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소설과 영화
Ⅱ. 소설과 고소설
1. 고소설의 개념
2. 고소설의 형식과 내용
1) 형식
2) 내용
3. 고소설에 나타난 사상
1) 원시종교사상
2) 유교사상
3) 불교사상
4) 도교사상
4. 고소설의 유형
1) 전기소설
2) 의인소설
3) 사회소설
4) 이상소설
5) 역사소설
6) 군담소설
7) 도덕소설
8) 염정소설
9) 가정소설
10) 풍자소설
Ⅲ. 소설과 신소설
1. 신소설 (新小說)의 개념
2. 주제상의 특징
3. 형식적인 기법의 특징
1) 도입어, 부사, 화두사 소멸
2) 지문과 대화의 구별
3) 새로운 어휘 등장
4) 묘사적 기능
5) 구성 방법
Ⅳ. 소설과 조선전기소설
1. 김시습의 금오신화
1) 창작배경
2) 만복사저포기
3) 이생규장전
4) 취유부벽정기
5) 남염부주지
6) 용궁부연록
2. 화사(임제)와 수성지(임제)
Ⅴ. 소설과 기독교문학
Ⅵ. 소설과 상징
Ⅶ. 소설과 소설론
Ⅷ. 소설과 창작교육
참고문헌
Ⅱ. 소설과 고소설
1. 고소설의 개념
2. 고소설의 형식과 내용
1) 형식
2) 내용
3. 고소설에 나타난 사상
1) 원시종교사상
2) 유교사상
3) 불교사상
4) 도교사상
4. 고소설의 유형
1) 전기소설
2) 의인소설
3) 사회소설
4) 이상소설
5) 역사소설
6) 군담소설
7) 도덕소설
8) 염정소설
9) 가정소설
10) 풍자소설
Ⅲ. 소설과 신소설
1. 신소설 (新小說)의 개념
2. 주제상의 특징
3. 형식적인 기법의 특징
1) 도입어, 부사, 화두사 소멸
2) 지문과 대화의 구별
3) 새로운 어휘 등장
4) 묘사적 기능
5) 구성 방법
Ⅳ. 소설과 조선전기소설
1. 김시습의 금오신화
1) 창작배경
2) 만복사저포기
3) 이생규장전
4) 취유부벽정기
5) 남염부주지
6) 용궁부연록
2. 화사(임제)와 수성지(임제)
Ⅴ. 소설과 기독교문학
Ⅵ. 소설과 상징
Ⅶ. 소설과 소설론
Ⅷ. 소설과 창작교육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4) 이상소설
理想小說류의 作品들로 ‘九雲夢’, ‘玉樓夢’, ‘玉蓮夢’,‘ 林虎隱傳’ 등이 그 代表的 作品들이다. 그 主人公은 一夫多妻主義 男尊女卑的 家庭生活을 누리고 있으며, 出將入相하는 文武兼全의 所有者로 構成되어 있고, 思想的인 面은 儒敎의 功利主義와 現實主義, 佛敎의 隱遁的 來世主義, 仙敎의 樂天的 享樂思想이 두루 나타나 있다.
5) 역사소설
歷史小說은 歷史 속에 나타난 뛰어난 人物이나 事件을 素材로 한 作品을 말하는 것이다. 이 같은 歷史小說은 비록 歷史的 史實이나, 個人의 과장된 傳記이거나, 아니면 超人力을 지닌 主人公의 勝戰譚이지만, 그러나 당시의 作者로서는 어떤 事實을 토대로 하여 이것을 자기의 것으로 虛構化하여 讀者에게 어떤 興味와 감명을 주었다는 目的意識이 있었다.
6) 군담소설
軍談小說에는 반드시 戰爭場面이 그 중요한 構成要件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軍談小說은 壬丙兩亂을 겪고 난 후 적개심에 불타는 國民들의 英雄을 갈구하는 절실한 소망이 이 같은 作品의 出現動因이 되었을 것이며, 또한 이러한 小說들은 그 形式, 內容, 文體, 描寫面에서, 당시 널리 流行되어 읽히던 ‘三國志演義’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이다.
7) 도덕소설
道德小說은 人間의 倫理·道德을 다룬 作品으로, 儒敎의 五倫思想이 그 根幹을 이루고 있으며, 勸善懲惡에 가장 接近되어 있는 小說이다. 때문에 인간이 지켜야 할 道理나 社會的인 規範을 따라 스스로를 殺身成仁하는 자세가 절실히 필요하였다.
