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식민주의 비평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탈식민주의 비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1

Ⅱ. 본론………………………………1
 1. 탈식민주의 비평 이론 개괄………………………………1

 2. 탈식민주의 비평의 실제 ………………………………4
  2.1 이문구 『관촌수필』에서 나타나는 탈식민주의
         : 고인환의 텍스트 메타비평………………………………4
  2.2 황석영『손님』에서 나타나는 탈식민주의………………………………7
  2.3 탈식민주의 문학의 다른 예………………………………11

 3. 탈식민주의 시각의 다른 비평문………………………………14
  3.1 작가 남정현의 탈식민주의적 현실인식과 한계점을 살핀 비평……14
  3.2 한국문학에서 나타나는 흑인시의 변용 양상을 살펴본 비평………17

 4. 다른 방법론과의 연결………………………………19
  4.1 탈식민주의와 정신분석학………………………………19
  4.1 탈식민주의와 페미니즘………………………………23

Ⅲ. 결론………………………………25


참고 문헌………………………………26

본문내용

서 찾아 볼 수 있는 탈식민주의 리얼리즘의 문체적 양상으로서 첫 번째로 들 수 있는 것은 소설 형식과 수필 형식의 혼성적 교차이다. 근대 소설의 양식과 이와는 이질적인 전통적 서사 기법이 혼성적인 교차는 ‘의도적 혼종화’를 통해 ‘창조적 초월’을 추구하는 것이다. 박상기, 「탈식민주의의 양가성과 혼종성」, 『탈식민주의 이론과 쟁점』, 문학과지성사, 2003. p.255.
즉 새로운 문화의 창조는 고유문화의 유산을 유물로 되돌리고 외래문화를 타자로 구별하면서, 동시에 전통을 다시 부활시키는 것이다. 즉 혼성된 제3자로서의 ‘주체적인’ 문화의 ‘창조’를 의미한다.
즉 전통의 부활은 화자의 고향이라는 ‘관촌’을 제시함으로써 생생한 현장감의 확보를 할 수 있으며, 서구의 서사 기법 역시도 놓치지 않는 것이다. 허구로서의 소설 형식과 체험으로서의 수필 형식의 긴장은 근대성의 변증법을 구현하면서도 이를 넘어서는 하나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소설과 수필의 경계를 모호하게 설정함은 제3자로써만이 가능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제3자로서의 주체적 문화의 창조에 대한 것은 고길섶(1999)의 견해와 유사하다. 그는 우리의 언어를 찾기 위한 전략을 두고 ‘본질주의’와 ‘혼합주의’로 이분하면서, 식민지 이전의 언어와 문화를 그대로 회복하려는 본질주의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따라서 문화적 혼합성을 인정하는 혼합주의적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한다. 고길섶에 의하면 “혼합주의는 식민화/재식민화/탈식민화의 역동적 복합성과 변이선들을 독해하면서 역동일시 전략으로 대중들의 욕망을 긍정화하고 문화적 차이(‘동등한 자격을 지닌 차이’)들을 존중하기 때문에 식민화의 항상적 위기에 더 잘 대응할 수 있다.”라고 하여 본질주의가 해낼 수 없는 식민화가 가진 역동성의 현실적 반영을 혼합주의가 해낼 수 있다고 보았다. 홍성민,「우리언어의 정체성과 탈식민주의」, 『아시아문화』, 제17호,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 연구소, 2001. p.353. 참조.
‘허구’라는 소설의 전통적인 자질을 가져올 때 생기는 인공적 플롯은 그로 인한 일상적 삶의 자잘한 결을 은폐하게 되는데 이것의 보완으로써 수필 형식은 이러한 은폐에서 리얼리즘을 복원하는데 기여한다. 이는 곧 ‘느슨한 플롯’으로 드러나며 무형식의 형식이라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젠 완전히 타락한 동네구나- 나는 은연중 그렇게 중얼거리고 있음을 스스로 깨달았다. 마을의 주인(왕소나무)이 세상 뜬 지 오래라니 오죽해졌으랴 싶기도 했다. 하루에도 몇 차례씩, 더욱이 피서지로 한몫해온 탓에, 해수욕장이 개장된 여름이면 밤낮 기적 소리가 잘 틈 없던 철로가에 서서, 그 숱한 소음과 매연을 마시다 지쳐, 영물의 예우도 내던지고 고사(枯死)해버린 왕소나무의 운명은, 되새기면 되새길수록 가슴이 쓰리고 아파 견딜 수가 없었다. 물론 왕소나무의 비운에 대한 조상(弔喪)만으로 비감에 젖어 있었다고는 말할 수 없겠지만- 이문구, 「일락서산」, 『관촌수필』, 문학과지성사, 2008. p.12.
