 그린 두 종이?(‘紙畵鸞犢二物?’)
(답) 속히 군사를 돌이키라.(‘速還其兵’)
(場) 戰時(국운)
三國遺事, 太宗春秋公
[g](문답자) 元曉태종(요석공주)
(문) 누가 자루없는 도끼를 내게 빌리겠는가, 나는 하늘을 떠받칠 기둥을 찍으리.(‘誰許沒柯斧 我斫支天柱?’)
(답) 귀부인을 얻어 귀한 아들을 낳고자 하는 것.(‘欲得其婦 産賢子’)
(場) 왕실의 혼인
三國遺事권4 義解5, 元曉不羈
[h](문답자)車得公(文武王의 庶弟) - 관리 安吉(老翁)
(문) 내 집은 황룡황성 두 절 사이에 있으며, 내 이름은 端午이다?(‘吾家在皇龍皇聖 二寺之間 吾名端午也?’)
(답) 大闕 內의 車得令公
(場) 차득공의 ‘潛行示官吏之淸濁’
三國遺事권2 紀異2, 文武王法敏
[i](문답자) 顯宗術士
(문) 닭 우는 소리와 다듬이 소리가 들려 오는 꿈?
(답) 닭울음은 꼬끼요(‘鷄鳴高貴位’), 다듬이 소리는 어근당어근당(‘砧響御近當’)하니 왕위에 오를 징조이다.
(場) 즉위
高麗史 권 제4, 世家 제4, 顯宗1
[j](문답자) 미륵 풀맷독이풀개고리새앙쥐
(문) “물의 근본 불의 근본 아느냐?”
(답) “금덩산 들어가서 한짝은 차돌이오 한짝은 시우쇠요 툭툭치니 불이 났소. 삼취솔솔 나와 물의 근본.”
(場) 創世, 천하의 두지 차지
<創世歌>
[k](문답자) 대별왕소별왕
(문) “설운 아시야, 어떤 낭(나무)는 주야펭셍 섶(잎)이 아니 지곡, 어떤 낭은도 섶이 지느니?”
(답) “설운 성님아,오곡이라 딩돌막이 른 낭 주야펭셍 섶이 아니 지고, 오곡이라 게구린낭 주야펭셍 섶이 지옵네다.”
(반문) “설운 동 모른 말을 말라. 청대 대는도 디디 구리여도(비어도) 섶이 아니진다. 그 말곡지 지어간다.”
(場) 인세차지경쟁
<천지왕본풀이>
[l](문답자) 문도령문도령의 어머니
(문) “어머님아 어머님아, 옷은 새옷이 좋읍네까? 묵은옷이 좋읍네까?”
(답) “옷은 새옷이 밴조롱이 곱긴 곱나마는 어디 강(가)
추천자료
전통놀이
전통놀이와 이론
한국의 전통놀이
일본전통놀이 - 하네츠키, 스고로쿠, 카미후센, 가루타, 가라오케 등
[유아교육,보육]학습지도안(전통놀이영역 투호놀이)
[인문과학] 한국의 전통놀이
한국의 전통민속놀이 자료집 (2010년 05월)
전통놀이 활동계획안
93전통놀이교육의필요성-보고서
정신지체아 적응행동 정의와 특성, 정신지체아 적응행동 문제원인, 정신지체아 적응행동과 치...
프로젝트 접근법과 전통놀이 지도
한국의 전통놀이를 조사하고 그 진행을 위한 지도방법을 정리하기
관광학과-우리문화의 이해(한국_전통_놀이)
[일본문화 연구] 일본문화 (일본의 음식,의복,주거문화,집단주의문화,전통놀이문화,게이샤,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