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1. 환아의 상태나 질환에 관한 문헌고찰
HSP(Henoch-Schonlein Purpura, 헨노흐-쉔레인 자반증)
① 정의 :
② 원인:
③ 병태생리
④ 임상증상
⑤ 진단
⑥ 치료
⑦ 합병증
⑧ 간호
2.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및 환자 간호력
2) 요구 사정
3) 신체검진
4) 검사소견
4. 투약
5.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1. 질병 과정과 관련된 통증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2.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정보의 제공 부족으로 인한 지식 결핍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1. 환아의 상태나 질환에 관한 문헌고찰
HSP(Henoch-Schonlein Purpura, 헨노흐-쉔레인 자반증)
① 정의 :
② 원인:
③ 병태생리
④ 임상증상
⑤ 진단
⑥ 치료
⑦ 합병증
⑧ 간호
2.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및 환자 간호력
2) 요구 사정
3) 신체검진
4) 검사소견
4. 투약
5.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1. 질병 과정과 관련된 통증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2.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정보의 제공 부족으로 인한 지식 결핍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 page-186)
③ 대상자의 통증이 있을 때 대상자의 다리(발목~무릎)를 주물러 주었고 크게 심호흡 하는 것을 보여주며 따라하도록 하였다.
* 이론적 근거 : 이완은 통증에 대한 반응을 완화시킨다.
(서울 대학교출판부 간호진단과 계획 1994. page-184)
④ 통증이 김소되면 약한 진통제로 변경한다.
* 이론적 근거 : 통증의 중증도가 감소하면 효과가 적은 진통제로 조절된다.(부작용도 적다)
⑤ 대상자에게 통증에 대해 이야기 해 주었다. (통증은 움직이지 않으면 안생기고 며칠 내에 곧 통증이 없어질 것이다.)
평가
대상자는 통증이 있을 때에 혼자 심호흡 하는 모습을 보였다.
27일 통증 척도로 사정했을 때 움직일 때 3~4점 정도라 하는 모습을 보였다.
#2.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정보의 제공 부족으로 인한 지식 결핍
사정 :
주관적 자료 : “이거 언제 낫는 거에요?”
“나 언제 집에 가요?”
“피부에 난 빨간게 뭐예요?”
“애가 아프다고 할 때 어떻게 해야 하죠?”
“우리 애 괜찮은 건가요?”
“피를 왜 계속 뽑아가는 거예요? 애가 아파하는데”
객관적 자료 : 부모가 의료진을 보면 자주 묻는 모습
대상자가 통증이 있을 때 부모가 어쩔 줄을 모르고 그냥 진통제만 달라고 하는 모습
진단 :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정보의 제공 부족으로 인한 지식 결핍
목표 : 대상자와 부모는 대상자의 질병과 치료 및 간호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계획 : 대상자와 부모가 질병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사정한다.
진단 및 검사에 대해 설명한다.
대상자의 질병에 대해 설명한다.
대상자의 간호에 대해 설명한다.
수행 : 대상자와 부모에게 질병의 지식정도를 사정하였다. (부모는 거의 모르고 있었다.)
대상자의 검사를 왜 하는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혈액검사, 소변검사, 잠혈검사)
대상자의 통증은 질병의 과정 중 하나이며 며칠 안에 곧 없어질 것이라고 말하였다. 대상자의 질병은 아동기에 흔한 질병이고 곧 회복 되지만 신장 질환이 문제될 수 있다고 설명해주었다.
대상자가 통증을 느낄 때 해줄 수 있는 간호(체위변경, 찜질, 마사지 등)와 현재 부종으로 인한 염분제한, 퇴원 후 신장 기능을 병원에서 검사 받아야 하는 것 등을 설명했다.
교육자료를 제공하였다.(질병의 원인, 증상, 간호 등)
평가 :
대상자의 부모는 대상자의 질병에 대해 이제야 좀 알 것 같다고 말을 하였고 대상자 곁에서 대상자의 체위변경이나 마사지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대상자에게 교육한 통증 시 심호흡을 대상자가 혼자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Ⅲ. 결 론
나는 소아과 실습을 할 때마다 배우지 않은 질환을 케이스로 선정하는 것 같다. 그래서 case study를 할 때 참 어려움을 많이 느낀다. 하지만 모르는 것을 가지고 그대로 대상자에게 중재할 수 없어서 혼자서 끙끙대며 공부했지만 그래도 그것들이 웬지 완벽하게 내 머릿속에 입력되었다는 생각에 뿌듯했다. 또한 나의 중재로 인해서인지 대상자가 덜 아파하고 내가 가르쳐 준 것을 열심히 따라하는 것을 보니 감격스럽기까지 했다. 이번 실습을 계기로 항상 스스로 공부하는 간호사가 되야겠다고 생각했다.