8) 염정소설
艶情小說은 男女間의 愛情을 그 主題로 하여 이루어진 作品을 말한다. 艶情小說에는 庶民的 艶情小說이 그 중의 白眉라 하겠다. 여기에서 비로소 신분을 초월한 가식 없는 참다운 愛情觀을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9) 가정소설
家庭小說은 家庭을 背景으로하여 일어나는 事件을 素材로 한 小說을 말한다. 東洋的인 封建的 家族制度下에서는 여러 가지 모순과 갈등으로 인한 要因으로 숱한 家庭的 悲劇이 야기되었던 것이다.
10) 풍자소설
諷刺性을 가진 小說의 경우 그 背景은 쇠퇴해 가는 朝鮮朝末葉이고 그 諷刺의 대상은 전부 지배계급인 兩班들로서, 그들의 僞善的이며, 好色的인 生活을 諧謔的으로 諷刺하고 있는 것이다.
Ⅲ. 소설과 신소설
1929년 12월에 창간한 소설을 위주로 한 잡지. 1930년 12월부터 1931년 6월까지 《해방(解放)》으로 제목을 바꾸고 해방사(解放社)에서 발행하였다. 《신소설》의 출발은 소설 중심의 잡지였으나 2호부터 시와 수필을 추가하였고, 제호를 《해방》으로 바꾼 다음에는 야담도 실었다. 현진건(玄鎭健)의 <정조(貞操)와 약가(藥價)>, 최독견(崔獨鵑)의 <환원(還元)>, 김동인(金東仁)의 <박사의 연구>, 염상섭(廉想涉)의 <남편의 책임>, 이광수(李光洙)의 <아들의 원수> 등의 작품이 실렸다. 그 밖에 조백추(趙白萩)·이영철(李永哲)·이효석(李孝石)·이태준(李泰俊)·채만식(蔡萬植)·최화수(崔華秀)·이원영(李元英)·최병화(崔秉和)·구소청(具素靑)·윤백남(尹白南)·안석영(安夕影)·최인준(崔仁俊)·이성해(李星海)·정인익(鄭寅翼) 등의 작품이 실렸다.
1. 신소설 (新小說)의 개념
1900년대 초에 고전 소설과 근대 소설의 중간에 나타난 과도기적인 소설 형태가 신소설이다. 신소설은 계몽적인 성격이 강하며, 그 주제로는 자주 의식, 풍속 개량, 신교육 사상, 자유 연애 등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주제 면에서 신소설은 그 전 단계인 고대소설과 다릅니다. 고대소설이 권선징악(勸善懲惡)적인 측면이 강한 반면 신소설의 주제는 계몽사상(啓蒙思想)의 성격이 강하다. 그리고 구성에서 고대소설은 주인공의 일대기를 다루지만 신소설은 특정한 시기의 어느 한 단면(주제)을 다룬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세계관에서도 비현실적인 세계관과 현실적인 세계관으로 바뀌어진다. 문체에서도 차이가 난다. 고대소설은 운문이며 상투적인 한문문체인데 반하여 신소설은 언문일치에 가까운 산문이며 세밀한 현실의 묘사가 드러난다는 점이 다르다. 사건 구성에서도 우연적 구성과 필연적 구성이라는 점에서 구분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약간의 차이점을 보인다는 것이지 요즘의 현대소설처럼 확연하게 구별되지는 않는다.
cf: 신소설의 친일 의식
신소설에는 문명개화에 대한 강한 열망과 함께 친일 의식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신소설 작가들이 주로 일본으로 유학을 다녀왔고 거기에서 목격한 선진국 일본에 대한 동경이 큰 작용을 했으리라 생각된다. 예를 들어 이인직의 \'혈의 누\'를 살펴보면, 청일전쟁으로 길을 잃고 헤매는 옥련을 구하고 나중에 양딸로 삼아 유학까지 보내 주는 사람이 다름 아닌 일본군 군의관이라는 설정이 이러한 친일 의식의 한 단면을 보여 준다. 이것은 선진 서구 문명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그것을 일찍 받아들여 개화문명에 성공한 일본에 대한 부러움의 한 표현이었다고 보여진다.
2. 주제상의 특징
신소설의 주제는 <개화>나 <독립>으로 집약될 수 있다. 신교육을 통한 서구 문화 수용에 대한 강조, 봉건적 인습과 미신에 대한 거부, 신분차별과 남녀차별에 대한 비판, 자유결혼 옹호로 대표되는 억압적인 가족 제도에 대한 저항 등으로 표현되었다. 자주독립의 이념 또한 정치의식의 일면으로 신소설에 투영되었다. 그러나 신소설의 자주독립의 이념은 그렇게 철저하지 못했다. 신소설에 등장한 주인공의 행적은 친일적 성향을 띠고 있으며, 일본은 우리 나라의 개화에 유익한 존재라는 관념을 암암리에 고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인직의 <혈의 누>가 대표적이다.
