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목차
문화기술과 사회변동
1~7주차
1~7주차
본문내용
장치와 진동센서를 이용해서 아이팟과의 소통을 시도한 Nike+를 단연 첫 손에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모두가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을 지니고 다니게 될 근미래에 Nike+의 성공은 단지 하나의 예에 불과하게 될 것이다.
Nike+의 경우 최근에 나오는 상품들은 자동으로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연결이 되어 일정한 운동을 마치고 나면 그와 관련한 내용을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전송하여 친구들과 경쟁도 유발할 수 있도록 만들고 있다.
앞으로 가까운 미래에 우리가 접하게 될 다양한 미래의류와 관련한 기술들을 정리/소개한다.
4. 미래의 의류 기술
주변감지 티셔츠
주변에 사람들을 감지하는 티셔츠는 이미 상용화가 되어, ThinkGeek에서 판매되고 있다. 셔츠에 레이더 스크린이 달려있어서, 같은 티셔츠를 입은 사람들이 반경 몇 미터 내에 접근하게 되면 서로에게 \"locks on\" 신호로 알려준다. 영상처럼 서바이벌 게임 등에 유용하고 그 밖에도 다양한 응용을 상상할 수 있을 듯 하다.
모션감지 의류
버지니아 폴리텍 연구소의 마크 존스(Mark Jones) 등이 연구하고 있는 모션감지 바지는 전자 텍스타일(electronic textile)이라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움직일 때마다 그 운동의 패턴이 전송이 된다.
천에 들어가 있는 센서가 속도와 회전력, 그리고 심지어는 천이 당겨지는 정도를 측정하고, 이것이 무선으로 컴퓨터에 전송이 되어 활동을 분석할 수 있다.
운동선수들의 운동능력을 분석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운동의 패턴을 통해 여러 가지 소통과 치료/재활 등에 필요한 정보가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여러 환자들에게도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바이오 셔츠 간단한 심전도와 심박수, 그리고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한 모션 감지 등을 할 수 있는 바이오 셔츠 역시 앞으로 주목해야 할 의류이다. 이 부분 기술은 우리나라에서도 ETRI(전자통신연구원)에서 기술개발에 성공한 뒤에 국내 몇몇 업체에 기술전수가 된 상태로, 스포츠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상용화가 되고 있다. 앞으로 비만과 U-헬스 부분에 있어서도 중요한 핵심기술로 쉽게 접할 수 있는 시기가 올 것이다. 아디다스 등에서도 이와 유사한 형태의 패치 등을 최근 내놓고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으며, 여성들의 브라에 넣는 바이오 스포츠 브라 등도 상품화되고 있다. 이 분야의 경우 기기보다는 ‘어떻게 사람들이 재미있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할 것인가’에 더욱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데, 그런 부분이 현재 국내 업체들의 역량이 부족한 점이다.
4. 미래의 의류 기술
네트워크 재킷 (Networked Jacket)
루나디자인(Lunar design)의 BLU Jacket 이라는 제품이다.
천에 유연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해서 색상과 다양한 형태의 사인을
자신의 무드에 맞춰서 표시할 수 있다. 심지어는 사진에서와 같이
지하철 노선을 보여주고, 현재 타고 있는 노선을 색깔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GPS 모듈이 내부에 장치되어 있다.
현실적으로 유연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있기에,
사람들을 이용한 인간광고판 프로젝트도 가능할 것이다.
바이오센서 속옷
앞서 운동 및 심박수 센서 등이 장착된 스포츠 브라에 대해서 언급한 바 있지만, 속옷에 바이오 센서를 넣는 연구개발도 활발하다.
처음에 천을 짜고 옷을 만들 때부터 인쇄하는 형식으로 집어넣는 것으로 주로 혈압과 심박수 등을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진은 UCSD(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의 조세프 왕(Joseph Wang) 연구팀이 개발하고 있는 언더웨어 팬티로 탄소전극어레이(carbon electrode array)을 스크린 인쇄의 형태로 속옷의 탄력밴드 내부에 직접 새겨넣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 어레이는 사람 피부에 직접 접촉을 해서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와 NADH 등의 효소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을 생각해볼 수 있다.
4. 미래의 의류 기술 미래의 옷은 어떻게 발전하게 될까?
미래의 옷은 어떻게 발전하게 될까? 옷이라는 것이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상품 중의 하나이지만, 미래의 옷은 현재 우리들이 보고 있는 다양한 IT 기술과 재료 기술 등이 총 집합된 가장 첨단기술이 집약된 아이템이 되지 않을까 상상해 본다.