Ⅳ. 참고문헌
최신아동건강간호학각론. 김미예 외. 수문사
아동간호학. 홍경자 외. 수문사
소아과학. 홍창의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소아혈액학. 김길영. 군자출판사
Mosby\'s Dictionary. 현문사
최신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Nursing Diagnosis Reference Manual. Spring House
임상및진단검사와 간호편람. 청구문화사
진단검사와 간호. 송경애 외. 수문사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편. 서울대학교출판부
KIMS
③ 대상자의 통증이 있을 때 대상자의 다리(발목~무릎)를 주물러 주었고 크게 심호흡 하는 것을 보여주며 따라하도록 하였다.
* 이론적 근거 : 이완은 통증에 대한 반응을 완화시킨다.
(서울 대학교출판부 간호진단과 계획 1994. page-184)
④ 통증이 김소되면 약한 진통제로 변경한다.
* 이론적 근거 : 통증의 중증도가 감소하면 효과가 적은 진통제로 조절된다.(부작용도 적다)
⑤ 대상자에게 통증에 대해 이야기 해 주었다. (통증은 움직이지 않으면 안생기고 며칠 내에 곧 통증이 없어질 것이다.)
평가
대상자는 통증이 있을 때에 혼자 심호흡 하는 모습을 보였다.
27일 통증 척도로 사정했을 때 움직일 때 3~4점 정도라 하는 모습을 보였다.
#2.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정보의 제공 부족으로 인한 지식 결핍
사정 :
주관적 자료 : “이거 언제 낫는 거에요?”
“나 언제 집에 가요?”
“피부에 난 빨간게 뭐예요?”
“애가 아프다고 할 때 어떻게 해야 하죠?”
“우리 애 괜찮은 건가요?”
“피를 왜 계속 뽑아가는 거예요? 애가 아파하는데”
객관적 자료 : 부모가 의료진을 보면 자주 묻는 모습
대상자가 통증이 있을 때 부모가 어쩔 줄을 모르고 그냥 진통제만 달라고 하는 모습
진단 :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정보의 제공 부족으로 인한 지식 결핍
목표 : 대상자와 부모는 대상자의 질병과 치료 및 간호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계획 : 대상자와 부모가 질병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사정한다.
진단 및 검사에 대해 설명한다.
대상자의 질병에 대해 설명한다.
대상자의 간호에 대해 설명한다.
수행 : 대상자와 부모에게 질병의 지식정도를 사정하였다. (부모는 거의 모르고 있었다.)
대상자의 검사를 왜 하는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혈액검사, 소변검사, 잠혈검사)
대상자의 통증은 질병의 과정 중 하나이며 며칠 안에 곧 없어질 것이라고 말하였다. 대상자의 질병은 아동기에 흔한 질병이고 곧 회복 되지만 신장 질환이 문제될 수 있다고 설명해주었다.
대상자가 통증을 느낄 때 해줄 수 있는 간호(체위변경, 찜질, 마사지 등)와 현재 부종으로 인한 염분제한, 퇴원 후 신장 기능을 병원에서 검사 받아야 하는 것 등을 설명했다.
교육자료를 제공하였다.(질병의 원인, 증상, 간호 등)
평가 :
대상자의 부모는 대상자의 질병에 대해 이제야 좀 알 것 같다고 말을 하였고 대상자 곁에서 대상자의 체위변경이나 마사지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대상자에게 교육한 통증 시 심호흡을 대상자가 혼자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Ⅲ. 결 론
나는 소아과 실습을 할 때마다 배우지 않은 질환을 케이스로 선정하는 것 같다. 그래서 case study를 할 때 참 어려움을 많이 느낀다. 하지만 모르는 것을 가지고 그대로 대상자에게 중재할 수 없어서 혼자서 끙끙대며 공부했지만 그래도 그것들이 웬지 완벽하게 내 머릿속에 입력되었다는 생각에 뿌듯했다. 또한 나의 중재로 인해서인지 대상자가 덜 아파하고 내가 가르쳐 준 것을 열심히 따라하는 것을 보니 감격스럽기까지 했다. 이번 실습을 계기로 항상 스스로 공부하는 간호사가 되야겠다고 생각했다.
Ⅳ. 참고문헌
최신아동건강간호학각론. 김미예 외. 수문사
아동간호학. 홍경자 외. 수문사
소아과학. 홍창의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소아혈액학. 김길영. 군자출판사
Mosby\'s Dictionary. 현문사
최신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Nursing Diagnosis Reference Manual. Spring House
임상및진단검사와 간호편람. 청구문화사
진단검사와 간호. 송경애 외. 수문사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편. 서울대학교출판부
KIMS
추천자료
신생아 미숙아 케이스
아동간호학 신생아실 케이스 스터디
신장내과 간호학 케이스
Neonatal asphyxia간호사례연구(케이스스터디)
Buerger's disease 환자 케이스 간호 진단 간호 중재
정형외과 병동 케이스 스터디.오른쪽대퇴부경부골절.THRA<인공고관절대치술>
[성인간호학]케이스스터디-경막하혈종(SDH)
북대 63병동 뇌줄중 케이스
[아동간호 케이스] Pneumonia(폐렴) 아동에 대한 간호사례 연구
뇌동맥류 Cerebral aneurysm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간경화증 케이스 스터디
폐렴 Pneumonia 케이스
만성신부전 간호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