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남북한언어의 의미
Ⅲ. 남북한언어의 특징
Ⅳ. 남북한언어정책의 변화
Ⅴ. 남북한언어교육의 방법
Ⅵ. 남북언어의 이질화
Ⅶ. 남북한언어의 차이 비교
1. 발음의 차이
2. 이념과 제도에 의한 차이
3. 어휘 사정에 의한 차이
4. 국어 순화에 의한 차이
5. 의미 변화에 의한 차이
6. 형태는 같으면서 뜻이 달라져 오해의 위험성이 있다
7. 문장과 어법의 차이
8. 맞춤법의 차이
9. 표기의 대표적 차이점의 예
Ⅷ. 향후 남북한언어의 수용 방안
참고문헌
Ⅱ. 남북한언어의 의미
Ⅲ. 남북한언어의 특징
Ⅳ. 남북한언어정책의 변화
Ⅴ. 남북한언어교육의 방법
Ⅵ. 남북언어의 이질화
Ⅶ. 남북한언어의 차이 비교
1. 발음의 차이
2. 이념과 제도에 의한 차이
3. 어휘 사정에 의한 차이
4. 국어 순화에 의한 차이
5. 의미 변화에 의한 차이
6. 형태는 같으면서 뜻이 달라져 오해의 위험성이 있다
7. 문장과 어법의 차이
8. 맞춤법의 차이
9. 표기의 대표적 차이점의 예
Ⅷ. 향후 남북한언어의 수용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념과 제도에 의한 차이
정치 사회적인 이념과 제도가 달라 어휘의 차이가 나타난다. 정치나 사회 현상 반영한 말로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말이다.
북한-사회주의 이념이나 제도, 민족 통일 전선, 천리마 운동, 량권
남한-자본주의 이념이나 제도, 총선, 부가 가치세, 수능 시험
3. 어휘 사정에 의한 차이
표준어 내지 문화어의 사정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난다.
북한-가위주먹, 동가슴, 락자없다, 망돌, 피타다, 발편잠, 손오가리,
남한-가위바위보, 앙가슴, 영락없다, 맷돌, 피가 끓다,
표준어 사정의 원칙 - 계층적(교양 있는 사람들), 시대적(현대), 지역적 조건(서울말)
4. 국어 순화에 의한 차이
북한-순화어 사용 강제
내굴쏘임, 밥길, 불탈성, 젖먹임칸, 찬물미역, 푸른차, 혀이끼, 가락지빵, 나뉜옷, 내민대, 창문보
남한-순화어 사용 권장
훈연, 식도, 가연성, 수유실, 냉수욕 , 녹차, 설태, 도넛, 투피스, 발코니, 커튼
남북한은 다 같이 말다듬기를 하였다.
5. 의미 변화에 의한 차이
남북한의 어휘 사이에는 형태는 같으면서 뜻이 달라진 것이 많다.
정치성이 강한 말(사회주의)
중심 의미가 달라진 것도 있고, 주변 의미가 달라진 것도 있다.
6. 형태는 같으면서 뜻이 달라져 오해의 위험성이 있다
북 한(남 한)
동 무(혁명 대오에서 함께 싸우는 사람-벗, 친구)
궁 전(정치문화교양사업을 하는 크고 훌륭한 건물-임금이 사는 궁이나 전각)
평화주의(제국주의에 아부 굴종하며 무원칙한 평화를 주장하는 반동적인 사상이나 태도
평화를 최고의 이념으로 하는 입장이나 주장)
어버이(김일성을 가리킴-부모, 어머니와 아버지)
아가씨(봉건 사상을 나타내는 부정적인 뜻-처녀나 젊은 여자를 높이는 말)
자본가(노동자를 착취하는 타도의 대상,많은 자본을 가진 사람)
7. 문장과 어법의 차이
남북한의 문장 구조는 별로 차이가 없으나, 문체와 어법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보어와 서술어 되다의 호응과 예
북한(으로 + 되다)
~공동 념원으로 되고
~장점으로 되지요.
남한(이/가 + 되다)
~공동 염원이 되고
~장점이 되지요.
