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평음화
3. 동화
4. 경음화
5. 반모음화
6. 원순모음화
7. 비원순모음화
8. 단모음화
9. 맺음말
2. 평음화
3. 동화
4. 경음화
5. 반모음화
6. 원순모음화
7. 비원순모음화
8. 단모음화
9. 맺음말
본문내용
음운의 교체
1. 머리말
2. 평음화
3. 동화
4. 경음화
5. 반모음화
6. 원순모음화
7. 비원순모음화
8. 단모음화
9. 맺음말
<목 차>
1. 머리말
형태소와 형태소가 통합하는 경우에, 그 경계에 있는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변동하는 것을 ‘교체’라고 한다. 이러한 음운의 변동 즉 음운과정을 좀더 주의 깊게 관찰하면, 음운과정의 결과에 따라서 ‘교체’가 여러 가지로 구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를 기준으로 각각 평음화, 동화, 경음화, 반모음화, 원순모음화, 비원순모음화, 단모음화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 하나하나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겠다.
2. 평 음 화
평음화란 어간말 자음 ‘ㅂ, ㅍ’, ‘ㄱ, ㄲ, ㅋ’과 ‘ㅅ’ 등이 어간말 위치에서나 어미초의 자음 앞에서 파열되지 않은 결과, 그것이 가진 음운의 특성을 잃고 ‘ㅂ’, ‘ㄱ’, ‘ㄷ’으로 교체되는 음운 현상으로 ‘미파화(未破化)’ 또는 불파화(不破化)라고도 한다.
어미
A. /-{도, 지}/
B. /-{에, 어도}/
어간
(1) /입/ (口)
[입], [입또]
[이베]
(1) /잡-/ (執)
[잡찌]
[자{바, 버}도]
(1) /앞/ (前)
[압], [압또]
[아페]
(1) /높-/ (高)
[놉찌]
[노파도]
(2) ① /박/ (瓢),
[박], [박또]
[바게]
(2) ① /작-/ (小)
[작찌]
[자{가, 거}도]
(2) ② /밖/ (外)
[박], [박또]
[바께]
(2) ② /깎-/ (削)
[깍찌]
[까까도]
(2) ③ /부엌/ (廚)
[부억],[부억또]또]또]
[부어케]
(3) /웃-/ (笑)
[
1. 머리말
2. 평음화
3. 동화
4. 경음화
5. 반모음화
6. 원순모음화
7. 비원순모음화
8. 단모음화
9. 맺음말
<목 차>
1. 머리말
형태소와 형태소가 통합하는 경우에, 그 경계에 있는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변동하는 것을 ‘교체’라고 한다. 이러한 음운의 변동 즉 음운과정을 좀더 주의 깊게 관찰하면, 음운과정의 결과에 따라서 ‘교체’가 여러 가지로 구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를 기준으로 각각 평음화, 동화, 경음화, 반모음화, 원순모음화, 비원순모음화, 단모음화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 하나하나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겠다.
2. 평 음 화
평음화란 어간말 자음 ‘ㅂ, ㅍ’, ‘ㄱ, ㄲ, ㅋ’과 ‘ㅅ’ 등이 어간말 위치에서나 어미초의 자음 앞에서 파열되지 않은 결과, 그것이 가진 음운의 특성을 잃고 ‘ㅂ’, ‘ㄱ’, ‘ㄷ’으로 교체되는 음운 현상으로 ‘미파화(未破化)’ 또는 불파화(不破化)라고도 한다.
어미
A. /-{도, 지}/
B. /-{에, 어도}/
어간
(1) /입/ (口)
[입], [입또]
[이베]
(1) /잡-/ (執)
[잡찌]
[자{바, 버}도]
(1) /앞/ (前)
[압], [압또]
[아페]
(1) /높-/ (高)
[놉찌]
[노파도]
(2) ① /박/ (瓢),
[박], [박또]
[바게]
(2) ① /작-/ (小)
[작찌]
[자{가, 거}도]
(2) ② /밖/ (外)
[박], [박또]
[바께]
(2) ② /깎-/ (削)
[깍찌]
[까까도]
(2) ③ /부엌/ (廚)
[부억],[부억또]또]또]
[부어케]
(3) /웃-/ (笑)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