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단지 안에 접종한 평판배지를 넣어 뚜껑을 닫은 후 밀폐하여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편성혐기성 조건으로 만들어 주기 위해 이산화탄소 가스와 수소 가스를 넣어주면 내부가 혐기성 상태가 된다.
먼저 obligatory aerobe인
P. aeruginosa만 colony가 생기지 않았다. 나머지 균주들인 E. coli, P. acnes, 들은 colony가 모두 생성되었다. 그런데 Peptococcus는 균이 아주 조금 자랐다. 이게 제일 잘 자라야 하는데, 한쪽 귀퉁이에 자란것으로보아, 백금이로 균 도말 할 때, 백금이에 잘 묻지 않은 것 같다. 그리고 supplemented BAP에서는 facultative anaerobe와 aero-tolerant anaerobe가 BAP에서보다 훨씬 많은 량 자랐다. 이는 아마도 supplemented BAP에 들어있는 영양소들이 anaerobic 조건에서 facultative anaerobe와 obligatory anaerobe, aero-tolerant anaerobe 모두 좀 더 잘 자랄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해줘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8). Optochin & Bacitracin 검사
Optochin에 대한 감수성이 있는 균은 15~30mm의 억제대를 나타내지만 기타 사슬알균은 원판에 억제대가 나타나지 않는다. 비슷한 원리로 Bacitracin에 대한 감수성이 있는 세균은 14mm이상 저지대를 나타내고 감수성이 없는 균은 저지대가 나타나지 않는다.
Optochin test
Bacitracin test
Resistant
<6mm
Resistant
<6mm
Intermediate
7~13mm
Intermediate
7~13mm
Sensitive
>14mm
Sensitive
>14mm
이 실험은 S. pyogenes은 Bacitracin에 대해 감수성이 있어서 14mm이상의 저지대를 나타내며 S. pneumoniae는 Optochin에 대한 감수성이 있어 15~30mm의 억제대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는 실험이다. 다음은 이 두 test에 대한 standard 값을 나타낸 표이다.
왼쪽 plate는 optochin test로 S. pneumoniae, S. gordonii에 대한 실험결과이다 오른쪽 plate는 Bacitracin test로 S. pyogenes, S.equi 에 대한 실험결과이다.
왼쪽 plate를 보면 S. pneumoniae,만이 optochin에 감수성이 있어야 하는데, 두 균 모두 감수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둘다 3mm정도의 저지대를 나타내며 감수성을 보였다. 아마도 균이 오염되어 섞여, S.gordonii가 S.pneumoniae에 내성 유전자를 전달한 것 같다.)
오른쪽 plate를 보면 bacitracin이 beta hemolysis를 일으키는 두 균 중에 S.pyogenes에게만 증식억제대를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억제대는 12mm 였다. 즉 14mm 이상 나와야 제대로 된 결과인데 미치지 못하였다. 여기도 왼쪽의 것보다는 덜하지만 균이 오염된 것 같다. 이 실험에서 치명적 실수는 균을 바를 때, 너무 중간까지 다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중간까지 다 균을 도말하다 보니, 균들이 서로 섞여 버려서 실험결과가 잘 나오지 않은 것 같다. 그래서 대부분의 학생들에서 optochin test 결과가 제대로 나오지 않아서 아래 그림과 같이 조교 선생님께서 추가 실험을 진행 하도록 하였다.
