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스키너 이전의 행동주의 이론가
2)스키너의 생애
3) 성격 없는 성격이론
4) 조작적 조건형성
2. 본론
1)스키너 이전의 행동주의 이론가
2)스키너의 생애
3) 성격 없는 성격이론
4) 조작적 조건형성
본문내용
하는 것이다. 이 기법은 개인적으로 실시되기 보다는 보통 교실에서나 빈둥거리는 청소년들이 있는 가정 그리고 정신과 병동과 같은 집단상황에 적용 된다. 이 토큰법은 토큰이라는 강화인자를 쓸 수 없을 때의 행동수정에 적용될 수 있다. 적절한 행동을 강화하기 위한 강화인자로서의 토큰을 사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토큰은 유인자를 잃지 않으며 특히 특수한 행동을 개선할 때 그 소득과 가치가 증가한다.
-토큰은 어떤 행동을 보상간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토큰은 긍정적인 강화인자이다.
-토큰은 번 토큰은 어떻게 사용할까 하는 것을 생각할 기회를 준다.
-토큰은 치료자와 내담자의 도덕성을 사용할 수 있다.
-토큰은 사회적 강화를 측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토큰은 제도와 제도 밖의 삶 사이의 틈에 다리를 놓아준다.
(2) 행동평가
자극(Antecedent events) 행동(Behavior), 결과 (Consequences)를 분석하는 것으로 머리글자로 ABC분석 혹은 행동평가라고도 한다. 이 행동평가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강조한다. 첫째, 목표행동 혹은 목표반응이라고 불리는 특정행동을 확인한다. 둘째, 목표행동을 도출하거나 강화하는 특정 환경 요인을 확인한다. 셋째, 행동을 바꾸기 위해 조작될 수 있는 특정 환경 요인을 확인한다. 즉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보상을 발견한다.
3. 결론
스키너의 행동주의 이론은 심리치료를 과학의 영역으로 발전 시켰고 적합한 치료기술을 가양하게 선택하여 사용 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을 하였지만 몇 가지 점에서는 비판을 받고 있다. 첫째는 기술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치료관계를 소홀히 한다는 점이다. 둘째, 이 접근에 의해 문제행동이 일시적으로 사라진다 해도 그 행동의 근원을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곧 다른 형태로 다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는 인지적 영역이나 정의적 영역은 도외시한 채 오직 나타난 행동만을 다룬다는 점이다. 넷째, 행동주의 접근에서는 현재의 문제에 대한 배경과 내력을 무시한다는 점이다. 다섯째는 학습이론이 실험실의 동물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인간에게는 적절하지 않다는 점을 비판받고 있다.
<참고문헌>
나남출판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2009) / 이인정, 최해경
하우/ 학교학습심리학(2004) / 아범희
학지사 / 성격심리학 (2006) / 노안영, 강영신 공저
시그마 프레스 / 최신심리학 /김유진, 임충기
-토큰은 유인자를 잃지 않으며 특히 특수한 행동을 개선할 때 그 소득과 가치가 증가한다.
-토큰은 어떤 행동을 보상간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토큰은 긍정적인 강화인자이다.
-토큰은 번 토큰은 어떻게 사용할까 하는 것을 생각할 기회를 준다.
-토큰은 치료자와 내담자의 도덕성을 사용할 수 있다.
-토큰은 사회적 강화를 측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토큰은 제도와 제도 밖의 삶 사이의 틈에 다리를 놓아준다.
(2) 행동평가
자극(Antecedent events) 행동(Behavior), 결과 (Consequences)를 분석하는 것으로 머리글자로 ABC분석 혹은 행동평가라고도 한다. 이 행동평가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강조한다. 첫째, 목표행동 혹은 목표반응이라고 불리는 특정행동을 확인한다. 둘째, 목표행동을 도출하거나 강화하는 특정 환경 요인을 확인한다. 셋째, 행동을 바꾸기 위해 조작될 수 있는 특정 환경 요인을 확인한다. 즉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보상을 발견한다.
3. 결론
스키너의 행동주의 이론은 심리치료를 과학의 영역으로 발전 시켰고 적합한 치료기술을 가양하게 선택하여 사용 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을 하였지만 몇 가지 점에서는 비판을 받고 있다. 첫째는 기술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치료관계를 소홀히 한다는 점이다. 둘째, 이 접근에 의해 문제행동이 일시적으로 사라진다 해도 그 행동의 근원을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곧 다른 형태로 다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는 인지적 영역이나 정의적 영역은 도외시한 채 오직 나타난 행동만을 다룬다는 점이다. 넷째, 행동주의 접근에서는 현재의 문제에 대한 배경과 내력을 무시한다는 점이다. 다섯째는 학습이론이 실험실의 동물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인간에게는 적절하지 않다는 점을 비판받고 있다.
<참고문헌>
나남출판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2009) / 이인정, 최해경
하우/ 학교학습심리학(2004) / 아범희
학지사 / 성격심리학 (2006) / 노안영, 강영신 공저
시그마 프레스 / 최신심리학 /김유진, 임충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