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연구기간
2.사례 연구 장소
3.관련 주제 고찰
본론
1. 일반적 사항 및 입원시 정보
2. 투약력
3. 과거건강력
4. 신경학적인 검사
5. 일반적 검사 결과
6.사용기구/삽입튜브
7. Medication
8.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결론
1.연구기간
2.사례 연구 장소
3.관련 주제 고찰
본론
1. 일반적 사항 및 입원시 정보
2. 투약력
3. 과거건강력
4. 신경학적인 검사
5. 일반적 검사 결과
6.사용기구/삽입튜브
7. Medication
8.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결론
본문내용
②73세의 환자임
③당뇨의 진단을 가지고 있음.
④재원일 4일째임
⑤현재 NPO1중.
⑥M/S :9/29~10/1 (C)
간호계획/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하여 욕창발생을 방지한다.
욕창은 장기 부동을 유지하였을 때
압력에 의해 생기므로 자세가 한쪽
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한다.
2시간마다 반대쪽으로 체위변경을 해줌으로써 피부손상을 최소화 하였다.
등마사지를 자주 해줌으로서 등의 압박을 최소화 해준다.
등마사지를 통하여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하여 욕창을 방지한다.
현재 욕창발생이 업고 피부가 건조하지 않다.
시트에 주름이 가지 않도록
펴드린다.
침상에서 움직일때 끌리는 힘에 의해서 생길 수 있으므로 주름이 가지 않도록 관찰한다.
체위변경시 또는 시트를 갈 때 주름이 가지 않도록 했다.
대상자 주변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주의한다.
습기로 인해 욕창이 심해질 수 있다.
환자 주변 침상에습기가 없고 건조하다.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자주 관찰한다.
지속적인 관찰과 모니터링으로 대상자의 문제를 더욱 빠르게 알아차릴 수 있다.
지속적인 관찰 결과 욕창 발생이 없다.
#2. 질환과 관련된 조직관류 장애
간호목표 : 환자는 조직관류장애가 없고 lab상의 정상수치를 유지한다.
주관적 자료 : 無
객관적 자료 :
1)환자의 진단명 CRF
2)CRRT(9/29~10/1)
3)I/O 1220/132(10/2일)
nagative 소견보임
4) O2 2L N-P apply
K
정상수치
6.85
3.5~5.1
3.4
2.4
Albumin
정상수치
3.56
3.5~5.2
3.44
2.96
Creatinine
정상수치
6.85
0.6~1.2
1.22
2.08
5)전해질 불균형
간호계획/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환자의 혈액검사 결과를 확인하여 해서 전해질 불균형 여부를 파악한다..
혈액검사결과를 통해 전해질 여부를 알 수 있다.
검사결과를 확인 후abumin, Creatinine, K의 불균형함을
알 수 있었다.
환자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체크하고 파악한다.
환자의 I/O를 통해서 신장의 기능여부를 알 수 있다.
I/0가 1220/132로 섭취량이 많아 신장의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hourly urine을 check하여 소변양을 기록한다.
신장기능 저하시 urine양이 감소한다.
hourly 소변랑은 매시간별 3~5ml로 매우 적은 양으로 관찰 되었다.
환자를 집중적으로 관찰하면서CRRT Care를 한다.
CRRT Care를 통해 부작용이나 여러 발생 문제를 방지한다.
CRRT로 치료중이었며 발생한 문제 없이 Stop되었다.
환자의 V/S과 SPO2를 Close Observation한다.
Q2로 V/S을 체크하고 산소포화도를 집중 관찰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2시간마다 환자의 활력증후를 체크하였고 Spo2를 확인한 결과 환자에겐 큰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상기 이OO 환자는 만성신부전으로 인해서 ER경유하여 내과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로서 당뇨와 고혈압의 과거력이 있다. 입원 시부터 M/S이 C였으나 실습 마지막 날 상태가 B에서 A로 좋아져 환자가 의식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고 실습을 마칠 수 있었다. 환자는 ABR상태이므로 부동으로 인한 피부통합성 장애 발생 가능성을 진단으로 잡았고 또한 현재 질병과 관련된 조직관류 장애 양상이 보여 이 또한 진단으로 잡게 되었다.
짧은 실습기간이었지만 본 학생 간호사에게는 큰 깨달음과 초심으로 돌아가 기본간호를 다시 공부하고 실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던 실습이었다고 생각된다. 그동안 중환자실 실습을 잘 해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린다.
감사합니다.
③당뇨의 진단을 가지고 있음.
