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소화기계 내시경검사의 종류
1. Esophagogastroduodenoscopy(식도, 위, 십이지장 내시경)
1)검사 전 간호
2) 검사 후 간호
3) 부작용
2. proctosigmoidoscopy(직장 S자결장경 검사)
1)진단과 치료
2)방법
3) 검사 전 간호
4) 검사 후 간호
5) 부작용
3. Colonofiberscopy (대장 내시경 검사)
1) 대장내시경 대상자
2) 검사 전 간호
3) 검사 후 간호
4) 부작용
5)금기사항
4. Capsule endoscopy (캡슐형 내시경검사)
1) 검사 전 간호
2) 검사 후 간호
3) 주의사항
5.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scopy)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1) 장점
2) 단점
3) 검사 전 간호
4) 검사 후 간호
5) 합병증
6. Laparoscopy(복강경 내시경 검사)
1) 치료
2) 부작용
7. EUS (endoscopic ultrasonography) 내시경 초음파 검사
1) 검사 전 간호
2) 검사 후 간호
3) 금기약물
출처
1. Esophagogastroduodenoscopy(식도, 위, 십이지장 내시경)
1)검사 전 간호
2) 검사 후 간호
3) 부작용
2. proctosigmoidoscopy(직장 S자결장경 검사)
1)진단과 치료
2)방법
3) 검사 전 간호
4) 검사 후 간호
5) 부작용
3. Colonofiberscopy (대장 내시경 검사)
1) 대장내시경 대상자
2) 검사 전 간호
3) 검사 후 간호
4) 부작용
5)금기사항
4. Capsule endoscopy (캡슐형 내시경검사)
1) 검사 전 간호
2) 검사 후 간호
3) 주의사항
5.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scopy)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1) 장점
2) 단점
3) 검사 전 간호
4) 검사 후 간호
5) 합병증
6. Laparoscopy(복강경 내시경 검사)
1) 치료
2) 부작용
7. EUS (endoscopic ultrasonography) 내시경 초음파 검사
1) 검사 전 간호
2) 검사 후 간호
3) 금기약물
출처
본문내용
Report
-소화기계 내시경-
* 내시경검사(endoscopy) *
- 내시경 검사는 끝에 렌즈가 달린 유연한 관을 사용하여 위장계를 직접 관찰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 대장, 직장의 병변 부위를 확인하며, 조직의 일부를 생검 하여 궤양이나 암, 염증 등을 진단한다.
또 내시경으로 보면서 용종을 제거할 수 있다.
검사자가 직접 출혈부위와 상처부위를 보고 치유조직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방사선 검사보다 정확하다.
내시경 검사에는 수면 내시경검사와 일반 내시경 검사가 있는데, 일반 내시경 검사를 할 경우 목에 불편함과 통증으로 인해 매우 고통스럽지만 수면 내시경을 하게되면 진정된 상태에서 검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목에 불편함을 최소화 하는 검사이다.
수면 내시경을 할 경우에는 당일 중요한 업무나 ,운전은 피하는게 좋고 기존에 심장질환이나 천식 등 호흡곤란을 초래하는 호흡기 질환이 있는 사람은 주의가 필요하다.
소화기계 내시경검사의 종류
1. Esophagogastroduodenoscopy(식도, 위, 십이지장 내시경)
내시경을 입을 통해 식도로 삽입하여 위, 십이지장까지 점막의 병변을 관찰하며, 이상이 있는 경우 이물을 제거하거나 생검을 위한 조직을 얻어 진단하는 검사 방법이다.
주로 식도 및 위 내출혈이 의심되는 질병, 식도, 위, 십이지장의 궤양과 암의 감별진단, 식도 내 손상, 연하곤란, 소화불량, 상복부 통증, 급만성위염 출혈, 천공, 위 내용물의 기관내 흡인을 하기 위하여 시행한다.
검사시간은 15~30분 정도 소요된다.
심한 심장질환이 있는 대상자에게는 금기이다.
구강을 통하여 내시경을 넣고 공기로 위를 부풀리면서 내시경으로 십이지장까지 관찰한다.
관을 넣을때 불편감을 완화하고 구개반사를 예방하기 위해 목안에 마취제를 5분 정도 머금게 한 후 서서히 삼키도록 한다.
진정제를 투여한 후 유연한 광학섬유 내시경관을 구강을 통해 식도, 위, 유문과 십이지장으로 넣으면서 직접 시진한다.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손가락에 산소측정기를 대고 혈액 속의 산소 농도와 맥박수 등을 관찰한다.
위 내시경 검사는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1년에 한번씩 해 주는 것이 좋고 상복부의 불쾌함, 통증,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있을 때는 즉시 위 내시경을 해보는 것이 좋다.
1)검사 전 간호
- 먼저 환자의 동의서를 받는다.
- 검사 전 8시간 이상 금식을 한 후 검사 직전 내시경 삽입에 따른 통증 경감을 위해 마취 제를 목에 30초간 물고 있는 방법으로 목을 국소 마취제(리도케인)로 마취한다.
- 일반적으로 IV는 필요하지 않지만 의사의 order에 따라 필요한 경우도 있다.
