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베네(Caffebene) 마케팅전략분석과 카페베네 문제점분석과 향후전략제안, 카페베네 하이브리드 마케팅전략 적용사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카페베네(Caffebene) 마케팅전략분석과 카페베네 문제점분석과 향후전략제안, 카페베네 하이브리드 마케팅전략 적용사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보고서 개요
 1.1 카페베네 브랜드소개
 1.2 카페베네 선정배경

2. 커피전문점 시장분석및 카페베네 4P,STP분석
 2.1 커피산업 분석
  1) 국내 커피산업
  2) 커피산업 특징
 2.2 커피산업 산업의존도
 2.3 커피시장 경기 민감도
 2.4 5 Forces Model
 2.5 카페베네 STP분석
  1) 세분화(segmentation)
  2) 표적화(Targeting)
  3) 포지셔닝(Positioning)
 2.6 마페베네 마케팅 4P 분석
  1) 제품(Product)
  2) 가격(Price)
  3) 유통(Place)
  4) 촉진(Promotion)

3. 카페베네 마케팅전략과 발전방향
 3.1 카페베네 마케팅 전략
  1) 공간의 차별화
  2) 카페베네 스타마케팅과 PPL 전략
  3) 카페베네 맞춤형 마케팅
 3.2 카페베네 현재 문제점
  1) 브랜드 경쟁력 부족
  2) 차별화 부족
 3.3 카페베네 향후전략 제안

4. 카페베네와 하이브리드 마케팅전략
 4.1 하이브리드 마케팅
 4.2 하이브리드 마케팅 적용 사례
 4.3 하이브리드 마케팅적용사례

5. 카페베네 하이브리드 마케팅전략 적용사례
 5.1 카페베네 적용
  1) 전자회사와의 하이브리드 마케팅
  2) 네일샵과의 하이브리드 마케팅
  3) 드러그스토어와의 하이브리드 마케팅
 5.2 카페베네 효과
  1) 고객 충성도 상승
  2) 새로운 수요창출
  3) 전환수요 창출
  4) 업종간의 Win-Win
  5) 매출상승

