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으로 제2차 갑오개혁을 추진하였으나, 왕실과 일본공사로부터 배척당하고 고종 폐위음모의 혐의를 받아 다시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1907년 비공식으로 귀국, 사면되었고 이완용(李浣用)내각의 궁내부대신이 되었지만, 정부대신의 암살 혐의를 받아 1년간 제주도에 유배되었다. 국권피탈 뒤 일본으로부터 후작(侯爵)의 작위를 받고 1911년 조선귀족회회장, 1918년 조선은행이사를 지냈다. 20년 동아일보사 초대사장에 취임하였으며, 중추원의장·일본귀족원 의원 등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는 <사화기략(使和記略)>이 있다.
Ⅲ. 결론
개화파는 1876년 개항을 계기로 민씨 정권이 중국의 양무개혁론을 모방, 체제유지의 차원에서 추진한 개화정책에 참여하면서 하나의 정치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이들은 ‘충의계’(忠義契)를 조직하여 동지를 규합하고 또한 개혁의 수단으로서 당시 서구문물에 관심을 표명하던 고종을 개명화시켜 평화적인 개혁을 추구하려 하였다.
특히 1880년과 1881년의 일본 수신사와 신사유람단 그리고 청의 개화문명을 배워오기 위한 영선사 등의 파견은 개화파가 세계정세의 흐름과 새로운 서구문명을 직접 확인하고 배우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개화사상은 부국강병을 위한 근대적인 국가와 사회의 건설을 지향하던 부르주아적 개혁사상이었고, 또한 당시 세계발전의 역사적 추이를 인식한 선진적인 사상이었다. 그러나 개화파의 대다수가 양반관료이자 대지주 출신이라는 계급적 제한성은 지주적 입장을 옹호하는 '위로부터의 개혁'을 추구하게 하였고, 그들이 개혁의 모델로 삼은 일본과 구미열강의 침략성을 올바로 파악하지 못한 한계를 가졌다고 본다.
결국 개화 사상가들이 주동이 된 갑신정변은 낡은 체제로부터 근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최초의 근대적인 개혁운동이었지만 당시로서는 실패한 개혁이었다. 역사에 있어서 개혁이란 항상 수구적인 기득권세력의 거센 도전과 저항을 피할 수 없었다는 사실을 갑신정변의 예를 통해 잘 보여준다. 그렇지만 당시로서는 실패요, 미완성으로 끝날 수밖에 없었던 개혁운동일지라도 이런 개혁가들의 꿈과 이상이 결국 성취되어 갔다는 것은 오늘의 우리가 반드시 되새겨 보아야 할 부분이라 생각한다.
정변이 실패한 뒤 급진개화파는 사라졌지만, 개화사상이 지향한 개혁의 방향과 한계는 근본적인 변화 없이 갑오개혁과 그 후의 독립협회파로 이어졌으며, 1905년 일제의 ‘을사5조약’ 강요에 의해 일제에게 국권을 빼앗긴 전후에는 국권 회복의 일차적 목표와 관련해 개화사상은 애국계몽사상과 운동으로 전환되어 전개되었다.
참고문헌
강준만, 한국근대사 산책, 서울: 인물과사상사. 2007
초기개화사상연구, 이완재, 민족문화사, 1989
개화파와 개화사상연구, 이광린, 일조각, 1989
윤순갑, 국제화전략으로서 한말 개화정책 연구, 대한정치학회, 2001
한국근대사회사상사연구 : 신용하, 일지사, 1987
한국의 개화사상 : 강재언, 정창렬 역, 비봉출판사, 1981
한국개화사상연구 : 이광린, 일조각, 1979
백종기, 개화사상과 갑신정변 연구의 과제, 대동문화연구원, 1986
1907년 비공식으로 귀국, 사면되었고 이완용(李浣用)내각의 궁내부대신이 되었지만, 정부대신의 암살 혐의를 받아 1년간 제주도에 유배되었다. 국권피탈 뒤 일본으로부터 후작(侯爵)의 작위를 받고 1911년 조선귀족회회장, 1918년 조선은행이사를 지냈다. 20년 동아일보사 초대사장에 취임하였으며, 중추원의장·일본귀족원 의원 등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는 <사화기략(使和記略)>이 있다.