\'데 대하여\'의 호응과 \'나다\'의 호응
데 대하여
북한(관형사형+데 대하여)
나갈 데 대하여
남한(\'둔\'관형사형+데 대하여)
나가는 데 대하여
일부 형용사의 연결형
북한(형용사의 연결형+나다)
짜릿해 났다.끈끈해 나더니
남한(형용사의 연결형+지다)
짜릿해졌다. 끈끈해지더니
문체와 어법면 차이의 그 밖의 예
충심으로 되는 감사, 진심으로 되는 박수, 습관되어 있지 않다, 관심하는 사람들, 병사한 것으로 해서, 고향 생각을 하댔어요, 나올 생각이 없은 거구만요, 잊어버린지 오랬다. 의무가 아니나요
사동 접사를 활용한 조어: 나를 쉬우려고 (나를 쉬게 하려고)
젖을 먹여 자래운(젖을 먹여 자라게 한)
8. 맞춤법의 차이
맞춤법도 차이가 있다.
한글맞춤법 통일안(1933)
→남한(한글 맞춤법 통일안)맞춤법의 차이
→북한(조선어 철자법(1954))
말소리나 어휘에 비해 차이가 덜한 이유
한글맞춤법 통일안 바탕, 형태주의 지향
9. 표기의 대표적 차이점의 예
남 한, 북 한
맞춤법의 차이
사이 시옷 사용
이[치,이와의 합성어
사랑니, 머릿니\'
남한이 북한에 비해 더 많이 띄어 쓴다.
사이시옷 사용하지 않음
원음 표기
이[치/이]와의 합성어
사랑이, 머리이
띄어 쓰기 적음
Ⅷ. 향후 남북한언어의 수용 방안
통일 후 남북한 언어 수용 방안의 원칙에 대해 이성연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 다.
북한에서의 문화어 다듬기와 어휘정리 및 단어 만들기 사업은 어휘 변화를 가져왔고, 남북한 이질화의 원인도 되었다. 그러나 고유어를 말뿌리로 하는 단어 만들기 사업은 언어의 표준화(standardization)와 국어 순화(purification)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행과정에서 부정적인 면과 긍정적인 면이 드러났다. 이 두 면이 통일 후, 북한어 수용 문제가 대두될 때 취해야 할 점과 피해야 할 점의 기준이 되는 것이다. 즉, 수용 방안의 근거가 된다고 하겠다. 북한은 정치성과 사상성이 강한 주체 언어이론을 내세우고 있다. 당과 수령이 강력한 힘을 가지고 언어정책을 총괄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민대중을 하나의 전일적인 사상과 주체적인 언어체계로 결속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겠으나, 단점도 무시할 수 없다. 북한의 주체 언어정책은 정서적, 문화적 측면보다는 공산주의 혁명과업 완수를 위한 목적의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어휘 생성과 조어(조어)과정에서 다분히 의도적이며, 정치적 수단으로서의 가치가 농후하다. 북한에서 언어는 혁명을 위한 도구이자 수단이기 때문에 언중(언중)들의 언어 의식이나 흐름은 하찮은 것이 되고 만다. 따라서 북한이 강력한 인민 장악력과 주체사상의 조기 교육, 당과 수령의 우상화가 없었다면 인민대중들의 외면을 받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분단 반세기동안 남북에서 생성된 말들이 통일이 되면 통일국어로 수용될 것인가의 여부는 오로지 언중(언중)들에게 달려있다. 북한에서 다듬어진 말들을 국어 순화 차원에서 통일언중(통일언중)들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면 그대로 통일국어로 정착될 것이고, 의도적이고, 목적의식적인 색채가 강하여 부정적으로 취급된다면 언중(언중)들의 자정(자정)능력 및 언어 흐름에 의하여 자연히 거부될 것이다. 남한의 언어도 마찬가지다. 외래어의 무비판적 수용이 우리말을 오염시켰다고 생각하면, 언중(언중)들의 자정(자정)능력에 의하여 외면 당할 것이고, 정서적, 문화적 언어들은 통일국어로 수용될 것이다. 통일시대 언어의 수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남북한 어휘들은 직접 언어를 사용하게 될 통일언중(통일언중)들의 자정(자정) 능력과 시대적 언어 흐름에 의하여 그 수용 여부가 결정된다는 사실이다.
참고문헌
ⅰ. 김응모최호철(1999), 통일 대비 남북한어 이해, 세종출판사
ⅱ. 김희진 외(1997), 남북한 언어 연구, 박이정
ⅲ. 북한언어 연구회(1989), 북한의 어학 혁명, 백의
ⅳ. 전영선(2005), 역락 북한의 사회와 문화
ⅴ. 조오현 외(2002), 남북한 언어의 이해, 도서출판 역락
정치 사회적인 이념과 제도가 달라 어휘의 차이가 나타난다. 정치나 사회 현상 반영한 말로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말이다.
