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감염관리의 개요..........................................2
2. 일반지침.................................................3
1) 무균술.................................................3
2) 감염의 요소와 전파방법................................4
3) 표준주의 ..............................................5
4) 전파 경로별 주의.......................................7
3. 환경관리.................................................9
1) 청소...................................................9
2) 감염성 폐기물 관리.....................................10
3) 세탁물 관리............................................11
4) 방문객 관리............................................13
5) 사망환자 관리..........................................13
4. 병원직원의 감염관리.....................................15
1) 직원감염관리 프로그램.................................15
2) 혈액 및 체액 노출 시 관리.............................16
2. 일반지침.................................................3
1) 무균술.................................................3
2) 감염의 요소와 전파방법................................4
3) 표준주의 ..............................................5
4) 전파 경로별 주의.......................................7
3. 환경관리.................................................9
1) 청소...................................................9
2) 감염성 폐기물 관리.....................................10
3) 세탁물 관리............................................11
4) 방문객 관리............................................13
5) 사망환자 관리..........................................13
4. 병원직원의 감염관리.....................................15
1) 직원감염관리 프로그램.................................15
2) 혈액 및 체액 노출 시 관리.............................16
본문내용
자의 anti-HCV검사와 HCV양성에 노출된 직원의 기초 자료를
위한 검사와 추후검사를 위한 anti-HCV와 ALT activity검사 시행이 필요하다.
-노출 후 4~6주에 anti-HCV RNA검사, 4~6개월에 anti-HCV검사를 시행하도록 한다.
C. HIV노출 관리
a.감염위험
-HIV에 감염된 혈액이 묻은 주사바늘에 찔린 후 감염될 위험은 약 0.3%이며, 점막에 노출될
경우에는 0.09%이다.
-체액에 노출될 경우 혈액에 노출된 경우보다 낮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 외 감염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노출된 혈액의 양이 얼마나 많은지, 노출된 기구가 환자의 동맥이나 정맥에 직접적으로 사용
된 것인지, 얼마나 깊이 손상을 당했는가, 원인제공 환자의 중증도 즉 환자의 혈액 속에 HIV
titer가 얼마나 높은가 등
b. HIV 예방약 투여
-이론적 근거: HIV혈액이 묻은 주사바늘에 찔린 후 곧바로 전신적 감염을 나타내지 않으며 일
정기간 바이러스가 복제되어 질병을 나타내기까지 잠복기가 있다.
⇒노출 후 예방약 투여는 바이러스의 복제를 방지하거나 잠복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c. HIV예방약
: HIV 노출 후 감염 전파 위험정도에 따라 two-drug PEP regimen과 three-drug PEP
regimen 예방적 투약 권고한다.
* antiretroviral agents: 일반적으로 4주간 투여. 투여기간동안 오심, 구토, 설사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관찰해야 하며, 필요시 다른
약품으로 대치하여 투여해야 한다.
*HIV 노출 후 예방약 투여 권고사항*
만약 예방약 투여 대상이면 노출 후 가능한 한 빨리 예방약을 투여한다.
노출된 사람은 노출 후 72시간 이내 재평가한다.
견딜만 하다면, 예방약은 4주간 투여한다.
만약 원인제공자가 HIV 음성으로 확인된다면 예방약 투여를 중단한다.
*HIV예방을 위한 약물 선택 시 권고사항
: 대부분은 two-drug regimen을 투약하고, 감염된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expanded\"
three-drug regimen을 투약한다.
경피적 노출 후 HIV예방약 투여 권고사항
노출유형
원인 제공 환자 상태
HIV (+)
class 1
HIV (+)
class 2
HIV검사
(-)
원인제공환자가
누군지 모르는 경우
HIV
(-)
심각하지
않은 노출
basix
2-drug
PEP 권고
expanded 3-drug
PEP권고
일반적으로 PEP가 추천되지 않으나
HIV에 감염환자에게 노출된 것 같은 경
우 basix 2-drug
PEP 시행고려
일반적으로 PEP가 추천되지 않으나 HIV감염환자에게 노출된 것 같은 경우 basix 2-drug
PEP
-
심각한
노출
expanded
3-drug
PEP권고
손상된 피부 혹은 점막 노출 후 HIV예방약 투여 권고사항
소량
basix
2-drug
PEP 권고
basix 2-drug
PEP 권고
위 내용과 동일
위 내용과 동일
-
다량
expanded 3-drug
PEP권고
*HIV (+) class 1: 무증상 HIV감염자 혹은 낮은 viral load(ex.<1,500 RNA copies/mL)
*HIV (+) class 2: 증상이 있는 HIV감염자, AIDS, 급성혈청전환자 혹은 높은 viral load.
만약 약물 내성과 관련이 있다면 전문가와 상담.
*심각하지 않은 노출: ex) solid needle에 의한 superficial injury
*심각한 노출: ex) 주사바늘, 깊이 찔림, 환자에게 사용한 바늘이나 기구에 혈액이 눈에 보이게 묻음
d. HIV노출 후 추후관리
-추후검사: 노출된 직원에게 상담, 추후검사, 의학적 검진을 해야 한다.
