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상차림과 식사예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의 상차림과 식사예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절 상차림

1. 식기의 종류

2. 소반의 종류

3. 우리나라 상차림의 특징

4. 상차림의 종류

5. 일반적인 회식용 상차림

제 2절 식사예절

1. 식사예절

2. 한정식의 제공순서


제 3절 통과의례의 상차림

1. 통과의례의 의미

2. 통과의례 상차림의 종류 - 돌상

3. 통과의례 상차림의 종류 - 생신상

4. 통과의례 상차림의 종류 - 혼례상

5. 통과의례 상차림의 종류 - 회갑상

6. 통과의례 상차림의 종류 - 제사상

제 4절 절기음식

1. 절기음식

본문내용

음식을 차린다.
2. 통과의례 상차림의 종류 - 돌상
- 돌상 : 아기가 태어나서 만 1년이 되는 생일
- 상차림은 백설기, 오색송편, 인절미, 차수수 경단, 생실과, 쌀, 국수 삶은 것, 대추, 흰 타래실, 청홍비단실, 붓, 먹, 벼루, 천자문, 활과 화살, 돈 등이며 여자아이에게는 천자문 대신 국문을 놓고 활과 화살 대신에 색지, 실패, 자 등을 놓는다.
- 돌잡이를 할 때는 무명필을 밑에 놓고 아기를 올려 앉히고 아기가 집는 것에 따라 장래를 점치고 재주를 가지고 복을 받기를 기원한다.
- 손님상은 흰밥에 미역국과 나물, 구이, 자반, 김치, 조치 등으로 반상을 차려서 대접한다.
3. 통과의례 상차림의 종류 - 생신상
- 생신상 : 어른의 생신날에 자손들이 축하드리고 봉양의 뜻으로 반상을 제대로 갖추어 대접하는 상
- 아침상은 흰밥에 미역국 그리고 5첩이나 7첩의 찬품으로 반상차림을 하며 손님들을 대접할 때는 교자상 차림의 잔칫상을 차린다.
4. 통과의례 상차림의 종류 - 혼례상
- 교배상 : 혼례 절차 중 교근 예식 때 차리는 상으로 대청이나 뜰에 병풍을 남북으로 친다음 동서로 놓는 것이 예법이다.
① 상차림은 촛불을 밝힌 한 쌍의 촛대, 송죽 가지를 꽂은 화병 두 개, 닭 한 쌍, 백미 두 그릇, 술과 잔, 밤, 대추, 은행 등이다.
② 예식이 끝나면 교배상에 올려 졌던 한 쌍의 닭을 날려 보내는 것이 상례이다.
③ 밤, 대추 등은 많은 자손을 두라는 뜻에서 신랑의 주머니에 가득 넣어주는 것이 통례이며 혼례식이 끝나면 친척과 이웃에게 국수상으로 잔치를 베푼다.
- 큰상 : 혼례식을 치른 신랑신부를 축하하기 위하여 신부 집에서는 신랑에게 큰상을 차려준다.
① 여러 가지 음식을 30~60cm 가까이 원통형으로 높이 고여 차리는 상으로 고배상 또는 바라보는 상이라 하여 망상이라고도 한다.
② 회갑, 희년, 회혼례(결혼 61주년)등의 축의 때도 차리는 것으로 우리나라 상차림 중 가장 성대하고 화려하다.
③ 신랑과 신부 앞에는 각각 면상을 차리는데 이를 입매상이라 한다.
④ 고이는 음식은 각색편, 강정, 유밀과, 다식, 숙실과, 당속, 정과, 각색과일, 어물새김, 전유어, 적, 편육 등이다.
⑤ 신랑과 신부가 받았다가 물리면 신랑을 데리고 왔던 상객이 돌아갈 때 시댁에 봉송으로 보낸다.
⑥ 신방에 들기 전에 저녁은 7첩 또는 9첩 반상을 부부 각상 또는 겸상으로 차려주고 신방에는 간단한 주안상을 차려 놓는다.
<큰상의 음식 종류>
- 잡과 : 약과, 만두과, 다식과, 한과 등
- 유과 : 빈사과, 세반연사 등
- 강정 : 깨강정, 세반강정, 계피강정, 실백강정, 매화강 등
- 다식 : 송화다식, 녹말다식, 흑임자다식, 밤다식 등
- 당속(사탕류) : 옥춘, 판보당, 온당, 줄병, 원당 등
- 생실과 : 사과, 배, 귤, 감, 생률 등
- 건과 : 대추, 호두, 은행, 실백, 건시(곶감) 등
- 전과 : 연근전과, 생강전과, 모과전과, 밤초, 대추초 등
