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문헌고찰
▶ 미숙아(prematurity)
1. 정의
2. 종류
3. 유발요인
4. 사망
5. 신체적 특징
6. 불리한 점
(1) 체온조절
(2) 호흡기계
(3) 심혈관계
(4) 뇌실/두개 내 출혈
(5) 고빌리루빈 혈증
(6) 감염
(7) 영양
(8) 미숙아 망막증
7. 간호
(1) 호흡지지
(2) 체온조절
(3) 감염예방
(4) 수분공급
(5) 영양공급
(6) 피부간호
(7) 보육기 간호
▶ 무호흡(Apnea)
1. 정의
2. 원인
(1) 이환된 원발성 질병에 의한 원인
(2) 선행되는 원인 질병이 없을 때의 원인
1) 중추성 무호흡
2) 폐쇄성 무호흡
3) 혼합성 무호흡
3. 빈도
4. 증상
5. 치료
(1) 지속적인 감시(monitering)
(2) 피부 자극(skin touch)
(3) O2 공급
(4) medication 요법
(5) 이환된 원발성 질병이 있을 때
(6) 선행되는 원인 질병이 없을 때
6. 예후
Ⅲ. 본론
▶ 간호사정
1. 환자 간호력
(1) 일반적 정보
(2) 출생력
(3) 가족력(maternal Hx.)
(4) 재태기간 사정(Ballard score)
1) 신경근육 성숙도(Neuromuscular maturity)
2. 진단 검사
(1) 동맥혈 가스
1) 산도(PH)
2) 이산화탄소분압(PCO2)
3) 산소분압(PO2)
4) 중탄산염(HCO3-)
5) 산소포화도(O2 Sat, SaO2)
6) 염기 과다(Base Excess;BE)
(2) 혈액화학 검사
(3) 전혈구 검사(CBC)
▶ 간호진단
#1. 환기관류 장애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2. 체온조절 장애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3. moniliasis에 의한 통증과 관련된 영양부족
#4. 광선치료와 관련된 고체온
#5. 광선치료와 관련된 감각지각 변화 : 시각
#6. 광선치료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7. 자녀의 입원과 관련된 가족의 비효율적 대응
▶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문헌고찰
▶ 미숙아(prematurity)
1. 정의
2. 종류
3. 유발요인
4. 사망
5. 신체적 특징
6. 불리한 점
(1) 체온조절
(2) 호흡기계
(3) 심혈관계
(4) 뇌실/두개 내 출혈
(5) 고빌리루빈 혈증
(6) 감염
(7) 영양
(8) 미숙아 망막증
7. 간호
(1) 호흡지지
(2) 체온조절
(3) 감염예방
(4) 수분공급
(5) 영양공급
(6) 피부간호
(7) 보육기 간호
▶ 무호흡(Apnea)
1. 정의
2. 원인
(1) 이환된 원발성 질병에 의한 원인
(2) 선행되는 원인 질병이 없을 때의 원인
1) 중추성 무호흡
2) 폐쇄성 무호흡
3) 혼합성 무호흡
3. 빈도
4. 증상
5. 치료
(1) 지속적인 감시(monitering)
(2) 피부 자극(skin touch)
(3) O2 공급
(4) medication 요법
(5) 이환된 원발성 질병이 있을 때
(6) 선행되는 원인 질병이 없을 때
6. 예후
Ⅲ. 본론
▶ 간호사정
1. 환자 간호력
(1) 일반적 정보
(2) 출생력
(3) 가족력(maternal Hx.)
(4) 재태기간 사정(Ballard score)
1) 신경근육 성숙도(Neuromuscular maturity)
2. 진단 검사
(1) 동맥혈 가스
1) 산도(PH)
2) 이산화탄소분압(PCO2)
3) 산소분압(PO2)
4) 중탄산염(HCO3-)
5) 산소포화도(O2 Sat, SaO2)
6) 염기 과다(Base Excess;BE)
(2) 혈액화학 검사
(3) 전혈구 검사(CBC)
▶ 간호진단
#1. 환기관류 장애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2. 체온조절 장애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3. moniliasis에 의한 통증과 관련된 영양부족
#4. 광선치료와 관련된 고체온
#5. 광선치료와 관련된 감각지각 변화 : 시각
#6. 광선치료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7. 자녀의 입원과 관련된 가족의 비효율적 대응
본문내용
인).
④폐의 압박을 막아 폐확장을 도와준다.
⑤고체온은 무호흡을 유발한다.
