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 소울 SOUL 쏘울 마케팅 전략분석 및 기아차 소울 성공요인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아자동차 소울 SOUL 쏘울 마케팅 전략분석 및 기아차 소울 성공요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 소울 4C분석
  1) Cutomer
  2) Company
  3) Competitors
  4) Communications

 (2) 소울 STP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3) 소울 SWOT분석

 (4) 쏘울 마케팅믹스 4P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5) 핵심성공요인

3.결론

본문내용

. 이러한 새로운 블루오션 전략으로, 소울은 소비자의 심리적 변수를 나타내는 개성, 라이프스타일 등을 공략할 수 있도록 디자인을 선택하고 직접 차를 꾸민다는 전략으로 소비자들에게 여러 선택권을 부여했다.
2) Targeting
본래소울은 출시 전엔 여성을 위한 초소형 SUV로 포지셔닝을 했다. 상품의 기능적인 측면보다 디자인이나 외형을 중시하는 여성을 위해 커스터마이징을 다양화했고, 광고를 사용한 마케팅에서도 성능보다는 디자인을 중시했다. 2차 광고에서도 \'예쁘지 않으면 눈길도 안준다는거\'라는 광고카피를 사용하고, 뮤직드라마나 SBS의 \'골드미스가 간다\'라는 프로그램에 차량을 협찬하며 (이 프로그램은 2~30대 여성 시청자를 주로 타깃으로 한 프로그램이다.) 여성을 주요고객으로 삼았지만, 출시를 하고 그 고객층을 넓히기 위해 타겟층을 \'2-30대의 젊은 트렌드세터\'로 조금 더 확장시켰다.
자동차 시장에서 젊은 2-30대 층의 소비가 늘어나면서, 기아자동차는 20,30대를 타겟으로 새로운 컨셉트카인소울을 출시하였다. 주 타겟을 20, 30대의 영 트렌드세터로 잡은소울은 이들의 개성이 뚜렷하고, 독특한 스타일을 선호한다는 점에 맞게 \'디자인\'에 다른 차들과 큰 차별점을 두었다. 주 타겟인 20,30대는 새로운 트렌드에 대해 긍정적인 얼리어답터로 경제성도 갖추고 있다. 서브 타겟은 젊은 중장년층으로 설정한 기아는, 이들 또한 스타일과 개성을 중시하는 집단으로 보았다. 활동적인 야외활동을 선호하고, 자신들의 나이에 구애 받지 않는 이들은 20,30대와 마찬가지로 차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구현하기도 한다
3) Positioning
소울은우선 \'개성적\'이고 \'감성적\'인 면을 어필하고자 했다.소울은 본디 스포츠카 이미지를 부각시킨 \'Soul Burner\', 아웃도어 이미지를 강조한 \'Soul Searcher\', 페미닌 버전인 \'Soul Diva\'등 3가지 테마를 가지고 있었다. 이 세 가지 테마 모두 기아가 추구하는 \'Fun\'한 이미지에 잘 부합되는데, 기아 자동차의 디자인 수장인 페테르슈라이어 부사장은 \'소울 삼총사를 통해 기아차 디자인이 유연하면서도 강렬한 특징이 있음을 증명하게 될 것\'이라 밝히며 이를 과감하고 아름답고 호기심을 유발하는 차량이라고 설명했다. 디자인 혁신을 통해 차별화를 꾀한소울은 이윽고 소비자들에게 \'개성적\'이라는 반응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었고 이는 \'유행에 민감한 트렌드세터 세대를 만족시키는 활동적인 차량\'이라고 인식을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또한, 광고에서 감성디자인을 사용하며 \'감성적\'이라는 또 다른 아이덴티티를 창조해냈고, 음악의 박자에 맞춰 조명이 밝아지는 라이팅 스피커나 스포츠카 느낌의 실내구조, 미니멀한 세단 디자인 등은 광고에서 나타내는 감성적인 측면과 더욱 맞아떨어지며 좋은 평가를 이끌어냈다.개성적이다, 감성적이다, 라는 이미지 외에소울은 튼튼하다, 라는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심어주기 위해 2009 유로NCAP 충돌테스트에서 최고점을 받았다는 점을 내세워 광고에 사용하였고, 이는 기존에 존재했던 \'예쁜차 혹은 소형차는 대형자보다 튼튼하지 못하다\'라는 인식 또한 깰 수 있도록 만들었다.
(3) 소울 SWOT분석
Strength
-아우디, 폭스바겐디자이너 피러 슈라이어 영입
-디자인 조직을 현대자동차에서 분리
-기업브랜드 차별적 아이덴티티 형성
-CUV 신시장 선진출
- 튜닝에대한소비자들의니즈
-튜닝전문커스터마이징서비스브랜드 TUON
을출시함으로써기존에는제공되지않았던새
롭고혁신적인서비스제공을통해가치혁신
-새로운차종시장을개척하고기존
에국내에존재하지않았던새로운서비스를
제공]
Weakness
-자체적인소비자의식조사결과, 소비자들은기아자동차의품질을상대적으로저평가
-Strategy Clock(C.Bowman and D. Faulkner, 1990)을이용한분석 결과 당시기아자동차의이미지는 low price / lowadded value에머물렀음
- 현대자동차와 같은 엔진과 부품을 사용. 현대차와 차별화 요소 없음
-
Opportunity
-여러소비자계층을만족시킬수있는제품에대한기회포착
-국내 CUV(Crossover Utility Vehicle) 신
시장형성
-자동차 시장 블루오션존재
-단계적인세제혜택및유가혜택이축소됨에따라경제성을이유로 SUV,MPV를구입하는소비자들은줄어들었으나, 여전히차량의활용성을고려해서이들차종을구입하는소비자들이존재
Threat
-포화상태에있는자동차산업
-기아자동차는 2000년이후국내자동차시장에서점점시장점유율이떨어지는위기 맞게 됨(20% 초반대로 하락)
- 미국 시장의 경기 침체
- 닛산큐브 출시(비슷한 디자인)
(4) 쏘울 마케팅믹스 4P분석
1) Product
소울은 국내 최초의 박스형 자동차라는 점과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제품을 선보임으로써 출시 전부터 많은 화제를 모았다. 이러한 소울의 강점은 개성과 차별화를 중시하고 타인의 시선에 민감한 2030 젊은세대를소울의 고객층으로 끌어들이는데 기여했다. 실제로소울을구입한 고객들 중에는 \"엔진이나내장재보다는스타일에끌려구입했다\"는말을홈페이지에 남기는 네티즌이 많다고 한다.
2) Price
기아 소울은 경쟁사에 비해 다소 비싼 가격을 책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점은 소울의타겟이나소울이 추구하는 디자인경영에 비추어볼 때 오히려 장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스타일과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남들과 같은 것을 싫어하는젊은 세대를 공략하는소울의 경우, 옵션뿐만 아니라 어떤 디자인을 선택하느냐에 따라서도 가격이 달라질 정도로 커스터마이징 서비스가 뛰어나다. 이는 독특한 개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타겟의 특성에 맞게 그 디자인과 가격을 함께 세분화한 것으로 제품의 다양성은 물론 고객의 다양성까지도 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즉 남들과 다른 자신만의 차를 갖는다는 인상을 부각시켜줄 수 있기 때문에 소울의 다소 높은 가격조차도 소비자에게는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3) Place
기아자동차는 준 중형차 시장 내에서 넓은 오프라인 유통망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기아자동차는 오프라인 유통에서의 경쟁이 가열화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온라인을 활용하여 경쟁력을 높이려는 자동차 산업의 추세에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10.02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1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