- 편, 백편, 꿀편, 심검초편, 화전, 주악, 단자 등
- 어물 : 문어오림, 어포, 육포, 건전복 등
- 편육 : 양지머리 편육, 제육 등
- 전유어 : 각색 전유어 등
- 초 : 전복초, 홍합초 등
- 적 : 봉적(닭적), 육적, 화양적 등
5. 통과의례 상차림의 종류 - 회갑상
- 회갑상 : 부모가 만 60세가 되면 회갑이라 하여 자손들이 모여 성대한 수연상을 차리고 잔치를 베풀어 드린다.
- 수연상은 혼례 때와 같은 큰 상과 입매상을 차리고 자손들이 헌주를 한다.
- 헌주가 끝난 후 손님들께 국수장국을 대접한다.
- 음식은 음복한다 하여 큰상에 고였던 음식을 고루 차려 손님에게 대접한다.
- 차리는 음식은 유밀과, 강정, 다식, 당속, 생실과, 건과, 정과, 편, 건어물, 편육, 초와 적 등이다.
6. 통과의례 상차림의 종류 - 제사상
- 제사상 : 제사는 고인이 죽은 전날 밤에 고인을 추모하는 뜻에서 모시는 것이며 돌아가신 뒤에도 효를 계속한다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 형편에 맞게 정성껏 마련한다.
- 화려한 색과 심한 비린내는 금기이다.
- 제주가 제사상을 마주 보았을 때 오른쪽을 동, 왼쪽을 서라 하며 진설의 순서는 맨 앞줄에 과일, 둘째 줄에는 포와 나물, 셋째 줄에는 탕, 넷째 줄에는 적과 전, 다섯째 줄에는 메와 갱을 차례대로 놓는다.
- 홍동백서 :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진설한다.
어동육서 : 적과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진설한다.
동두서미 : 생선은 머리쪽이 동쪽, 꼬리쪽이 서쪽으로 향하게 진설한다.
좌포우혜 :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에 진설한다.
병동면서 : 떡은 동쪽, 국수는 서쪽에 진설한다.
제 4절 절기음식
1. 절기음식
- 우리나라의 식생활문화는 계절에 따라 시식을 즐기고 절기에 맞추어 절식풍습이 있다.
- 한 달에 한 번씩의 절식에 따라 음식을 차리고 풍류를 즐기는 풍속은 이웃 간의 친목도모로 생활의 여유를 보여 주었다.
<명절음식 및 시식>
절기
시기
의미
음식
설날
새해 첫날
한해의 복을 기원
떡국,만두,약식,인절미,갈비찜,전,빈대떡,편육,강정,수정과,식혜,나박김치,나물류,과일,차
정월대보름
음력 정월
14일
풍년이 오기를 기원
오곡밥,아홉가지나물,이명주,부럼,
유밀과,원소병,약식,김구이,나박김치
삼월삼짇날
음력3월
3일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온다는 날
화전(진달래),진달래화채,약주,생실과(밤,대추,건시),포(육포,어포),절편,조기면,탕평채,화면
한식
동지에서
105일때
되는 날
불을 쓰지 않으므로
찬 음식을 먹는 날
약주,과일,식혜,떡,국수,적
사월초파일
석가탄신일
석가탄신 기념일
느티떡,쑥떡,양색주약,국화전,생실과,화채(가려수정과,순채,책면),응어회또는 도미회,미나리강회,도미찜
단오
음력 5월
5일
역병을 물리치는 날
수리취떡,앵두편,종편,준치만두,준치국,생실과,제호탕
유두
음력 6월
15일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아
재앙을 막는 날
화전(봉선화,감꽃잎,맨드라미),보리수단,떡수단,복분자화채,구절판,밀쌈,편수,깻국,어선,어채
칠석
음력 7월
7일
견우와 직녀가
1년에 한번 만나는 날
육개장,편,전,오이김치,깨찰편,밀설기,주악,규아상,흰떡국,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8.20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1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