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문학 - 두시 언해(杜詩諺解))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문학 - 두시 언해(杜詩諺解))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중문학 - 두시 언해(杜詩諺解))
귀안(歸雁)
보 왯 萬里(만리) 옛 나그네 안녹산의 난으로 유랑 생활을 시작하여, 피난지인 성도에서 다시 봄을 맞이한 것을 뜻한다. ‘나그네’는 뒤의 ‘기러기’와 대칭을 이룬다.
亂(난)이 긋거든 어느 예 도라가려뇨
江城(강성)에 그려기
너피 正(정)히 북으로 라가매 애 긋노라 고향인 북쪽으로 날아가는 기러기를 보니 창자가 끊어질 득이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북받친다. 고향을 그리워하는 ‘망향’의 주제를 단적으로 표현한 부분인데, 고향에 가지 못하는 작자의 심정을 기러기에 투영함으로써 애절한 향수를 더욱 짙게 그려 내고 있다.
春來萬里客 춘래만리객
亂定幾年歸 난정기년귀
腸斷江城雁 장단강성안
高高正北飛 고고정북비
봄에 와 있는 만 리 밖의 나그네는
난이 그치거든 어느 해에 돌아갈까
강성의 기러기가
똑바로 높이 북쪽으로 날아가니 애를 끊는구나.
감상의 길잡이
봄이 되어 기러기는 북쪽으로 날아가는데 난리로 인해 시인은 고향을 두고도 돌아갈 기약이 없다. 기러기에 시인은 봄이라는 계절에서 남모를 향수를 느끼고 이러한 서글픈 정한을 철새인 기러기에 첩첩이 실어 읊고 있다.
이 시의 묘미는 1, 2구에서 보여 준 직서적인 자기 심상의 표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망향의 아픔을 언외(言外)로 투영시킨 3, 4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정북으로 날아가는 기러기는 바로 작자의 망향의 시심이 응축된 매개물인 것이다.
핵심 정리
연대 : 두보가 53세(764년) 때 피난지인 성도에서 지음
제재 : 기러기
주제 : 향수
출전 : <分類杜工部詩諺解> 중간본 권 17
春望(춘망)
나라히 破亡니 뫼콰 잇고 수도가 적에서 함락되어 남은 것은 산하와 같은 자연뿐이다.
잣 안 플와 나모 기펫도다
時節(시절)을 感歎(감탄)호니 고지 믈 리게코
여희여슈믈 슬호니 새 놀래노라 原註: 꽃과 새는 항상 평화로운 때 즐기거늘, 이제 꽃을 보니 눈물이 흐르며, 새소리를 들이니 마음을 놀라게 되는지라, 세상이 얼마나 난세인가 알 수 있다.
烽火(봉화)ㅣ 석 니어시니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12.26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95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