이를 위해서는 IT 기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나노기술, 재료기술, 전기천(electric fabric) 기술 등이 필요하다.
우리나라가 전통적으로 IT 와 섬유 기술이 모두 좋기 때문에 가장 잘할 수 있는 분야일 것이지만,
기존 섬유 산업에 있는 사람들의 제조업 마인드로 접근해서는 좋은 성과를 내기 힘들 것이다.
앞으로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디자인하고,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과의 연계성과 운영방법, 그리고 마케팅/영업에 이르는 전체적인 전략 및 설계/디자인을 같이 할 수 있어야 이 분야에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5. 창의적 융합 기술
위모트(Wiimote, Wii Remote)
닌텐도의 대히트작 Wii의 성공에는 멋진 게임 소프트와 창의적이고
새로운 기획, 게임에 관심이 없었던 계층에게까지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 있었다는 것 등이 거론된다. 그런데, 그 중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인 중의
하나가 Wii의 입력 인터페이스 기기인 위모트(Wiimote, Wii Remote)이다.
위모트는 그 자체로 성능이 매우 뛰어난 기기이며 1024x768 적외선 카메라와 100Hz로 4점 트래킹이 가능하며, 역시 100Hz로 동작하는 +/-3g 8비트 3축 가속센서(accelerometer)까지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세계의 많은 과학자들과
엔지니어들이 위모트를 가지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위모트와 2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한 WinSCAPE 제작영상
실제로 창문에 디스플레이를 달아서 마치 어떤 여행지에 와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
최고로 아름다운 풍경을 가진 곳이 내려다 보이는 멋진 별장의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
위모트와 함께 목에 적외선 목걸이(IR necklace)를 걸고 움직이면 마치 동영상처럼
모두가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을 지니고 다니게 될 근미래에 Nike+의 성공은 단지 하나의 예에 불과하게 될 것이다.
Nike+의 경우 최근에 나오는 상품들은 자동으로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연결이 되어 일정한 운동을 마치고 나면 그와 관련한 내용을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전송하여 친구들과 경쟁도 유발할 수 있도록 만들고 있다.
앞으로 가까운 미래에 우리가 접하게 될 다양한 미래의류와 관련한 기술들을 정리/소개한다.
4. 미래의 의류 기술
주변감지 티셔츠
주변에 사람들을 감지하는 티셔츠는 이미 상용화가 되어, ThinkGeek에서 판매되고 있다. 셔츠에 레이더 스크린이 달려있어서, 같은 티셔츠를 입은 사람들이 반경 몇 미터 내에 접근하게 되면 서로에게 \"locks on\" 신호로 알려준다. 영상처럼 서바이벌 게임 등에 유용하고 그 밖에도 다양한 응용을 상상할 수 있을 듯 하다.
모션감지 의류
버지니아 폴리텍 연구소의 마크 존스(Mark Jones) 등이 연구하고 있는 모션감지 바지는 전자 텍스타일(electronic textile)이라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움직일 때마다 그 운동의 패턴이 전송이 된다.
천에 들어가 있는 센서가 속도와 회전력, 그리고 심지어는 천이 당겨지는 정도를 측정하고, 이것이 무선으로 컴퓨터에 전송이 되어 활동을 분석할 수 있다.
운동선수들의 운동능력을 분석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운동의 패턴을 통해 여러 가지 소통과 치료/재활 등에 필요한 정보가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여러 환자들에게도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바이오 셔츠 간단한 심전도와 심박수, 그리고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한 모션 감지 등을 할 수 있는 바이오 셔츠 역시 앞으로 주목해야 할 의류이다. 이 부분 기술은 우리나라에서도 ETRI(전자통신연구원)에서 기술개발에 성공한 뒤에 국내 몇몇 업체에 기술전수가 된 상태로, 스포츠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상용화가 되고 있다. 앞으로 비만과 U-헬스 부분에 있어서도 중요한 핵심기술로 쉽게 접할 수 있는 시기가 올 것이다. 아디다스 등에서도 이와 유사한 형태의 패치 등을 최근 내놓고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으며, 여성들의 브라에 넣는 바이오 스포츠 브라 등도 상품화되고 있다. 이 분야의 경우 기기보다는 ‘어떻게 사람들이 재미있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할 것인가’에 더욱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데, 그런 부분이 현재 국내 업체들의 역량이 부족한 점이다.