본문내용

드인 카페베네의 6.2배, 5.2배 수준이다. 가맹점의 성격 상 점주에 따른 서비스의 질이 차이가 나고 비용을 점주가 부담하기 때문에 새로운 마케팅 전략이나 인테리어의 도입이 어렵다는 것 또한 이러한 점포당 매출액의 차이에 일조하였음을 위의 자료에서 도출할 수 있다.
2) 차별화 부족
카페베네는 커피시장에서의 후발주자이다. 후발주자의 특성상 타 브랜드에 비해 차별화된 사업이 없다. 기존의 커피브랜드에서 판매하는 커피류와 차별성이 없다. 카페베네는 차별화된 인테리어나 편안한 공간으로 차별화를 두었다. 하지만 현재는 다른 브랜드도 휴식공간으로서의 카페로 변화하여 카페베네로서의 차별성은 약화되었다. 또한 카페베네에서 내세우는 와플 및 젤라또 등은 이미 파스쿠찌와 카페 띠아모, 빈스빈스 등의 기존의 브랜드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던 메뉴이다. 이렇게 카페베네는 시장에서의 급격한 성장세를 보였지만 타 브랜드와의 차별성은 소비자들에게 영향은 적다. 또, 커피시장은 성장세이기는 하지만 개인이 운영하는 로스터리 카페와 패스트푸드점과 베이커리 가게가 카페 이미지로 전향하고 있는 것을 보아 카페 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그럼으로 이런 치열한 경쟁의 커피시장에서 카페베네의 차별성 부족은 다른 브랜드에게 고객을 뺏길 수밖에 없는 치명적인 이유이며 게다가. 더욱 늘어가는 커피시장에서의 잠재적인 고객마저 확보할 수 없게 된다.
3.3 카페베네 향후전략 제안
앞의 SWOT 분석에서 카페베네는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점포 수를 크게 늘려놓은 점이 강점이며 점포 당 매출이 낮다는 것이 약점임을 파악하였다. 또한 후발주자이기에 지하철 입구에서 가까운 곳에 입지하지 못한 곳이 많아 접근성에도 다른 경쟁사에 비해 약점을 갖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때문에 역 입구에서 조금 멀더라도 고객들이 카페베네의 특정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목적성을 띈 발걸음을 유도하기 위해 우리는 쾌적하고 즐거운 공간임을 강조할 것이다. 커피전문점의 경우 일부로 의자를 불편하게 하여 고객이 나가도록 유도, 회전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우리는 고객이 편안함을 느끼고 즐길거리를 주어 회전율을 최대한 낮추는 역발상의 마케팅을 생각해 보았다. 새로운 고객을 창출하기보다 이미 입점해 있는 고객들에게 충분한 여유와 시간을 줌으로서 새로운 음료 및 다과 수요의 창출을 유도 한다는 것이다.
또한 브랜드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것 또한 카페베네가 발전하는 데 커다란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이것을 타파하기 위해선 카페베네가 경쟁사와는 차별화된 정체성을 갖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하이브리드 마케팅을 제시한다.
4. 카페베네와 하이브리드 마케팅전략
4.1 하이브리드 마케팅
이번 프로젝트의 마케팅 기법으로 이용한 하이브리드 마케팅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하이브리드 마케팅이란 종이 서로 다른 기업과 협력하여 전개하는 공동마케팅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종 업종의 기업과 협력하여 마케팅을 펼침으로써 브랜드 가치 제고 및 판촉 효과, 마케팅 비용절감 효과를 동시에 얻는 마케팅 기법이다. ‘하이브리드(hybrid)’란 두 가지 이상의 요소가 하나로 융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말이다. 업종이 다른 기업들의 제휴를 통해 전개되는 하이브리드 마케팅은 동일한 타깃 고객들을 함께 공략하는 만큼 마케팅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선한 결합으로 인해 소비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예를 들면 노트북이나 디지털카메라 업체의 전용백 또는 패키지를 유명 패션 브랜드와 제휴하여 만듦으로써 고객들의 감성과 구매욕을 자극하거나, 김치냉장고를 생산하는 업체가 김치공장 견학장에 자사의 제품을 전시하고 게임의 배경 속 한 장면에 업체의 매장 간판을 삽입하여 홍보하는 식이다. 자동차를 구매한 고객에 한해 특정 IT 기기를 할인가로 판매하는 예도 있다. 산업간의 융합이 이루어지는 시대를 맞아 기업의 생존을 위해 상호협력하고, 고객의 다변화된 니즈 변화를 수용하는 전략으로서 공동마케팅의 일종인 하이브리드 마케팅의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4.2 하이브리드 마케팅 적용 사례
하이브리드 마케팅은 SK 그룹이 주유소와 이동통신 등의 사용실적을 종합 관리하면서 OK Cashback 포인트제도를 운영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요즘 들어서는 정보통신 분야에서도 \'하이브리드 마케팅\' 바람이 한창 불고 있다. 소비자들의 최근 기호와 성향이, 가격이나 성능 못지 않게 브랜드와 디자인을 위시한 감성적인 측면을 중시하는 추세로 흐르자. 여러 업종에서는 브랜드 및 디자인 등에서 탁월한 기능을 지닌 타 업종 브랜드들과 제휴를 속속 맺고 있다. 다음은 이러한 사례들이다.
LG전자는 BMW코리아와 제휴해, 국내에서 시판되는 BMW 자동차 신모델에 ‘싸이언 VOD폰’(LG-SV520. KV5200)을 탑재하는 공동 마케팅을 벌임.
삼성전자는 최근 미국에서 패션잡지 보그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유명 디자이너 다이앤 본 포스텐버그가 직접 디자인한 패션 폰(SPH-A680)을 선보임.
삼성전자 노트북 사업부는 패션 브랜드 루이까또즈와 손잡고 초경량 노트북 ‘센스Q30’를 사면 루이까또즈가 디자인한 노트북 패션백인 \"노트백\"을 주는 행사 벌임.
모토로라코리아는 캐주얼 브랜드인 AMH와 제휴해 모토로라 \'M\'로고가 찍힌 T셔츠를 내놓고, 로고가 새겨진 플라스틱 케이스에 담아 판매함.
MP3플레이어 브랜드 \'아이리버\'로 유명한 레인콤은 바하와 손잡고 수출용 제품에 이 회사가 만든 가죽 케이스를 씀.
하이브리드 마케팅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소비자들의 기호를 제대로 읽어내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아울러, 급변하는 경영 환경에서 다른 업종간의 협업 마케팅을 통해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창의적 노력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4.3 하이브리드 마케팅적용사례
카페 두근두근 Tomorrow는 삼성 \"두근두근 Tomorrow\" 캠페인의 일환으로 운영된 오프라인 카페로서 업계에서 전례 없는 하이브리드 스페이스 마케팅으로 평가받고 있다. 두근두근 Tomorrow 카페는 삼성의 새로운 친환경 기술을 소개하고
  • 가격5,5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3.12.11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69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