노출 후 최소 6개월 동안(ex.6주, 12주, 6개월) HIV항체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HIV
와 HCV 모두에 감염된 원인 제공자에게 노출되어 HCV에 감염된 경우 HIV 추적 검
사 기간을 연장해야한다(ex.12개월).
-약물독성 확인 및 관리
: 예방약을 투여하고 있는 직원은 약물독성에 검사와 대한 기초투약 2주 후에 추가 검사 시행
검사범위는 예방약 regimen을 고려하여 약물독성과 노출된 직원의 의학적 소견에 따라 다르
다. 독성 검사는 최소 CBC, 신장과 간기능 검사 포함.
예방약 투여 시 발진, 발열, 요통 및 복통, 배뇨시 동통이나 혈뇨, 고혈당 등의 부작용이 있
는 지 확인하고 부작용이 발생하면 이에 대해 처방하여 약물 복용 직원의 부작용으로 인한
고통 최소화
-상담과 교육: HIV노출 후 감염위험은 낮지만 4주간의 예방약 투여를 권고받으며, 일상적인
행위 변화를 권고 받는다. 이차 감염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추적 검사기간 동안 성
생활의 변화, 임심피함, 수혈이나 혈장 제공 금지, 조직이나 기관, 정액 공여 금지
에 대한 교육 필요하다.
*HIV에 노출된 직원의 교육과 상담에 포함할 내용
-추적기간동안 이차감염 전파 예방에 관한 사항
-예방약을 처방받을 경우 약물 독성, 계속적인 관찰, 약물 간 상호작용에 대한 정보제공.
D.주사바늘 손상 예방전략
a.관리자의 예방 전략
가장 안전한 물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평가하고 구매한다.
주사바늘 찔림 사고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 정책에 반영한다.
주사바늘을 버리거나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주사바늘 찔림과 관련된 직원들의 잘못된 행위를 수정하도록 한다.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 깨운다.
주사바늘에 찔리면 즉시 보고하고 관리를 받도록 격려한다.
예방전략의 효과를 평가하고 정책에 반영한다.
b.병원직원의 자기보호 전략
가능하다면 주사바늘을 다룰 때는 불안정한 장소는 피한다.
관리자로 하여금 안전물품을 구매하도록 요청해 사용한다.
주사바늘 뚜껑을 씌우지 않는다.
주사바늘을 다루기 전 어떻게 안전하게 조작할 것인가를 생각해 본다.
주사바늘은 사용 즉시 안전한 곳에 버린다.
주사바늘 찔림 사고 후에는 반드시 보고하고 처치를 받는다.
주사바늘에 찔릴 위험이 높은 환경에 대해 관리자에게 말한다.
B형 간염 예방접종 등 혈액매개질병 예방을 위한 권고사항을 준수한다.
위한 검사와 추후검사를 위한 anti-HCV와 ALT activity검사 시행이 필요하다.
-노출 후 4~6주에 anti-HCV RNA검사, 4~6개월에 anti-HCV검사를 시행하도록 한다.
C. HIV노출 관리
a.감염위험
-HIV에 감염된 혈액이 묻은 주사바늘에 찔린 후 감염될 위험은 약 0.3%이며, 점막에 노출될
경우에는 0.09%이다.
-체액에 노출될 경우 혈액에 노출된 경우보다 낮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 외 감염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노출된 혈액의 양이 얼마나 많은지, 노출된 기구가 환자의 동맥이나 정맥에 직접적으로 사용
된 것인지, 얼마나 깊이 손상을 당했는가, 원인제공 환자의 중증도 즉 환자의 혈액 속에 HIV
titer가 얼마나 높은가 등
b. HIV 예방약 투여
-이론적 근거: HIV혈액이 묻은 주사바늘에 찔린 후 곧바로 전신적 감염을 나타내지 않으며 일
정기간 바이러스가 복제되어 질병을 나타내기까지 잠복기가 있다.
⇒노출 후 예방약 투여는 바이러스의 복제를 방지하거나 잠복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c. HIV예방약
: HIV 노출 후 감염 전파 위험정도에 따라 two-drug PEP regimen과 three-drug PEP
regimen 예방적 투약 권고한다.
* antiretroviral agents: 일반적으로 4주간 투여. 투여기간동안 오심, 구토, 설사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관찰해야 하며, 필요시 다른
약품으로 대치하여 투여해야 한다.
*HIV 노출 후 예방약 투여 권고사항*
만약 예방약 투여 대상이면 노출 후 가능한 한 빨리 예방약을 투여한다.
노출된 사람은 노출 후 72시간 이내 재평가한다.
견딜만 하다면, 예방약은 4주간 투여한다.
만약 원인제공자가 HIV 음성으로 확인된다면 예방약 투여를 중단한다.
*HIV예방을 위한 약물 선택 시 권고사항
: 대부분은 two-drug regimen을 투약하고, 감염된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expanded\"
three-drug regimen을 투약한다.