보다싶이 optochin test에서 alpha hemolysis를 일으키는 균중에 S. pneumoniae에게만 중식 저지대를 만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저지대는 12 mm 정도 였다. 모양을 예쁘게 나왔는데 이것도 어딘가에 균이 오염되어서 내성 유전자가 전달 된 것들이 일 부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9). Corynebacterium
(1) Blood agar plate 와 Chocolate potassium tellurite(K2TeO3) agar plate
Corynebacterium의 특징은 그람양성 막대균으로 형태가 다양하며 주로 피부에 서식한다. 그 중 Corynebacterium diphtheriae는 디프테리아의 원인균으로 강력한 외독소를 분비한다. Corynebacterium을 배양하는 배지로 blood agar plate(BAP), chocolate potassium tellurite(K2TeO3) agar plate, Loeffler\'s를 사용한다. 이 때 chocolate potassium tellurite agar plate는 Corynebacterium을 제외한 대부분의 upper respiratory flora 및 그람 음성균을 억제하여 Corynebacterium선별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또한 C. diphtheria의 tellurite reuctase activity를 확인할 수 있는데 tellurite와 반응하면 tellurite가 metallic tellurium으로 변하여 metallic black colony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두 배지 모두에서 colony가 잘 생겼다. 둘의 차이는 색이었는데 BAP(왼쪽)에서는 약간 흰 빛의 colony를 형성였고 Potassium tellulite AP에서는 검은빛을 띠는 colony(오른쪽)를 형성하였다. 이는 tellurite reductase activity에 의해 metallic black colony를 형성한다는 사실에 일치하는 결과이다.
(2) Gram 염색 및 이염과립염색
사진에서 위 두 개가 각각 BAP배지이고 왼쪽이 gram staining, 오른쪽이 이염과립 염색이다. 그리고 아래 두 개가 각각 tellurite배지이고, 왼쪽이 gram 염색, 오른쪽이 이염과립염색이다.
Gram staining결과 그람양성 간균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곤봉모양이다. 이염과립염색을 하면 이염소체(metachromatic granular Babes Ernst body)가 원형질보다 짙게 염색이 된다. 크기는 1~6μm정도라고 알려져 있으며, 운동성이 없고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전형
먼저 obligatory aerobe인
P. aeruginosa만 colony가 생기지 않았다. 나머지 균주들인 E. coli, P. acnes, 들은 colony가 모두 생성되었다. 그런데 Peptococcus는 균이 아주 조금 자랐다. 이게 제일 잘 자라야 하는데, 한쪽 귀퉁이에 자란것으로보아, 백금이로 균 도말 할 때, 백금이에 잘 묻지 않은 것 같다. 그리고 supplemented BAP에서는 facultative anaerobe와 aero-tolerant anaerobe가 BAP에서보다 훨씬 많은 량 자랐다. 이는 아마도 supplemented BAP에 들어있는 영양소들이 anaerobic 조건에서 facultative anaerobe와 obligatory anaerobe, aero-tolerant anaerobe 모두 좀 더 잘 자랄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해줘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8). Optochin & Bacitracin 검사
Optochin에 대한 감수성이 있는 균은 15~30mm의 억제대를 나타내지만 기타 사슬알균은 원판에 억제대가 나타나지 않는다. 비슷한 원리로 Bacitracin에 대한 감수성이 있는 세균은 14mm이상 저지대를 나타내고 감수성이 없는 균은 저지대가 나타나지 않는다.
Optochin test
Bacitracin test
Resistant
<6mm
Resistant
<6mm
Intermediate
7~13mm
Intermediate
7~13mm
Sensitive
>14mm
Sensitive
>14mm
이 실험은 S. pyogenes은 Bacitracin에 대해 감수성이 있어서 14mm이상의 저지대를 나타내며 S. pneumoniae는 Optochin에 대한 감수성이 있어 15~30mm의 억제대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는 실험이다. 다음은 이 두 test에 대한 standard 값을 나타낸 표이다.
왼쪽 plate는 optochin test로 S. pneumoniae, S. gordonii에 대한 실험결과이다 오른쪽 plate는 Bacitracin test로 S. pyogenes, S.equi 에 대한 실험결과이다.
왼쪽 plate를 보면 S. pneumoniae,만이 optochin에 감수성이 있어야 하는데, 두 균 모두 감수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둘다 3mm정도의 저지대를 나타내며 감수성을 보였다. 아마도 균이 오염되어 섞여, S.gordonii가 S.pneumoniae에 내성 유전자를 전달한 것 같다.)