북한-사회주의 이념이나 제도, 민족 통일 전선, 천리마 운동, 량권
남한-자본주의 이념이나 제도, 총선, 부가 가치세, 수능 시험
3. 어휘 사정에 의한 차이
표준어 내지 문화어의 사정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난다.
북한-가위주먹, 동가슴, 락자없다, 망돌, 피타다, 발편잠, 손오가리,
남한-가위바위보, 앙가슴, 영락없다, 맷돌, 피가 끓다,
표준어 사정의 원칙 - 계층적(교양 있는 사람들), 시대적(현대), 지역적 조건(서울말)
4. 국어 순화에 의한 차이
북한-순화어 사용 강제
내굴쏘임, 밥길, 불탈성, 젖먹임칸, 찬물미역, 푸른차, 혀이끼, 가락지빵, 나뉜옷, 내민대, 창문보
남한-순화어 사용 권장
훈연, 식도, 가연성, 수유실, 냉수욕 , 녹차, 설태, 도넛, 투피스, 발코니, 커튼
남북한은 다 같이 말다듬기를 하였다.
5. 의미 변화에 의한 차이
남북한의 어휘 사이에는 형태는 같으면서 뜻이 달라진 것이 많다.
정치성이 강한 말(사회주의)
중심 의미가 달라진 것도 있고, 주변 의미가 달라진 것도 있다.
6. 형태는 같으면서 뜻이 달라져 오해의 위험성이 있다
북 한(남 한)
동 무(혁명 대오에서 함께 싸우는 사람-벗, 친구)
궁 전(정치문화교양사업을 하는 크고 훌륭한 건물-임금이 사는 궁이나 전각)
평화주의(제국주의에 아부 굴종하며 무원칙한 평화를 주장하는 반동적인 사상이나 태도
평화를 최고의 이념으로 하는 입장이나 주장)
어버이(김일성을 가리킴-부모, 어머니와 아버지)
아가씨(봉건 사상을 나타내는 부정적인 뜻-처녀나 젊은 여자를 높이는 말)
자본가(노동자를 착취하는 타도의 대상,많은 자본을 가진 사람)
7. 문장과 어법의 차이
남북한의 문장 구조는 별로 차이가 없으나, 문체와 어법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보어와 서술어 되다의 호응과 예
북한(으로 + 되다)
~공동 념원으로 되고
~장점으로 되지요.
남한(이/가 + 되다)
~공동 염원이 되고
~장점이 되지요.
\'데 대하여\'의 호응과 \'나다\'의 호응
데 대하여
북한(관형사형+데 대하여)
나갈 데 대하여
남한(\'둔\'관형사형+데 대하여)
나가는 데 대하여
일부 형용사의 연결형
북한(형용사의 연결형+나다)
짜릿해 났다.끈끈해 나더니
남한(형용사의 연결형+지다)
짜릿해졌다. 끈끈해지더니
문체와 어법면 차이의 그 밖의 예
충심으로 되는 감사, 진심으로 되는 박수, 습관되어 있지 않다, 관심하는 사람들, 병사한 것으로 해서, 고향 생각을 하댔어요, 나올 생각이 없은 거구만요, 잊어버린지 오랬다. 의무가 아니나요
사동 접사를 활용한 조어: 나를 쉬우려고 (나를 쉬게 하려고)
젖을 먹여 자래운(젖을 먹여 자라게 한)
8. 맞춤법의 차이
맞춤법도 차이가 있다.
한글맞춤법 통일안(1933)
→남한(한글 맞춤법 통일안)맞춤법의 차이
→북한(조선어 철자법(1954))
말소리나 어휘에 비해 차이가 덜한 이유
한글맞춤법 통일안 바탕, 형태주의 지향
9. 표기의 대표적 차이점의 예
남 한, 북 한
맞춤법의 차이
사이 시옷 사용
이[치,이와의 합성어
사랑니, 머릿니\'
남한이 북한에 비해 더 많이 띄어 쓴다.
사이시옷 사용하지 않음
원음 표기
이[치/이]와의 합성어
사랑이, 머리이
띄어 쓰기 적음
Ⅷ. 향후 남북한언어의 수용 방안
통일 후 남북한 언어 수용 방안의 원칙에 대해 이성연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 다.
