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문제인식)..........................................................5
Ⅱ.방송 언어의 이론적 고찰.........................................6
2.1 방송 언어와 방송언어 오용의 개념.................................6
2.1.1 방송 언어의 개념
2.1.2 방송 언어 오용의 개념
2.2 방송 언어의 규범적 기준.................................................7
2.3 방송에서 나타나는 언어의 문제점...................................9
Ⅲ. 방송 언어에 나타난 오용 사례..............................10
3.1 음운의 문제.....................................................................11
3.1.1 모음
3.1.2 자음
3.2 어휘의 문제....................................................................17
3.2.1. 한자어
3.2.2 외래어, 외국어
3.2.3 고유어(금기어)
3.3 문장에 문제....................................................................21
3.3.1 문장 구성의 문제
3.2.2 문법의 문제
3.4 표기에 문제....................................................................25
3.4.1 표준어 규정에 어긋난 표기
3.4.2 한글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3.4.3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난 표기
Ⅳ 결론 (전체적 요약과 개선방안)..............................28
Ⅱ.방송 언어의 이론적 고찰.........................................6
2.1 방송 언어와 방송언어 오용의 개념.................................6
2.1.1 방송 언어의 개념
2.1.2 방송 언어 오용의 개념
2.2 방송 언어의 규범적 기준.................................................7
2.3 방송에서 나타나는 언어의 문제점...................................9
Ⅲ. 방송 언어에 나타난 오용 사례..............................10
3.1 음운의 문제.....................................................................11
3.1.1 모음
3.1.2 자음
3.2 어휘의 문제....................................................................17
3.2.1. 한자어
3.2.2 외래어, 외국어
3.2.3 고유어(금기어)
3.3 문장에 문제....................................................................21
3.3.1 문장 구성의 문제
3.2.2 문법의 문제
3.4 표기에 문제....................................................................25
3.4.1 표준어 규정에 어긋난 표기
3.4.2 한글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3.4.3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난 표기
Ⅳ 결론 (전체적 요약과 개선방안)..............................28
본문내용
등이다.
문법에서는 조사의 오용, 시제의 오용, 경어법의 오용 등이 있다.
표기에서는 한글 맞춤법에 어긋난 것, 표준어 규정에 어긋난 것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난 것 등이 있다.
방송 프로그램 유형에서 살펴보면 연예, 오락 프로그램에서는 잘못된 방송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잘못된 발음, 방언사용, 금기어 사용, 외국어 남용 들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드라마에서는 극적 효과와 현실감을 고려하여 방언과 비속어 tk용이 어느 정도 사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뉴스 프로그램에서는 외래어, 한자어의 남용, 보도 기자들의 비표준어 억양, 잘못된 발음 들이 있고, 방송의 시간과 양적인 제약으로 인해 말을 줄이려는 경향에서 비롯된 합성어의 남용, 이해하기 어려운 자막 표기 등이 있다.
대담, 토론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오용사례는 비전문적인 고정 진행자의 증가에서 비롯된 사투리, 반말, 비속어, 유행어, 외래어 등을 자주 사용하는 것이다.
3.1 음운의 문제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는 표준어 사정 원칙에 따라서 표준 발음을 써야하는 방송 언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의 발음’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방송에서는 발음의 오류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음운의 문제는 자음과 모음의 문제로 나눌 수 있다.
모음의 문제는 다시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다.
/아/와 /애/의 혼동 /어/와 /아/의 혼동 /어/와 /으/의 혼동
/오/와 /으/의 혼동 ‘l\'모음 역행 동화
자음의 문제는 된소리화가 대표적이다. 표준어 규정의 표준 발음 법 제6장 된소리되기 제23항에서는 “받침 ‘ㄱ, ㄷ, ㅂ’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고 규정 한다. 제24항, 제25항, 제26항, 제27항, 제28항에서도 된소리되기에 관한 규정이 있다.