이문구는 ‘일락서산’에서 실제 작가의 고향이기도 한 충남 보령의 관촌을 묘사하며 토정 이지함 선생이 꽂은 지팡이가 왕소나무로 자라서 나무가 되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것은 실제로 작가가 마을에서 보고 자라온 왕소나무의 이미지를 소설에 가져온 것이다. 실제 관촌의 왕소나무는 작가의 집필 당시에는 마을에 존재하였지만 소설에서는 마을의 대들보 역할을 했던 왕소나무가 밑동만 남긴 채 잘려나간 것으로 묘사되어 실제 경험과 소설로써의 허구성을 혼합하여 드러내고 있다. “소설에 등장하는 마을에 있던 왕소나무도 몇 해 전 베어지고 없지요. 당시 공사를 진행하던 사람들에게 왕소나무의 보존을 부탁했는데, 뜻대로 되지 않아서 너무 안타깝고 죄송스러울 따름입니다.” <명천 이문구 삶과 문학의 궤적을 찾아>, 컬쳐뉴스 2007년 10월 8일 기사 참조. http://www.culturenews.net/read.asp?
title_up_code=001&title_down_code=005&article_num=8454
2.1.3 문체: 구술성에서 드러나는 ‘말’의 가능성
탈식민주의 이론에 근거한 구연문학에 대한 논의는 아프리카 지역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디 구연이란 조장신의 음덕을 기리거나 추장이나 왕 같은 권력자의 치적을 칭송하는 것은 물론 성년식이나 장례식 혹은 결혼식, 아이가 태어날 때 등등 일상생활과 긴밀하게 연관된 일을 수행할 때 하는 것으로, 이는 철저하게 ‘문자’나 ‘기록’이 아닌 ‘말’이나 ‘기억’에 의존하는 연희 혹은 공연 양식으로서 인류 보편의 문화 양식이다. 이러한 구연은 근대화와 식민지 지배에 의해 ‘말’에 기초한 문화는 억압되어 타자화, 주변부화, 엽기화 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는 근대 이후 전방위적으로 진행된 서구화에 대한 ‘총체적 탈식민화의 한 방식’이다. 이석호, 「남부 아프리카에서 구연의 대중화와 탈식민주의」,『실천문학』, 제71호, 실천문학사, 2003. pp.306~307. 참조.
이는 근대적 소설 양식을 상대화하는데 기여하며 무엇보다도 설화의 화자가 이야기의 창조를 넘어 재생산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기억에 매개한 작가의 전달이 아닌 ‘지금’ ‘여기’에 있는 ‘나’로부터 모든 것이 시작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초월적 기의의 파괴’라 하여 초월적 기의의 자리에 개별적 기의가 그 자리를 대신 차지하면서 근대 담론이 아닌 개별화된 담론을 소설 안에 놓아두는 것이다. 이는 담론에서의 개성적인 양식과 문체의 창조를 가능하게 한다.
“나는 살구 싶은디, 살구 싶은디 그여 데려가네…… 늙으신 부모를 두구 먼저 가다니, 어린 새끼들은 워칙허라구 나를 데려가까……”
그러다가도 그는 사지를 버둥거리고 눈을 뒤집으며 발악하듯 울부짖는 거였다.
“안되여, 나는 살으야 되어, 나는 살구 싶어, 내가 죽으면 안되여……”
말이 쏟아져나오기 시작하면 숨돌릴 겨를도 없었다.
“여게, 줘매, 얼릉 대천 가서 논 팔어와…… 밭두 팔구 집두 팔구…… 싸게 가서 돈 맹글어오란 말여…… 나버텀 살구 봐야겄어……이대루는 억울해서 죽을 수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3.09.21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1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