경피적 노출 후 HIV예방약 투여 권고사항
노출유형
원인 제공 환자 상태
HIV (+)
class 1
HIV (+)
class 2
HIV검사
(-)
원인제공환자가
누군지 모르는 경우
HIV
(-)
심각하지
않은 노출
basix
2-drug
PEP 권고
expanded 3-drug
PEP권고
일반적으로 PEP가 추천되지 않으나
HIV에 감염환자에게 노출된 것 같은 경
우 basix 2-drug
PEP 시행고려
일반적으로 PEP가 추천되지 않으나 HIV감염환자에게 노출된 것 같은 경우 basix 2-drug
PEP
-
심각한
노출
expanded
3-drug
PEP권고
손상된 피부 혹은 점막 노출 후 HIV예방약 투여 권고사항
소량
basix
2-drug
PEP 권고
basix 2-drug
PEP 권고
위 내용과 동일
위 내용과 동일
-
다량
expanded 3-drug
PEP권고
*HIV (+) class 1: 무증상 HIV감염자 혹은 낮은 viral load(ex.<1,500 RNA copies/mL)
*HIV (+) class 2: 증상이 있는 HIV감염자, AIDS, 급성혈청전환자 혹은 높은 viral load.
만약 약물 내성과 관련이 있다면 전문가와 상담.
*심각하지 않은 노출: ex) solid needle에 의한 superficial injury
*심각한 노출: ex) 주사바늘, 깊이 찔림, 환자에게 사용한 바늘이나 기구에 혈액이 눈에 보이게 묻음
d. HIV노출 후 추후관리
-추후검사: 노출된 직원에게 상담, 추후검사, 의학적 검진을 해야 한다.
노출 후 최소 6개월 동안(ex.6주, 12주, 6개월) HIV항체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HIV
와 HCV 모두에 감염된 원인 제공자에게 노출되어 HCV에 감염된 경우 HIV 추적 검
사 기간을 연장해야한다(ex.12개월).
-약물독성 확인 및 관리
: 예방약을 투여하고 있는 직원은 약물독성에 검사와 대한 기초투약 2주 후에 추가 검사 시행
검사범위는 예방약 regimen을 고려하여 약물독성과 노출된 직원의 의학적 소견에 따라 다르
다. 독성 검사는 최소 CBC, 신장과 간기능 검사 포함.
예방약 투여 시 발진, 발열, 요통 및 복통, 배뇨시 동통이나 혈뇨, 고혈당 등의 부작용이 있
는 지 확인하고 부작용이 발생하면 이에 대해 처방하여 약물 복용 직원의 부작용으로 인한
고통 최소화
-상담과 교육: HIV노출 후 감염위험은 낮지만 4주간의 예방약 투여를 권고받으며, 일상적인
행위 변화를 권고 받는다. 이차 감염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추적 검사기간 동안 성
생활의 변화, 임심피함, 수혈이나 혈장 제공 금지, 조직이나 기관, 정액 공여 금지
에 대한 교육 필요하다.
*HIV에 노출된 직원의 교육과 상담에 포함할 내용
-추적기간동안 이차감염 전파 예방에 관한 사항
-예방약을 처방받을 경우 약물 독성, 계속적인 관찰, 약물 간 상호작용에 대한 정보제공.
D.주사바늘 손상 예방전략
a.관리자의 예방 전략
가장 안전한 물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평가하고 구매한다.
주사바늘 찔림 사고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 정책에 반영한다.
주사바늘을 버리거나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주사바늘 찔림과 관련된 직원들의 잘못된 행위를 수정하도록 한다.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 깨운다.
주사바늘에 찔리면 즉시 보고하고 관리를 받도록 격려한다.
예방전략의 효과를 평가하고 정책에 반영한다.
b.병원직원의 자기보호 전략
가능하다면 주사바늘을 다룰 때는 불안정한 장소는 피한다.
관리자로 하여금 안전물품을 구매하도록 요청해 사용한다.
주사바늘 뚜껑을 씌우지 않는다.
주사바늘을 다루기 전 어떻게 안전하게 조작할 것인가를 생각해 본다.
주사바늘은 사용 즉시 안전한 곳에 버린다.
주사바늘 찔림 사고 후에는 반드시 보고하고 처치를 받는다.
주사바늘에 찔릴 위험이 높은 환경에 대해 관리자에게 말한다.
B형 간염 예방접종 등 혈액매개질병 예방을 위한 권고사항을 준수한다.
추천자료
정부의 환경정책의 발전방향-폐기물의 처리
[자연과학]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리장
정책평가-과정평가(생활폐기물정책의효과성분석)
핵 폐기물의 문제점과 영향
염성 폐기물의 법률적 위치와 정의 그 종류
[환경과삶] 『폐기물 에너지의 정의, 분류, 장단점, 경제효과 등』에 대하여
RDF 폐기물 고형화 연료
건설 폐기물의 종류 및 처리현황, 재활용을 위한 방안 및 관련 법령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
[폐수처리공학] 음식물류 폐기물, 가축분뇨의 처리(에너지화)에 대하여
보건생태학 - 15.폐기물
[행정기획론] 폐기물에너지 자원화 - 기획 사례 조사
혐오시설嫌惡施設 관련 -핵폐기물처리장 선정 사례-
[국제사회학]전자폐기물의 불평등한 확산과 국제적 협력의 필요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