④재원일 4일째임
⑤현재 NPO1중.
⑥M/S :9/29~10/1 (C)
간호계획/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하여 욕창발생을 방지한다.
욕창은 장기 부동을 유지하였을 때
압력에 의해 생기므로 자세가 한쪽
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한다.
2시간마다 반대쪽으로 체위변경을 해줌으로써 피부손상을 최소화 하였다.
등마사지를 자주 해줌으로서 등의 압박을 최소화 해준다.
등마사지를 통하여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하여 욕창을 방지한다.
현재 욕창발생이 업고 피부가 건조하지 않다.
시트에 주름이 가지 않도록
펴드린다.
침상에서 움직일때 끌리는 힘에 의해서 생길 수 있으므로 주름이 가지 않도록 관찰한다.
체위변경시 또는 시트를 갈 때 주름이 가지 않도록 했다.
대상자 주변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주의한다.
습기로 인해 욕창이 심해질 수 있다.
환자 주변 침상에습기가 없고 건조하다.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자주 관찰한다.
지속적인 관찰과 모니터링으로 대상자의 문제를 더욱 빠르게 알아차릴 수 있다.
지속적인 관찰 결과 욕창 발생이 없다.
#2. 질환과 관련된 조직관류 장애
간호목표 : 환자는 조직관류장애가 없고 lab상의 정상수치를 유지한다.
주관적 자료 : 無
객관적 자료 :
1)환자의 진단명 CRF
2)CRRT(9/29~10/1)
3)I/O 1220/132(10/2일)
nagative 소견보임
4) O2 2L N-P apply
K
정상수치
6.85
3.5~5.1
3.4
2.4
Albumin
정상수치
3.56
3.5~5.2
3.44
2.96
Creatinine
정상수치
6.85
0.6~1.2
1.22
2.08
5)전해질 불균형
간호계획/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환자의 혈액검사 결과를 확인하여 해서 전해질 불균형 여부를 파악한다..
혈액검사결과를 통해 전해질 여부를 알 수 있다.
검사결과를 확인 후abumin, Creatinine, K의 불균형함을
알 수 있었다.
환자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체크하고 파악한다.
환자의 I/O를 통해서 신장의 기능여부를 알 수 있다.
I/0가 1220/132로 섭취량이 많아 신장의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hourly urine을 check하여 소변양을 기록한다.
신장기능 저하시 urine양이 감소한다.
hourly 소변랑은 매시간별 3~5ml로 매우 적은 양으로 관찰 되었다.
환자를 집중적으로 관찰하면서CRRT Care를 한다.
CRRT Care를 통해 부작용이나 여러 발생 문제를 방지한다.
CRRT로 치료중이었며 발생한 문제 없이 Stop되었다.
환자의 V/S과 SPO2를 Close Observation한다.
Q2로 V/S을 체크하고 산소포화도를 집중 관찰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2시간마다 환자의 활력증후를 체크하였고 Spo2를 확인한 결과 환자에겐 큰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상기 이OO 환자는 만성신부전으로 인해서 ER경유하여 내과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로서 당뇨와 고혈압의 과거력이 있다. 입원 시부터 M/S이 C였으나 실습 마지막 날 상태가 B에서 A로 좋아져 환자가 의식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고 실습을 마칠 수 있었다. 환자는 ABR상태이므로 부동으로 인한 피부통합성 장애 발생 가능성을 진단으로 잡았고 또한 현재 질병과 관련된 조직관류 장애 양상이 보여 이 또한 진단으로 잡게 되었다.
짧은 실습기간이었지만 본 학생 간호사에게는 큰 깨달음과 초심으로 돌아가 기본간호를 다시 공부하고 실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던 실습이었다고 생각된다. 그동안 중환자실 실습을 잘 해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린다.
감사합니다.
추천자료
CRF(만성 신부전)사례연구
만성 신부전 CRF 실습 간호 케이스스터디
신장과 만성 신부전증
만성 신부전 CRF 투석 신장이식
신부전 환자 케이스 레포트
만성 신부전 투석치료 동정맥루 복막 투석 간호과정 간호진단 신장
만성 신부전 요독증 만성신부전 운동 만성신부전 치료
만성 신부전 발표용 파워포인트 입니다
만성 신부전(CRF) 또는 말기 신질환(ESRD)
[논문] 만성 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케이스
급성신부전의 관리방법과 간호중재 및 환자교육에 대해서
[만성 신부전] case 4
[성인간호] 만성 신부전 Chronic Kidney Disease 병태생리+간호중재
만성 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