신소설은 표면적으로 각종 개화사상의 주제들을 내걸었지만 그것들은 많은 경우 봉건적인 인간관계의 윤리를 동반했다. 이를테면 개인에 대한 가족의 우위는 신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행동을 지배하는 기본원리로 남아 있었다. 관념적으로 자유연애를 선전하면서도 결국에는 부모들이 정해준 대로 혼인하는 스토리를 가진 <추월색>은 그 대표적 예이다. 이런 사실들은 신소설이 과도기적 양식임을 보여준다.
3. 형식적인 기법의 특징
1) 도입어, 부사, 화두사 소멸
고대소설에 흔히 쓰이던 도입어(화셜, 각셜, 차셜)나 막연한 시공(時空)을 나타내는 부사(하로난, 일일은, 선시에, 차시에, 이
4) 이상소설
理想小說류의 作品들로 ‘九雲夢’, ‘玉樓夢’, ‘玉蓮夢’,‘ 林虎隱傳’ 등이 그 代表的 作品들이다. 그 主人公은 一夫多妻主義 男尊女卑的 家庭生活을 누리고 있으며, 出將入相하는 文武兼全의 所有者로 構成되어 있고, 思想的인 面은 儒敎의 功利主義와 現實主義, 佛敎의 隱遁的 來世主義, 仙敎의 樂天的 享樂思想이 두루 나타나 있다.
5) 역사소설
歷史小說은 歷史 속에 나타난 뛰어난 人物이나 事件을 素材로 한 作品을 말하는 것이다. 이 같은 歷史小說은 비록 歷史的 史實이나, 個人의 과장된 傳記이거나, 아니면 超人力을 지닌 主人公의 勝戰譚이지만, 그러나 당시의 作者로서는 어떤 事實을 토대로 하여 이것을 자기의 것으로 虛構化하여 讀者에게 어떤 興味와 감명을 주었다는 目的意識이 있었다.
6) 군담소설
軍談小說에는 반드시 戰爭場面이 그 중요한 構成要件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軍談小說은 壬丙兩亂을 겪고 난 후 적개심에 불타는 國民들의 英雄을 갈구하는 절실한 소망이 이 같은 作品의 出現動因이 되었을 것이며, 또한 이러한 小說들은 그 形式, 內容, 文體, 描寫面에서, 당시 널리 流行되어 읽히던 ‘三國志演義’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이다.
7) 도덕소설
道德小說은 人間의 倫理·道德을 다룬 作品으로, 儒敎의 五倫思想이 그 根幹을 이루고 있으며, 勸善懲惡에 가장 接近되어 있는 小說이다. 때문에 인간이 지켜야 할 道理나 社會的인 規範을 따라 스스로를 殺身成仁하는 자세가 절실히 필요하였다.
8) 염정소설
艶情小說은 男女間의 愛情을 그 主題로 하여 이루어진 作品을 말한다. 艶情小說에는 庶民的 艶情小說이 그 중의 白眉라 하겠다. 여기에서 비로소 신분을 초월한 가식 없는 참다운 愛情觀을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9) 가정소설
家庭小說은 家庭을 背景으로하여 일어나는 事件을 素材로 한 小說을 말한다. 東洋的인 封建的 家族制度下에서는 여러 가지 모순과 갈등으로 인한 要因으로 숱한 家庭的 悲劇이 야기되었던 것이다.
10) 풍자소설
諷刺性을 가진 小說의 경우 그 背景은 쇠퇴해 가는 朝鮮朝末葉이고 그 諷刺의 대상은 전부 지배계급인 兩班들로서, 그들의 僞善的이며, 好色的인 生活을 諧謔的으로 諷刺하고 있는 것이다.
Ⅲ. 소설과 신소설
1929년 12월에 창간한 소설을 위주로 한 잡지. 1930년 12월부터 1931년 6월까지 《해방(解放)》으로 제목을 바꾸고 해방사(解放社)에서 발행하였다. 《신소설》의 출발은 소설 중심의 잡지였으나 2호부터 시와 수필을 추가하였고, 제호를 《해방》으로 바꾼 다음에는 야담도 실었다. 현진건(玄鎭健)의 <정조(貞操)와 약가(藥價)>, 최독견(崔獨鵑)의 <환원(還元)>, 김동인(金東仁)의 <박사의 연구>, 염상섭(廉想涉)의 <남편의 책임>, 이광수(李光洙)의 <아들의 원수> 등의 작품이 실렸다. 그 밖에 조백추(趙白萩)·이영철(李永哲)·이효석(李孝石)·이태준(李泰俊)·채만식(蔡萬植)·최화수(崔華秀)·이원영(李元英)·최병화(崔秉和)·구소청(具素靑)·윤백남(尹白南)·안석영(安夕影)·최인준(崔仁俊)·이성해(李星海)·정인익(鄭寅翼) 등의 작품이 실렸다.