북한에서의 문화어 다듬기와 어휘정리 및 단어 만들기 사업은 어휘 변화를 가져왔고, 남북한 이질화의 원인도 되었다. 그러나 고유어를 말뿌리로 하는 단어 만들기 사업은 언어의 표준화(standardization)와 국어 순화(purification)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행과정에서 부정적인 면과 긍정적인 면이 드러났다. 이 두 면이 통일 후, 북한어 수용 문제가 대두될 때 취해야 할 점과 피해야 할 점의 기준이 되는 것이다. 즉, 수용 방안의 근거가 된다고 하겠다. 북한은 정치성과 사상성이 강한 주체 언어이론을 내세우고 있다. 당과 수령이 강력한 힘을 가지고 언어정책을 총괄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민대중을 하나의 전일적인 사상과 주체적인 언어체계로 결속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겠으나, 단점도 무시할 수 없다. 북한의 주체 언어정책은 정서적, 문화적 측면보다는 공산주의 혁명과업 완수를 위한 목적의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어휘 생성과 조어(조어)과정에서 다분히 의도적이며, 정치적 수단으로서의 가치가 농후하다. 북한에서 언어는 혁명을 위한 도구이자 수단이기 때문에 언중(언중)들의 언어 의식이나 흐름은 하찮은 것이 되고 만다. 따라서 북한이 강력한 인민 장악력과 주체사상의 조기 교육, 당과 수령의 우상화가 없었다면 인민대중들의 외면을 받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분단 반세기동안 남북에서 생성된 말들이 통일이 되면 통일국어로 수용될 것인가의 여부는 오로지 언중(언중)들에게 달려있다. 북한에서 다듬어진 말들을 국어 순화 차원에서 통일언중(통일언중)들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면 그대로 통일국어로 정착될 것이고, 의도적이고, 목적의식적인 색채가 강하여 부정적으로 취급된다면 언중(언중)들의 자정(자정)능력 및 언어 흐름에 의하여 자연히 거부될 것이다. 남한의 언어도 마찬가지다. 외래어의 무비판적 수용이 우리말을 오염시켰다고 생각하면, 언중(언중)들의 자정(자정)능력에 의하여 외면 당할 것이고, 정서적, 문화적 언어들은 통일국어로 수용될 것이다. 통일시대 언어의 수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남북한 어휘들은 직접 언어를 사용하게 될 통일언중(통일언중)들의 자정(자정) 능력과 시대적 언어 흐름에 의하여 그 수용 여부가 결정된다는 사실이다.
참고문헌
ⅰ. 김응모최호철(1999), 통일 대비 남북한어 이해, 세종출판사
ⅱ. 김희진 외(1997), 남북한 언어 연구, 박이정
ⅲ. 북한언어 연구회(1989), 북한의 어학 혁명, 백의
ⅳ. 전영선(2005), 역락 북한의 사회와 문화
ⅴ. 조오현 외(2002), 남북한 언어의 이해, 도서출판 역락
추천자료
남북한 이념차이에 의한 갈등과 해결방안
c언어에서 call-by-value와 call-by-address차이 비교 프로그램
[단군][단군릉][단군신화][역사인식]단군, 단군릉과 단군신화 및 남한과 북한의 역사인식 비...
[공익광고]공익광고의 이론과 현황, 문제점 및 향후 과제 분석(사례 중심)(공익광고 주제, 광...
북한의 한글맞춤법
[구약성서][구약성경][구약성서와 신약성서 비교]구약성서의 일고, 구약성서의 언어, 구약성...
[국어작문/미디어글쓰기A+]방송언어 및 한글맞춤법 오용사례와 개선방안
미국 초등학교의 언어교육과 미술교육 사례, 미국 초등학교의 원격교육과 인터넷활용교육 사...
열린교육의 의미, 열린교육의 성격, 열린교육의 전제, 열린교육과 개별화학습, 열린교육과 주...
[북한의 교육] 북한의 교육의 실태와 남북한의 교육 비교 분석 및 통일 이후의 교육 전망
[A+] 탈북자 자녀 교육문제 - 새터민이란, 탈북자 국내입국 현황, 탈북청소년의 정착과정, 남...
전쟁의 상처와 분단체제의 고착- 한국전쟁,학살의 개념,학살의 유형 및 전개,한국전쟁의 학살...
남북한 결제협력에 대한 추진방향 및 대안 {남북경제협력 가속화의 제약요인과 그 해결방안 &...
[분단국nation state의 통일과 남북한 관계] 분단국가들의 통일과 남북한(한반도)과의 유사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