4. 미래의 의류 기술
네트워크 재킷 (Networked Jacket)
루나디자인(Lunar design)의 BLU Jacket 이라는 제품이다.
천에 유연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해서 색상과 다양한 형태의 사인을
자신의 무드에 맞춰서 표시할 수 있다. 심지어는 사진에서와 같이
지하철 노선을 보여주고, 현재 타고 있는 노선을 색깔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GPS 모듈이 내부에 장치되어 있다.
현실적으로 유연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있기에,
사람들을 이용한 인간광고판 프로젝트도 가능할 것이다.
바이오센서 속옷
앞서 운동 및 심박수 센서 등이 장착된 스포츠 브라에 대해서 언급한 바 있지만, 속옷에 바이오 센서를 넣는 연구개발도 활발하다.
처음에 천을 짜고 옷을 만들 때부터 인쇄하는 형식으로 집어넣는 것으로 주로 혈압과 심박수 등을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진은 UCSD(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의 조세프 왕(Joseph Wang) 연구팀이 개발하고 있는 언더웨어 팬티로 탄소전극어레이(carbon electrode array)을 스크린 인쇄의 형태로 속옷의 탄력밴드 내부에 직접 새겨넣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 어레이는 사람 피부에 직접 접촉을 해서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와 NADH 등의 효소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을 생각해볼 수 있다.
4. 미래의 의류 기술 미래의 옷은 어떻게 발전하게 될까?
미래의 옷은 어떻게 발전하게 될까? 옷이라는 것이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상품 중의 하나이지만, 미래의 옷은 현재 우리들이 보고 있는 다양한 IT 기술과 재료 기술 등이 총 집합된 가장 첨단기술이 집약된 아이템이 되지 않을까 상상해 본다.
이를 위해서는 IT 기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나노기술, 재료기술, 전기천(electric fabric) 기술 등이 필요하다.
우리나라가 전통적으로 IT 와 섬유 기술이 모두 좋기 때문에 가장 잘할 수 있는 분야일 것이지만,
기존 섬유 산업에 있는 사람들의 제조업 마인드로 접근해서는 좋은 성과를 내기 힘들 것이다.
앞으로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디자인하고,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과의 연계성과 운영방법, 그리고 마케팅/영업에 이르는 전체적인 전략 및 설계/디자인을 같이 할 수 있어야 이 분야에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5. 창의적 융합 기술
위모트(Wiimote, Wii Remote)
닌텐도의 대히트작 Wii의 성공에는 멋진 게임 소프트와 창의적이고
새로운 기획, 게임에 관심이 없었던 계층에게까지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 있었다는 것 등이 거론된다. 그런데, 그 중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인 중의
하나가 Wii의 입력 인터페이스 기기인 위모트(Wiimote, Wii Remote)이다.
위모트는 그 자체로 성능이 매우 뛰어난 기기이며 1024x768 적외선 카메라와 100Hz로 4점 트래킹이 가능하며, 역시 100Hz로 동작하는 +/-3g 8비트 3축 가속센서(accelerometer)까지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세계의 많은 과학자들과
엔지니어들이 위모트를 가지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위모트와 2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한 WinSCAPE 제작영상
실제로 창문에 디스플레이를 달아서 마치 어떤 여행지에 와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
최고로 아름다운 풍경을 가진 곳이 내려다 보이는 멋진 별장의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
위모트와 함께 목에 적외선 목걸이(IR necklace)를 걸고 움직이면 마치 동영상처럼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정책의 집행
기업문화에 관한 요약 정리
[과외]중학 국사 3-1학기 중간 02 조선 사회의 변동
[과외]중학 국사 3-1학기 중간 02 조선 사회의 변동(교사용)
2008년 2학기 유아사회교육 중간시험과제물 C형(다문화/반편견/평화/환경교육)
2007년 2학기 유아사회교육 중간시험과제물 C형(다문화/반편견/평화/환경교육)
문화사회학 기말고사 문화현상분석 레포트
사회과 교육의 내용선정 스코프 (SCOPE)
군장대-사회복지정책론 기말고사 족보
군장대-사회복지조사론 기말고사 족보 (75문제)
2013년 2학기 일본사회문화의이해 중간시험 핵심체크
청주대 프랑스문화와예술 족보 기말고사 (사이버강의)
2017년 1학기 한국사회문제 중간시험과제물 D형(서로 다른 사회적·문화적 가치)
2017년 2학기 일본사회문화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동경대 특별강좌 일본사회 일본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