⑥증발로 체온을 하강시킨다.
⑦자극을 주어 무호흡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⑧저산소증을 방지한다.
①v/s, SaO2를 q6hrs마다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37.2℃-120회/min-48회/min, SaO2 98%)
②호흡양상을 측정하고 기록하였다(호흡수는48회/min로 규칙적으로 check되었고 호흡시 retraction이 관찰되지 않았다).
③피부색을 사정했는데 청색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④호흡이 용이한 자세를 취해주었다
(incubator 머리쪽을 올려주고 작은 roll을 사용해 매 2시간마다 오른 쪽으로 눕힌 다음 업드려 누이고 그 다음 왼쪽으로 눕히는 체위).
⑤incubator 온도를 29-30℃가 유지되도록 해주었다(Triple photo를 하는 관계로).
⑥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아주어 체온을 하강 시켜 주었다.
⑦무호흡이 나타나면 신생아를 부드럽게 자극해주었다(흉부마찰, 보육기를 가볍게 친다, 발바닥 마찰).
⑧처방에 따라 필요시 산소(Room O2 5l/min)를 공급해 주었다.
-비효율적인 호흡양상인 apnea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①호흡양상이 정상을 유지하였다(호흡수는48회/min로 규칙적으로 check되었고 호흡시 retraction이 관찰되지 않았다).
②SaO2 98%이상 check되었다.
③정상체온을 유지하였다(37.2℃).
④더이상의 청색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⑤호흡이 용이한 자세를 취해주었다.
;incubator 머리쪽을 올려주고 작은 roll을 사용해 매 2시간마다 오른 쪽으로 눕힌 다음 업드려 누이고 그 다음 왼쪽으로 눕히는 체위를 해줌으로써 환아의 호흡이 편안히 유지되였다.
⑥그러나 간간히 apnea는 아니나 숨을 얕게 쉬려해서 skin touch를 통해 무호흡을 방지하였다.
⑦ SaO2가 간간히 80%선으로 떨어져 notify를 통해 예방적으로 RO2 5l/min를 공급해 주었다.
#2. 체온조절 장애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apnea
일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평가
11/13
-입안에
moniliasis(+)
-우유를 먹을때 꼭지를 빨다가 중간에 울면서 칭얼거리다가 다시 꼭지를 빨다가 울면서 칭얼거리기를 계속 반복함(우유량이 거의 줄어들지 않는다).
-11/11일까지는 feeding이 잘 되어서12일부터 수유량이 15→20cc로 증량되었으나 12일 매 duty때마다 feeding량이 10cc정도로 먹었고, 13일부터는 보채기만하고 feeding을 5cc만 먹음
-Bwt.
9일 ; 2.30,
10일 ; 2.34,
12일 ; 2.40,
13일 ; 2.20
-13일 lab
;glucose 58mg/dl,
t.protein 4.4mg/dl,
alb.2.4g/dl
<장기목표>
-정상적인 영양상태가 될 것이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moniliasis가 사라질 것이다.
②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대상자에게 알맞은 양의 우유를 섭취하게 될 것이다.③대상자는 체중이 증가할 것이다.
④lab상 정상 혈당치가 유지될 것이다.
⑤필요시 수액을 공급할 것이다.
①입안에 moniliasis정도를 사정한다.
②대상자의 수유능력을 사정한다.
③대상자의 체중을 매일 check한다.
④매일 섭취량과 배설량을 확인한다.
⑤계속적으로 혈당치 및 전해질 결과치를 확인한다.
⑥필요시
mycostatin syrup
을 제공해 준다.
⑦필요시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해준다.
①입안에 moniliasis정도를 사정하여 feeding시 이로 인한 통증여부를 확인한다.
③체중은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지표가 된다.
④섭취와 배설은 균형이 맞아야 하며 부적절할시 영양부족이 올수 있으므로 매일 사정하여 적절한 간호가 이루어져야 한다.
⑤당은 에너지를 내는 가장 큰 에너지원이다. 전해질의 비정상을알기 위해 혈액검사를 한다.
⑥mycostatin syrup은 moniliasis 치료에 사용된다.
⑦부족한 수분 및 전해질, 영양공급을 하기 위함
①입안에 moniliasis정도를 사정하였다.
-입안에 전반적으로 moniliasis가 생겨 있음
②대상자의 수유능력을 사정하였다.
-입안의 moniliasis로 인한 통증으로 인하여 빨려고는 하나 수유능력이 떨어져 있음
③매일 오전 9시에 체중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④수유후 섭취량을 기록하고 배설량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⑤혈중 전해질 검사를 확인하였다.