1. 신소설 (新小說)의 개념
1900년대 초에 고전 소설과 근대 소설의 중간에 나타난 과도기적인 소설 형태가 신소설이다. 신소설은 계몽적인 성격이 강하며, 그 주제로는 자주 의식, 풍속 개량, 신교육 사상, 자유 연애 등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주제 면에서 신소설은 그 전 단계인 고대소설과 다릅니다. 고대소설이 권선징악(勸善懲惡)적인 측면이 강한 반면 신소설의 주제는 계몽사상(啓蒙思想)의 성격이 강하다. 그리고 구성에서 고대소설은 주인공의 일대기를 다루지만 신소설은 특정한 시기의 어느 한 단면(주제)을 다룬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세계관에서도 비현실적인 세계관과 현실적인 세계관으로 바뀌어진다. 문체에서도 차이가 난다. 고대소설은 운문이며 상투적인 한문문체인데 반하여 신소설은 언문일치에 가까운 산문이며 세밀한 현실의 묘사가 드러난다는 점이 다르다. 사건 구성에서도 우연적 구성과 필연적 구성이라는 점에서 구분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약간의 차이점을 보인다는 것이지 요즘의 현대소설처럼 확연하게 구별되지는 않는다.
cf: 신소설의 친일 의식
신소설에는 문명개화에 대한 강한 열망과 함께 친일 의식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신소설 작가들이 주로 일본으로 유학을 다녀왔고 거기에서 목격한 선진국 일본에 대한 동경이 큰 작용을 했으리라 생각된다. 예를 들어 이인직의 \'혈의 누\'를 살펴보면, 청일전쟁으로 길을 잃고 헤매는 옥련을 구하고 나중에 양딸로 삼아 유학까지 보내 주는 사람이 다름 아닌 일본군 군의관이라는 설정이 이러한 친일 의식의 한 단면을 보여 준다. 이것은 선진 서구 문명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그것을 일찍 받아들여 개화문명에 성공한 일본에 대한 부러움의 한 표현이었다고 보여진다.
2. 주제상의 특징
신소설의 주제는 <개화>나 <독립>으로 집약될 수 있다. 신교육을 통한 서구 문화 수용에 대한 강조, 봉건적 인습과 미신에 대한 거부, 신분차별과 남녀차별에 대한 비판, 자유결혼 옹호로 대표되는 억압적인 가족 제도에 대한 저항 등으로 표현되었다. 자주독립의 이념 또한 정치의식의 일면으로 신소설에 투영되었다. 그러나 신소설의 자주독립의 이념은 그렇게 철저하지 못했다. 신소설에 등장한 주인공의 행적은 친일적 성향을 띠고 있으며, 일본은 우리 나라의 개화에 유익한 존재라는 관념을 암암리에 고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인직의 <혈의 누>가 대표적이다.
신소설은 표면적으로 각종 개화사상의 주제들을 내걸었지만 그것들은 많은 경우 봉건적인 인간관계의 윤리를 동반했다. 이를테면 개인에 대한 가족의 우위는 신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행동을 지배하는 기본원리로 남아 있었다. 관념적으로 자유연애를 선전하면서도 결국에는 부모들이 정해준 대로 혼인하는 스토리를 가진 <추월색>은 그 대표적 예이다. 이런 사실들은 신소설이 과도기적 양식임을 보여준다.
3. 형식적인 기법의 특징
1) 도입어, 부사, 화두사 소멸
고대소설에 흔히 쓰이던 도입어(화셜, 각셜, 차셜)나 막연한 시공(時空)을 나타내는 부사(하로난, 일일은, 선시에, 차시에, 이
추천자료
개화기 소설에 대해서
신소설에 타나난 이인직의 개화사상과 그 한계
북한의 고전문학사 - 조선시대
[고소설] 주생전에 대한 작품론
[국문학 감상문] 이인직의 신소설 은세계를 읽고
나말여초 설화와 전기
신소설 창조를 통해 신이 되려했던 작가, 김동인론
[현대문학강독]신소설 작품소개(두작품) 및 분석과 작가의 개화의식 분석(개화의식과 그 한계...
[현대문학강독]신소설 이광수의 무정과 이인직의 혈의 누 줄거리 및 작가의 개화의식
17세기의 한문소설 전반적인 소논문양식의 보고서 - 최척전과 운영전을 중심으로
[혈의 누][이인직 신소설][화법][작품요약][작품감상]이인직 신소설 혈의 누 화법, 이인직 신...
홍길동전, 허균, 한국고전문학, 사회소설, 임진왜란, 풍자문학, 호민론, 유재론, 허균의 생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