3.1.1 모음
3.1.1.1 /ㅏ/ 와 /ㅐ/ 음의 혼동
후설 개모음 /ㅏ/를 전설 개모음 /ㅐ/로 발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 /ㅏ/를 /ㅐ/로 잘못 사용한 경우
* 홍경민 씨가 오길 바랬어요? → 홍경민 씨가 오길 바랐어요? (KBS 슈퍼 TV 일요일은 즐거워. 2003.6.15)
* 남들에게 칭찬받는 연예인이 되는 바램이에요. → 남들에게 칭찬받는 연예인이 되는 바람이에요. (KBS 연예가중계. 2003.12.6)
* 본인 스스로 놀랬던 문자는 어떤 게 있나요? → 본인도 놀랐던 문자는 어떤 게 있나요? (MBC 느낌표. 2003.6.21)
* 깜짝 놀랬어요! → 깜짝 놀랐어요! (MBC 느낌표. 2003.6.21)
* !가 온댄다! → !가 온단다! (MBC 느낌표. 2003.6.14)
* 무대 막을 이렇게 맨들어 주시구 → 무대 막을 이렇게 만들어 주시고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3.6.15)
* 열쇠 없으면 맨날 창 넘어 다녀요 → 열쇠 없으면 만날 창으로 넘어 다녀요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3.6.15)
* 내일 당장이래두 경영수업 시켜 → 내일 당장이라도 경영수업 시켜 (KBS 백만송이 장미. 2003.10.6)
* 외계인 같애요 → 외계인 같아요 (KBS 백만송이 장미. 2003.10.7)
* 이러다 우리 집 정말 엉망진창 될 거 같애 → 이러다 우리 집 정말 엉망진창 될거 같아(KBS 백만송이 장미. 2003.12.3)
* 119가 와서 잡아가는 거 같애요 → 119가 와서 잡아가는 거 같아요 (KBS 자유선언 토요 대작전. 2003.6.14)
* 이사 사위 봤다 그러면 병원 채려주고 → 의사 사위 봤다 그러면 병원 차려주고 (SBS 흥부네 박터졌네. 2003.10.31)
◎ /ㅐ/를 /ㅏ/로 잘못 사용한 경우
* 탈란트 겸 영화배우 → 탤런트 겸 영화배우 (SBS 한밤의 TV 연예. 2003.6.12)
3.1.1.2 /ㅓ/와 /ㅏ/ 음의 혼동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 (양성모음) 일 때에는 어미를 /-아/로 적고, 그 밖의 모음일 (음성 모음) 때에는 /-어/로 적는다.
◎ /ㅓ/모음을 /ㅏ/모음으로 잘못 사용한 경우
* 쌍까풀 수술한 줄 알아요 → 쌍꺼풀 수술한 줄 알아요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3.6.15)
* 롤라스케이트장 → 롤러스케이트장 (SBS 야심만만 만명에게 물었습니다. 2003.9.21)
* 살깝데기를 벗기고 앉았나보다 → 살껍데기를 벗기고 앉았나보다 (KBS 백만송이 장미. 2003.10.8)
◎ /ㅏ/모음을 /ㅓ/모음으로 잘못 사용한 경우
* 바쁘다 바뻐 → 바쁘다 바빠 (KBS VJ특공대. 2003.10.31)
* 나 바뻐 지금 → 나 바빠 지금 (SBS 흥부네 박터졌네. 2003.10.31)
* 나이가 맞어요 → 나이가 맞아요 (KBS 자유 선언 토요 대작전. 2003.6.14)
* 내가 너를 포기할 줄 알어? → 내가 너를 포기할 줄 알아? (KBS 백만송이 장미. 2003.12.3)
3.1.1.3 /ㅓ/와 /ㅡ/ 음의 혼동
후설 반개모음 /ㅓ/가 폐몽듬 /ㅡ/로 이동하는 고모음화 현상이 나타난다.
* 괜히 승질 건드려서 → 괜히 성질 건드려서 (MBC 귀여운 여인. 2003.11.11)
* 갑자기 승질을 확 내면서 → 갑자기 성질을 확 내면서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3.6.12)
* 잘하드라구요 → 잘하더라고요 (SBS 한밤의 TV 연예. 2003.6.12)
* 문제는 안 풀고 그냥 웃다가 왔다고 그러드라구요 → 문제는 안 풀고 그냥 웃가 왔다고 그러더라고요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3.6.15)
* 너 증말 그럴래? → 너 정말 그럴래? (MBC 귀여운 여인. 2003.11.10)
* 증말이야 → 정말이야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3.6.1)
* 잠든 느희들 두고 도망친 적도 있었어 →잠든 너희들 두고 도망친 적도 있었어 (KBS 백만송이 장미. 2003.10.8)
* 나이 든 동생 까지 은제까지 끼고 있을거야? → 나이 든 동생까지 언제까지 끼고 있을거야? (KBS 백만송이 장미. 2003.10.8)
* 세상 으딜 가도 → 세상 어딜 가도 (SBS 야심만만 만명에게 물었습니다. 2004.3.15)
* 배는
문법에서는 조사의 오용, 시제의 오용, 경어법의 오용 등이 있다.