15일 ;
glucose 65mg/dl,
t.protein 5.6mg/dl,
alb.2.8g/dl
17일 ;
glucose 76mg/dl,
t.protein 6.8mg/dl,
alb.3.8g/dl
⑥처방에 따라 mycostatin syrup 0.5cc를 tid로 깔아 주었다.
⑦처방에 따라 10%DW 500cc
+Na 0.25ⓐ,
K 0.25ⓐ
를 정맥으로 공급해 주었다.
-정상적인 영양상태가 유지되었다.
①대상자(환아)에게 mycostatin syrup 0.5cc를 tid로 13일부터 깔아줌으로써 대상자의 수유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moniliasis또한 5일만에 사라졌다.
②대상자(환아)는 수유능력이 점점 향상되어 17일 현재 WM free 40cc를 수유하고 있다.
③체중은 13일(2.20kg) 이후로 차츰 증가하여 현재 2.38kg이다.
④17일 lab상;
glucose 76mg/dl,
t.protein 6.8mg/dl,
alb.3.8g/dl 로 정상범위를 유지하고 있다.
⑤fluid rate도 feeding량이 증가함에 따라 처음에 10cc/hr로 주었던 것이 17일 현재 5cc/hr로 줄어들었다.
#3. moniliasis에 의한 통증과 관련된 영양부족
일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평가
11/09
-triple photo theraphy중임
-BT : 38℃
<장기목표>
-정상적인 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단기목표>
-1시간 내에 체온이 36.8~37.5℃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①대상자의 체온을 자주 측정한다.
②자연적 온도 환경을 제공한다. 필요시 보육기 온도를 조절한다.
③미지근한 물을
④폐의 압박을 막아 폐확장을 도와준다.
⑤고체온은 무호흡을 유발한다.
⑥증발로 체온을 하강시킨다.
⑦자극을 주어 무호흡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⑧저산소증을 방지한다.
①v/s, SaO2를 q6hrs마다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37.2℃-120회/min-48회/min, SaO2 98%)
②호흡양상을 측정하고 기록하였다(호흡수는48회/min로 규칙적으로 check되었고 호흡시 retraction이 관찰되지 않았다).
③피부색을 사정했는데 청색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④호흡이 용이한 자세를 취해주었다
(incubator 머리쪽을 올려주고 작은 roll을 사용해 매 2시간마다 오른 쪽으로 눕힌 다음 업드려 누이고 그 다음 왼쪽으로 눕히는 체위).
⑤incubator 온도를 29-30℃가 유지되도록 해주었다(Triple photo를 하는 관계로).
⑥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아주어 체온을 하강 시켜 주었다.
⑦무호흡이 나타나면 신생아를 부드럽게 자극해주었다(흉부마찰, 보육기를 가볍게 친다, 발바닥 마찰).
⑧처방에 따라 필요시 산소(Room O2 5l/min)를 공급해 주었다.
-비효율적인 호흡양상인 apnea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①호흡양상이 정상을 유지하였다(호흡수는48회/min로 규칙적으로 check되었고 호흡시 retraction이 관찰되지 않았다).
②SaO2 98%이상 check되었다.
③정상체온을 유지하였다(37.2℃).
④더이상의 청색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⑤호흡이 용이한 자세를 취해주었다.
;incubator 머리쪽을 올려주고 작은 roll을 사용해 매 2시간마다 오른 쪽으로 눕힌 다음 업드려 누이고 그 다음 왼쪽으로 눕히는 체위를 해줌으로써 환아의 호흡이 편안히 유지되였다.
⑥그러나 간간히 apnea는 아니나 숨을 얕게 쉬려해서 skin touch를 통해 무호흡을 방지하였다.
⑦ SaO2가 간간히 80%선으로 떨어져 notify를 통해 예방적으로 RO2 5l/min를 공급해 주었다.
#2. 체온조절 장애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apnea
일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평가
11/13
-입안에
moniliasis(+)
-우유를 먹을때 꼭지를 빨다가 중간에 울면서 칭얼거리다가 다시 꼭지를 빨다가 울면서 칭얼거리기를 계속 반복함(우유량이 거의 줄어들지 않는다).
-11/11일까지는 feeding이 잘 되어서12일부터 수유량이 15→20cc로 증량되었으나 12일 매 duty때마다 feeding량이 10cc정도로 먹었고, 13일부터는 보채기만하고 feeding을 5cc만 먹음
-Bwt.