Ⅲ. 결론
개화파는 1876년 개항을 계기로 민씨 정권이 중국의 양무개혁론을 모방, 체제유지의 차원에서 추진한 개화정책에 참여하면서 하나의 정치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이들은 ‘충의계’(忠義契)를 조직하여 동지를 규합하고 또한 개혁의 수단으로서 당시 서구문물에 관심을 표명하던 고종을 개명화시켜 평화적인 개혁을 추구하려 하였다.
특히 1880년과 1881년의 일본 수신사와 신사유람단 그리고 청의 개화문명을 배워오기 위한 영선사 등의 파견은 개화파가 세계정세의 흐름과 새로운 서구문명을 직접 확인하고 배우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개화사상은 부국강병을 위한 근대적인 국가와 사회의 건설을 지향하던 부르주아적 개혁사상이었고, 또한 당시 세계발전의 역사적 추이를 인식한 선진적인 사상이었다. 그러나 개화파의 대다수가 양반관료이자 대지주 출신이라는 계급적 제한성은 지주적 입장을 옹호하는 '위로부터의 개혁'을 추구하게 하였고, 그들이 개혁의 모델로 삼은 일본과 구미열강의 침략성을 올바로 파악하지 못한 한계를 가졌다고 본다.
결국 개화 사상가들이 주동이 된 갑신정변은 낡은 체제로부터 근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최초의 근대적인 개혁운동이었지만 당시로서는 실패한 개혁이었다. 역사에 있어서 개혁이란 항상 수구적인 기득권세력의 거센 도전과 저항을 피할 수 없었다는 사실을 갑신정변의 예를 통해 잘 보여준다. 그렇지만 당시로서는 실패요, 미완성으로 끝날 수밖에 없었던 개혁운동일지라도 이런 개혁가들의 꿈과 이상이 결국 성취되어 갔다는 것은 오늘의 우리가 반드시 되새겨 보아야 할 부분이라 생각한다.
정변이 실패한 뒤 급진개화파는 사라졌지만, 개화사상이 지향한 개혁의 방향과 한계는 근본적인 변화 없이 갑오개혁과 그 후의 독립협회파로 이어졌으며, 1905년 일제의 ‘을사5조약’ 강요에 의해 일제에게 국권을 빼앗긴 전후에는 국권 회복의 일차적 목표와 관련해 개화사상은 애국계몽사상과 운동으로 전환되어 전개되었다.
참고문헌
강준만, 한국근대사 산책, 서울: 인물과사상사. 2007
초기개화사상연구, 이완재, 민족문화사, 1989
개화파와 개화사상연구, 이광린, 일조각, 1989
윤순갑, 국제화전략으로서 한말 개화정책 연구, 대한정치학회, 2001
한국근대사회사상사연구 : 신용하, 일지사, 1987
한국의 개화사상 : 강재언, 정창렬 역, 비봉출판사, 1981
한국개화사상연구 : 이광린, 일조각, 1979
백종기, 개화사상과 갑신정변 연구의 과제, 대동문화연구원, 1986
추천자료
- 에밀 뒤르껨의 교육사상과 학문적 성격
- 혜성가(설화, 작품 특징 및 성격, 주요 논쟁점)
- [향가]향가 심층 고찰(향가 작가, 향가 율격, 향가의 민요적 성격, 향가의 사상적 배경, 서동...
- [우수 평가 자료]사회권의 성격과 시민법의 주요원리에 대하여.
- 사회 복귀 시설의 개념, 종류, 성격, 주요서비스, 필요성, 문제점, 개선방안, 기관소개
- [전통건축][공간창조][자연성][공간][샤머니즘]전통건축 특징, 전통건축 성격, 전통건축 사상...
-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개념과 성격, 주요원칙
- 이상의 성장 배경과 성격 및 주요 주변 인물
- [무시선법(무시선), 원불교]무시선법(무시선)의 특징적 개념, 무시선법(무시선)의 사상선적 ...
- [재일]재일한국인(재일조선인, 재일한인, 재일유학생)의 성격, 현황, 재일한국인(재일조선인,...
- 로저스(Carl Rogers)의 인간중심상담(사람-중심상담)의 주요개념, 성격의 구조, 자기실현경향...
- 교육철학의 성격 - 교육에 관한 지식과 교육사상, 교육이론과 교육실제, 전통적 교육철학과 ...
- [분석심리학] 분석심리학의 기본가정과 주요개념, 성격이론(성격의 유형과 발달)
-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주요개념 및 성격구조, 심리성적발달단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