표기에서는 한글 맞춤법에 어긋난 것, 표준어 규정에 어긋난 것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난 것 등이 있다.
방송 프로그램 유형에서 살펴보면 연예, 오락 프로그램에서는 잘못된 방송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잘못된 발음, 방언사용, 금기어 사용, 외국어 남용 들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드라마에서는 극적 효과와 현실감을 고려하여 방언과 비속어 tk용이 어느 정도 사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뉴스 프로그램에서는 외래어, 한자어의 남용, 보도 기자들의 비표준어 억양, 잘못된 발음 들이 있고, 방송의 시간과 양적인 제약으로 인해 말을 줄이려는 경향에서 비롯된 합성어의 남용, 이해하기 어려운 자막 표기 등이 있다.
대담, 토론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오용사례는 비전문적인 고정 진행자의 증가에서 비롯된 사투리, 반말, 비속어, 유행어, 외래어 등을 자주 사용하는 것이다.
3.1 음운의 문제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는 표준어 사정 원칙에 따라서 표준 발음을 써야하는 방송 언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의 발음’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방송에서는 발음의 오류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음운의 문제는 자음과 모음의 문제로 나눌 수 있다.
모음의 문제는 다시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다.
/아/와 /애/의 혼동 /어/와 /아/의 혼동 /어/와 /으/의 혼동
/오/와 /으/의 혼동 ‘l\'모음 역행 동화
자음의 문제는 된소리화가 대표적이다. 표준어 규정의 표준 발음 법 제6장 된소리되기 제23항에서는 “받침 ‘ㄱ, ㄷ, ㅂ’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고 규정 한다. 제24항, 제25항, 제26항, 제27항, 제28항에서도 된소리되기에 관한 규정이 있다.
3.1.1 모음
3.1.1.1 /ㅏ/ 와 /ㅐ/ 음의 혼동
후설 개모음 /ㅏ/를 전설 개모음 /ㅐ/로 발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 /ㅏ/를 /ㅐ/로 잘못 사용한 경우
* 홍경민 씨가 오길 바랬어요? → 홍경민 씨가 오길 바랐어요? (KBS 슈퍼 TV 일요일은 즐거워. 2003.6.15)
* 남들에게 칭찬받는 연예인이 되는 바램이에요. → 남들에게 칭찬받는 연예인이 되는 바람이에요. (KBS 연예가중계. 2003.12.6)
* 본인 스스로 놀랬던 문자는 어떤 게 있나요? → 본인도 놀랐던 문자는 어떤 게 있나요? (MBC 느낌표. 2003.6.21)
* 깜짝 놀랬어요! → 깜짝 놀랐어요! (MBC 느낌표. 2003.6.21)
* !가 온댄다! → !가 온단다! (MBC 느낌표. 2003.6.14)
* 무대 막을 이렇게 맨들어 주시구 → 무대 막을 이렇게 만들어 주시고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3.6.15)
* 열쇠 없으면 맨날 창 넘어 다녀요 → 열쇠 없으면 만날 창으로 넘어 다녀요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3.6.15)
* 내일 당장이래두 경영수업 시켜 → 내일 당장이라도 경영수업 시켜 (KBS 백만송이 장미. 2003.10.6)
* 외계인 같애요 → 외계인 같아요 (KBS 백만송이 장미. 2003.10.7)
* 이러다 우리 집 정말 엉망진창 될 거 같애 → 이러다 우리 집 정말 엉망진창 될거 같아(KBS 백만송이 장미. 2003.12.3)
* 119가 와서 잡아가는 거 같애요 → 119가 와서 잡아가는 거 같아요 (KBS 자유선언 토요 대작전. 2003.6.14)
* 이사 사위 봤다 그러면 병원 채려주고 → 의사 사위 봤다 그러면 병원 차려주고 (SBS 흥부네 박터졌네. 2003.10.31)
◎ /ㅐ/를 /ㅏ/로 잘못 사용한 경우
* 탈란트 겸 영화배우 → 탤런트 겸 영화배우 (SBS 한밤의 TV 연예. 2003.6.12)
3.1.1.2 /ㅓ/와 /ㅏ/ 음의 혼동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 (양성모음) 일 때에는 어미를 /-아/로 적고, 그 밖의 모음일 (음성 모음) 때에는 /-어/로 적는다.