- 정상적인 위 운동에 따른 움직임을 줄여 검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위장관 운동 억제제 주사(부스코판)를 맞는다.
- 위 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거품과 가스를 제거하여 검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스 제 거제(시메치콘)를 복용한다.
- 수면 내시경의 경우 수면제를 주사로 투여한다.
2) 검사 후 간호
- 30분 간 금식 후 구개 반사가 돌아오면 물을 조금씩 먹는다.
- 자주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진정제나 마취제의 효과가 없어질 때까지 질식을 예방하기 위해 대상자를 옆으로
-소화기계 내시경-
* 내시경검사(endoscopy) *
- 내시경 검사는 끝에 렌즈가 달린 유연한 관을 사용하여 위장계를 직접 관찰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 대장, 직장의 병변 부위를 확인하며, 조직의 일부를 생검 하여 궤양이나 암, 염증 등을 진단한다.
또 내시경으로 보면서 용종을 제거할 수 있다.
검사자가 직접 출혈부위와 상처부위를 보고 치유조직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방사선 검사보다 정확하다.
내시경 검사에는 수면 내시경검사와 일반 내시경 검사가 있는데, 일반 내시경 검사를 할 경우 목에 불편함과 통증으로 인해 매우 고통스럽지만 수면 내시경을 하게되면 진정된 상태에서 검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목에 불편함을 최소화 하는 검사이다.
수면 내시경을 할 경우에는 당일 중요한 업무나 ,운전은 피하는게 좋고 기존에 심장질환이나 천식 등 호흡곤란을 초래하는 호흡기 질환이 있는 사람은 주의가 필요하다.
소화기계 내시경검사의 종류
1. Esophagogastroduodenoscopy(식도, 위, 십이지장 내시경)
내시경을 입을 통해 식도로 삽입하여 위, 십이지장까지 점막의 병변을 관찰하며, 이상이 있는 경우 이물을 제거하거나 생검을 위한 조직을 얻어 진단하는 검사 방법이다.
주로 식도 및 위 내출혈이 의심되는 질병, 식도, 위, 십이지장의 궤양과 암의 감별진단, 식도 내 손상, 연하곤란, 소화불량, 상복부 통증, 급만성위염 출혈, 천공, 위 내용물의 기관내 흡인을 하기 위하여 시행한다.
검사시간은 15~30분 정도 소요된다.
심한 심장질환이 있는 대상자에게는 금기이다.
구강을 통하여 내시경을 넣고 공기로 위를 부풀리면서 내시경으로 십이지장까지 관찰한다.
관을 넣을때 불편감을 완화하고 구개반사를 예방하기 위해 목안에 마취제를 5분 정도 머금게 한 후 서서히 삼키도록 한다.
진정제를 투여한 후 유연한 광학섬유 내시경관을 구강을 통해 식도, 위, 유문과 십이지장으로 넣으면서 직접 시진한다.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손가락에 산소측정기를 대고 혈액 속의 산소 농도와 맥박수 등을 관찰한다.
위 내시경 검사는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1년에 한번씩 해 주는 것이 좋고 상복부의 불쾌함, 통증,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있을 때는 즉시 위 내시경을 해보는 것이 좋다.
1)검사 전 간호
- 먼저 환자의 동의서를 받는다.
- 검사 전 8시간 이상 금식을 한 후 검사 직전 내시경 삽입에 따른 통증 경감을 위해 마취 제를 목에 30초간 물고 있는 방법으로 목을 국소 마취제(리도케인)로 마취한다.
- 일반적으로 IV는 필요하지 않지만 의사의 order에 따라 필요한 경우도 있다.
- 정상적인 위 운동에 따른 움직임을 줄여 검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위장관 운동 억제제 주사(부스코판)를 맞는다.
- 위 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거품과 가스를 제거하여 검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스 제 거제(시메치콘)를 복용한다.
- 수면 내시경의 경우 수면제를 주사로 투여한다.
2) 검사 후 간호
- 30분 간 금식 후 구개 반사가 돌아오면 물을 조금씩 먹는다.
- 자주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진정제나 마취제의 효과가 없어질 때까지 질식을 예방하기 위해 대상자를 옆으로
추천자료
USG, CT, MRI
위암의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및 징후, 진단, 치료, 간호과정
결장암의 증상과 원인 및 진단과 치료 예방
대장용종
[위암][구강암][폐암][식도암][대장암][유방암][자궁암][전립선암][간암]위암의 원인, 구강암...
신장이식과 간호(거부반응 면역치료 식이요법)
회복실 케이스 (결장암)
colon ca. case
위염의 진단 분류 수술 치료
ward_ERCP
동영상 정보제공이 위내시경 대상자의 신체적 불편감, 불안 및 간호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식도암 ( esophageal cancer ) case study [ 성인간호 실습 식도암 컨퍼런스 ]
ICU(중환자실) 실습 전 학습내용 /실습내용/중환자실 장비,기구, 질환명 정의, CCU입원대상자...
[동서협진과 CASE] 변비 이후 허혈성대장염이 발생한 환자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