오른쪽 plate를 보면 bacitracin이 beta hemolysis를 일으키는 두 균 중에 S.pyogenes에게만 증식억제대를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억제대는 12mm 였다. 즉 14mm 이상 나와야 제대로 된 결과인데 미치지 못하였다. 여기도 왼쪽의 것보다는 덜하지만 균이 오염된 것 같다. 이 실험에서 치명적 실수는 균을 바를 때, 너무 중간까지 다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중간까지 다 균을 도말하다 보니, 균들이 서로 섞여 버려서 실험결과가 잘 나오지 않은 것 같다. 그래서 대부분의 학생들에서 optochin test 결과가 제대로 나오지 않아서 아래 그림과 같이 조교 선생님께서 추가 실험을 진행 하도록 하였다.
보다싶이 optochin test에서 alpha hemolysis를 일으키는 균중에 S. pneumoniae에게만 중식 저지대를 만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저지대는 12 mm 정도 였다. 모양을 예쁘게 나왔는데 이것도 어딘가에 균이 오염되어서 내성 유전자가 전달 된 것들이 일 부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9). Corynebacterium
(1) Blood agar plate 와 Chocolate potassium tellurite(K2TeO3) agar plate
Corynebacterium의 특징은 그람양성 막대균으로 형태가 다양하며 주로 피부에 서식한다. 그 중 Corynebacterium diphtheriae는 디프테리아의 원인균으로 강력한 외독소를 분비한다. Corynebacterium을 배양하는 배지로 blood agar plate(BAP), chocolate potassium tellurite(K2TeO3) agar plate, Loeffler\'s를 사용한다. 이 때 chocolate potassium tellurite agar plate는 Corynebacterium을 제외한 대부분의 upper respiratory flora 및 그람 음성균을 억제하여 Corynebacterium선별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또한 C. diphtheria의 tellurite reuctase activity를 확인할 수 있는데 tellurite와 반응하면 tellurite가 metallic tellurium으로 변하여 metallic black colony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두 배지 모두에서 colony가 잘 생겼다. 둘의 차이는 색이었는데 BAP(왼쪽)에서는 약간 흰 빛의 colony를 형성였고 Potassium tellulite AP에서는 검은빛을 띠는 colony(오른쪽)를 형성하였다. 이는 tellurite reductase activity에 의해 metallic black colony를 형성한다는 사실에 일치하는 결과이다.
(2) Gram 염색 및 이염과립염색
사진에서 위 두 개가 각각 BAP배지이고 왼쪽이 gram staining, 오른쪽이 이염과립 염색이다. 그리고 아래 두 개가 각각 tellurite배지이고, 왼쪽이 gram 염색, 오른쪽이 이염과립염색이다.
Gram staining결과 그람양성 간균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곤봉모양이다. 이염과립염색을 하면 이염소체(metachromatic granular Babes Ernst body)가 원형질보다 짙게 염색이 된다. 크기는 1~6μm정도라고 알려져 있으며, 운동성이 없고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전형
추천자료
유전(자) 실험 관련
유전학 과제 및 실험 레포트
동물실험 및 동물사육에 대한 이해와 윤리적 쟁점에 대한 분석, 해결방안
유전공학
Chromosomal DNA isolation of E.coli(대장균) Gene manipulation using PCR
[식품미생물] 식품미생물 핵심정리 노트
바이오세라믹스
[생물] 현미경을 이용한 미생물의 관찰 및 미생물 염색법 실험 보고서
Plasmid DNA preparation solution-Alkaline lysis method
병원미생물 - 신체 부위별 감염질환
[미생물 의약품 실험] 토양 속 미생물 채취 및 배양, Streaking을 이용한 부차배양 (Subculture)
[생물바이러스(바이러스)]생물바이러스(바이러스)의 의미, 생물바이러스(바이러스)의 역사, ...
2.순수배양 미생물의 기본형태
항생제 및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 조사 하고, 이를 관리 또는 대처하는 방법제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