◎ /ㅓ/모음을 /ㅏ/모음으로 잘못 사용한 경우
* 쌍까풀 수술한 줄 알아요 → 쌍꺼풀 수술한 줄 알아요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3.6.15)
* 롤라스케이트장 → 롤러스케이트장 (SBS 야심만만 만명에게 물었습니다. 2003.9.21)
* 살깝데기를 벗기고 앉았나보다 → 살껍데기를 벗기고 앉았나보다 (KBS 백만송이 장미. 2003.10.8)
◎ /ㅏ/모음을 /ㅓ/모음으로 잘못 사용한 경우
* 바쁘다 바뻐 → 바쁘다 바빠 (KBS VJ특공대. 2003.10.31)
* 나 바뻐 지금 → 나 바빠 지금 (SBS 흥부네 박터졌네. 2003.10.31)
* 나이가 맞어요 → 나이가 맞아요 (KBS 자유 선언 토요 대작전. 2003.6.14)
* 내가 너를 포기할 줄 알어? → 내가 너를 포기할 줄 알아? (KBS 백만송이 장미. 2003.12.3)
3.1.1.3 /ㅓ/와 /ㅡ/ 음의 혼동
후설 반개모음 /ㅓ/가 폐몽듬 /ㅡ/로 이동하는 고모음화 현상이 나타난다.
* 괜히 승질 건드려서 → 괜히 성질 건드려서 (MBC 귀여운 여인. 2003.11.11)
* 갑자기 승질을 확 내면서 → 갑자기 성질을 확 내면서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3.6.12)
* 잘하드라구요 → 잘하더라고요 (SBS 한밤의 TV 연예. 2003.6.12)
* 문제는 안 풀고 그냥 웃다가 왔다고 그러드라구요 → 문제는 안 풀고 그냥 웃가 왔다고 그러더라고요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3.6.15)
* 너 증말 그럴래? → 너 정말 그럴래? (MBC 귀여운 여인. 2003.11.10)
* 증말이야 → 정말이야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3.6.1)
* 잠든 느희들 두고 도망친 적도 있었어 →잠든 너희들 두고 도망친 적도 있었어 (KBS 백만송이 장미. 2003.10.8)
* 나이 든 동생 까지 은제까지 끼고 있을거야? → 나이 든 동생까지 언제까지 끼고 있을거야? (KBS 백만송이 장미. 2003.10.8)
* 세상 으딜 가도 → 세상 어딜 가도 (SBS 야심만만 만명에게 물었습니다. 2004.3.15)
* 배는
추천자료
국어상.고등국어.학습지도안(8.언어와 세계)
국어하.고등국어.학습지도안(3.함께 하는 언어 생활)
국어하.고등국어.학습지도안(5.감동을 주는 언어)
3. 국어의 언어적 특징과 음운 (중 생활국어 : 2학년 1학기)
[국어 교육론] 언어지도의 위상과 국어지식영역의 목표와 내용
학습부진아의 정의, 학습부진아의 요인 및 읽기의 정의와 읽기의 발달, 읽기부진의 요인과 지...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정의와 역사, 우리말순화(국어순화) 중요성, 우리말순화(국어순화) ...
[국어] 문법과 언어 (한국어문법1) - 문법, 언어의 특징
[국어 종결어미][서술어미][명사어미][의문어미]국어 종결어미와 서술어미, 국어 종결어미와 ...
국어국문학과-언어학연구의 역사적 논의와 언어의 힘 A+
[국문학개론] - 전환기의 국어 문제에 관한 사례 연구 - 프랑스와 불가리아의 언어정책과 국...
언어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질, 즉 언어 보편소를 제시하고 국어와 언어의 관계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자신이 생각하기 '언어란 무엇인가' 서술
[국어과 수업안](국어의 언어적 특징과 음운 학습지도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