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향가(사뇌가)의 개념과 성격 고찰
I. 들머리
II. ‘三國遺事’와 ‘均如傳’에 언급된 用語들의 槪念 정리
1. 鄕歌가 언급된 用語
2. 詞腦가 언급된 用語
3. 詞가 언급된 用語
4. 詞腦歌의 性格이 드러난 用語
III. 다섯 用語에 관한 정리
IV. 鄕歌 26수에 적용
1. 鄕歌의 3가지 특성을 현전 鄕歌 26수에 적용
2. 詞腦歌의 2가지 특징을 현전하는 詞腦歌 12수에 적용
V. 맺음말
<참고문헌>
I. 들머리
II. ‘三國遺事’와 ‘均如傳’에 언급된 用語들의 槪念 정리
1. 鄕歌가 언급된 用語
2. 詞腦가 언급된 用語
3. 詞가 언급된 用語
4. 詞腦歌의 性格이 드러난 用語
III. 다섯 用語에 관한 정리
IV. 鄕歌 26수에 적용
1. 鄕歌의 3가지 특성을 현전 鄕歌 26수에 적용
2. 詞腦歌의 2가지 특징을 현전하는 詞腦歌 12수에 적용
V.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두 글자로 된 짧은 탄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詞腦歌라는 노래로 불릴 때는 탄사를 포함한 간주부분이 있었고, 조금 빠른 템포의 음악이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해진다. 그렇다면 安民歌와 도천수대비가는 왜 詞腦歌로 분류될 수 없는가가 하나의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安民歌의 경우 9分節로 나눠지지만 내용상 하나의 구체가 너무 길어졌고 또 내용상 10구체로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천수대비가 또한 詞腦歌로 분류된 讚耆婆郞歌와 普賢十願歌처럼 11分節에 10구체이며 탄사가 있음에도 詞腦歌로 칭하여지지 않았다. 그 당시 三國遺事나 均如傳에 왜 이 작품들을 詞腦歌라고 칭하여 분류하지 않았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詞腦歌가 詞腦격의 가락으로 만들어졌고, 백성들을 위하여 우리말로 풀이되어 불리던 민속요의 하나였다는 가정을 해본다면, 讚耆婆郞歌와 普賢十願歌의 경우 민속요적 성격을 가진 詞腦격 노래였고, 나머지 鄕歌들은 가락과 노래의 성격, 템포에 있어서 민속적이고 경쾌한 성격의 노래가 아니었다고 추측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현전하는 鄕歌와 자료만으로 詞腦歌와 鄕歌를 따로 구분할 수 없으며 다만 전하지 않는 노래 자체가 가지고 있는 분위기가 어떠했는지 조심스럽게 가설을 세워볼 따름이다. 기파랑을 찬양하고 추도하는 노래와 불교를 찬양하는 노래는 민중들에게 불려진다면 상당히 영향력을 행사했을 것임은 분명하다. 전자는 화랑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줄 것이요, 후자는 불교 포교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술적인 성격은 띄고 있지 않아 언제 어디서나 불리기에 적당한 노래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백성들이 자주 부르는 노래에 가사를 붙여 부르게 하기 좋았을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이 두 곡은 사뇌격의 노래로 가창되었다고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詞腦歌는 미적가치가 높은 鄕歌였다.
번호
작품이름
성격/ 목적
1
서동요
개인적
2
혜성가
주술적
3
풍요
노동요
4
원왕생가
내세적 불교
5
모죽지랑가
개인적 추모
6
헌화가
개인적 사랑
7
원가
주술적
8
제망매가
개인적 추모
9
도솔가
주술적
10
찬기파랑가
화랑에 대한 추모
11
안민가
치국안민
12
도천수대비가
주술적
13
우적가
주술적
14
처용가
주술적
15-25
보현시원가
부처님을 찬양
26
도이장가
개인적
詞腦歌가 미적가치가 높았던 鄕歌였음은 精, 淸, 麗, 高등의 네 가지 글자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詞腦歌는 맑고 청하고 곱고 그 뜻이 높은 노래인 것이다. 이는 음악적으로 경쾌한 성격을 가진 詞腦歌이지만, 그 노래의 가사 내용만큼은 그 뜻이 교훈적이고 위에서부터 아래로 널리 알려지기에 부족함이 없는 내용적인 특징을 가졌다는 것이다.