9일 ; 2.30,
10일 ; 2.34,
12일 ; 2.40,
13일 ; 2.20
-13일 lab
;glucose 58mg/dl,
t.protein 4.4mg/dl,
alb.2.4g/dl
<장기목표>
-정상적인 영양상태가 될 것이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moniliasis가 사라질 것이다.
②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대상자에게 알맞은 양의 우유를 섭취하게 될 것이다.③대상자는 체중이 증가할 것이다.
④lab상 정상 혈당치가 유지될 것이다.
⑤필요시 수액을 공급할 것이다.
①입안에 moniliasis정도를 사정한다.
②대상자의 수유능력을 사정한다.
③대상자의 체중을 매일 check한다.
④매일 섭취량과 배설량을 확인한다.
⑤계속적으로 혈당치 및 전해질 결과치를 확인한다.
⑥필요시
mycostatin syrup
을 제공해 준다.
⑦필요시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해준다.
①입안에 moniliasis정도를 사정하여 feeding시 이로 인한 통증여부를 확인한다.
③체중은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지표가 된다.
④섭취와 배설은 균형이 맞아야 하며 부적절할시 영양부족이 올수 있으므로 매일 사정하여 적절한 간호가 이루어져야 한다.
⑤당은 에너지를 내는 가장 큰 에너지원이다. 전해질의 비정상을알기 위해 혈액검사를 한다.
⑥mycostatin syrup은 moniliasis 치료에 사용된다.
⑦부족한 수분 및 전해질, 영양공급을 하기 위함
①입안에 moniliasis정도를 사정하였다.
-입안에 전반적으로 moniliasis가 생겨 있음
②대상자의 수유능력을 사정하였다.
-입안의 moniliasis로 인한 통증으로 인하여 빨려고는 하나 수유능력이 떨어져 있음
③매일 오전 9시에 체중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④수유후 섭취량을 기록하고 배설량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⑤혈중 전해질 검사를 확인하였다.
15일 ;
glucose 65mg/dl,
t.protein 5.6mg/dl,
alb.2.8g/dl
17일 ;
glucose 76mg/dl,
t.protein 6.8mg/dl,
alb.3.8g/dl
⑥처방에 따라 mycostatin syrup 0.5cc를 tid로 깔아 주었다.
⑦처방에 따라 10%DW 500cc
+Na 0.25ⓐ,
K 0.25ⓐ
를 정맥으로 공급해 주었다.
-정상적인 영양상태가 유지되었다.
①대상자(환아)에게 mycostatin syrup 0.5cc를 tid로 13일부터 깔아줌으로써 대상자의 수유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moniliasis또한 5일만에 사라졌다.
②대상자(환아)는 수유능력이 점점 향상되어 17일 현재 WM free 40cc를 수유하고 있다.
③체중은 13일(2.20kg) 이후로 차츰 증가하여 현재 2.38kg이다.
④17일 lab상;
glucose 76mg/dl,
t.protein 6.8mg/dl,
alb.3.8g/dl 로 정상범위를 유지하고 있다.
⑤fluid rate도 feeding량이 증가함에 따라 처음에 10cc/hr로 주었던 것이 17일 현재 5cc/hr로 줄어들었다.
#3. moniliasis에 의한 통증과 관련된 영양부족
일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평가
11/09
-triple photo theraphy중임
-BT : 38℃
<장기목표>
-정상적인 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단기목표>
-1시간 내에 체온이 36.8~37.5℃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①대상자의 체온을 자주 측정한다.
②자연적 온도 환경을 제공한다. 필요시 보육기 온도를 조절한다.
③미지근한 물을
추천자료
신생아 case study-간호과정
신생아 출생시 간호
신생아, 영유아, 청소년기등 각 아동의 단계별에 해당하는 응급처치 및 안전관리에 대한 사항...
신생아 고위험 간호과정
신생아 관련 간호수행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과정
신생아의 적절한 영양간호
[간호학]신생아중환자실dailyreport
[간호학]신생아daily checklist
아동간호학 - 신생아 황달에 관해
1. 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 혈증에 대한 사정(진단평가 및 임상증상)과 치료 및 간호에 ...
1. 죽음을 앞둔 아동과 의사소통,2. 고위험 신생아를 분류하는 기준,3. 중환아실에 입원한 아...
신생아의 성장발달(신생아의 신체적 특성과 행동능력, 신생아 돌보기, 미숙아의 성장발달, 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