주술적인 노래는 주로 제사에 쓰이거나 특정한 시기에 불려지는 노래이기 때문에 민속적인 성격을 띠고 사뇌격의 가락에 맞춰 가창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었을 것이다. 또한 개인적은 서정을 담은 노래 또한 백성을 상대로 상시 가창되었을 가능성이 적다. 詞腦歌는 계획적으로 자주 가창된 민속적 성격을 띤 노래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계획적이라 함은 그 내용이 함부로 지어져 불린 노래가 아니라 귀족층이나 지식층에 의해 만들어지고 백성들에게 퍼진 의도적으로 퍼진 음악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불교적인 색채를 가진 노래나 화랑에 대한 노래, 혹은 나라의 평안을 위한 노래였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원왕생가와 安民歌가 새로이 詞腦歌의 범주에 들어올 수 있는 가능성이 농후해진다. 현재 詞腦歌라고 칭해진 鄕歌로는 讚耆婆郞歌와 普賢十願歌밖에 없지만 만약 詞腦歌의 첫 번째 성격인 빠른 사뇌격 템포를 가진 민속음악과 함께 가창되었다는 근거가 있다면 詞腦歌로 보아도 무리가 없을 듯싶다. 왜냐하면 詞腦歌의 두 번째 성격인 집단 가창의 가능성을 충분히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願往生歌도 普賢十願歌처럼 불교적 성격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普賢十願歌는 주로 부처님을 찬양함으로써 신앙과 불심을 닦는 방법에 대해 노래하고 있는 반면, 원왕생가는 내세에 극락에 가기를 소원하는 노래이다. 普賢十願歌는 불교적 색채가 강하나 보다 교육적인 측면이 강한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백성들을 교화, 교육 목적을 가지고 의도적으로 창작, 퍼졌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는 安民歌를 들 수 있다. 安民歌는 9分節이기는 하나 한 구가 비정상적으로 길어져 내용상 10구체로 보기 적당하며, 우리말로 풀이 했을 때 많은 내용을 담고 있어 템포가 빠른 음악이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讚耆婆郞歌
安民歌
열치매/3
나타난 달이/3-2
흰 구름
그러므로 현전하는 鄕歌와 자료만으로 詞腦歌와 鄕歌를 따로 구분할 수 없으며 다만 전하지 않는 노래 자체가 가지고 있는 분위기가 어떠했는지 조심스럽게 가설을 세워볼 따름이다. 기파랑을 찬양하고 추도하는 노래와 불교를 찬양하는 노래는 민중들에게 불려진다면 상당히 영향력을 행사했을 것임은 분명하다. 전자는 화랑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줄 것이요, 후자는 불교 포교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술적인 성격은 띄고 있지 않아 언제 어디서나 불리기에 적당한 노래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백성들이 자주 부르는 노래에 가사를 붙여 부르게 하기 좋았을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이 두 곡은 사뇌격의 노래로 가창되었다고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詞腦歌는 미적가치가 높은 鄕歌였다.
번호
작품이름
성격/ 목적
1
서동요
개인적
2
혜성가
주술적
3
풍요
노동요
4
원왕생가
내세적 불교
5
모죽지랑가
개인적 추모
6
헌화가
개인적 사랑
7
원가
주술적
8
제망매가
개인적 추모
9
도솔가
주술적
10
찬기파랑가
화랑에 대한 추모
11
안민가
치국안민
12
도천수대비가
주술적
13
우적가
주술적
14
처용가
주술적
15-25
보현시원가
부처님을 찬양
26
도이장가
개인적
詞腦歌가 미적가치가 높았던 鄕歌였음은 精, 淸, 麗, 高등의 네 가지 글자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詞腦歌는 맑고 청하고 곱고 그 뜻이 높은 노래인 것이다. 이는 음악적으로 경쾌한 성격을 가진 詞腦歌이지만, 그 노래의 가사 내용만큼은 그 뜻이 교훈적이고 위에서부터 아래로 널리 알려지기에 부족함이 없는 내용적인 특징을 가졌다는 것이다.
주술적인 노래는 주로 제사에 쓰이거나 특정한 시기에 불려지는 노래이기 때문에 민속적인 성격을 띠고 사뇌격의 가락에 맞춰 가창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었을 것이다. 또한 개인적은 서정을 담은 노래 또한 백성을 상대로 상시 가창되었을 가능성이 적다. 詞腦歌는 계획적으로 자주 가창된 민속적 성격을 띤 노래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계획적이라 함은 그 내용이 함부로 지어져 불린 노래가 아니라 귀족층이나 지식층에 의해 만들어지고 백성들에게 퍼진 의도적으로 퍼진 음악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불교적인 색채를 가진 노래나 화랑에 대한 노래, 혹은 나라의 평안을 위한 노래였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원왕생가와 安民歌가 새로이 詞腦歌의 범주에 들어올 수 있는 가능성이 농후해진다. 현재 詞腦歌라고 칭해진 鄕歌로는 讚耆婆郞歌와 普賢十願歌밖에 없지만 만약 詞腦歌의 첫 번째 성격인 빠른 사뇌격 템포를 가진 민속음악과 함께 가창되었다는 근거가 있다면 詞腦歌로 보아도 무리가 없을 듯싶다. 왜냐하면 詞腦歌의 두 번째 성격인 집단 가창의 가능성을 충분히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願往生歌도 普賢十願歌처럼 불교적 성격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普賢十願歌는 주로 부처님을 찬양함으로써 신앙과 불심을 닦는 방법에 대해 노래하고 있는 반면, 원왕생가는 내세에 극락에 가기를 소원하는 노래이다. 普賢十願歌는 불교적 색채가 강하나 보다 교육적인 측면이 강한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백성들을 교화, 교육 목적을 가지고 의도적으로 창작, 퍼졌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는 安民歌를 들 수 있다. 安民歌는 9分節이기는 하나 한 구가 비정상적으로 길어져 내용상 10구체로 보기 적당하며, 우리말로 풀이 했을 때 많은 내용을 담고 있어 템포가 빠른 음악이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讚耆婆郞歌
安民歌
열치매/3
나타난 달이/3-2
흰 구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