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빌리루빈혈증09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빌리루빈혈증09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고빌리루빈 혈증이란?
혈액 중에 빌리루빈이 지나치게 축적되는 현상을 말하며, 황달, 즉 피부와 다른 기관의 색깔이 노랗게 변색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고빌리루빈혈증은 신생아에 흔하며, 대부분의 예에서 비교적 가벼운 경과를 보입니다. 그러나 신생아 황달의 대부분은 간접 빌리루빈이 피부에 침착되어 나타나는데, 간접 빌리루빈은 신경에 손상을 끼칠 수 있습니다.
거의 모든 신생아는 빌리루빈 수준이 상승 (정상인 0.2~1.4mg/100ml이상)하나 약 반수에서 황달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에서는 빌리루빈 수준이 5mg/100ml이상일 때 황달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황달은 공막, 손톱, 피부에 주로 나타납니다.
보통 생후 24시간 내에 나타나는 황달은 용혈성 질환이나 패혈증, 어머니에 의한 질병이 원인입니다.
생후 2∼3일 무렵 아기의 피부가 누렇게 변하기 시작하는데 신생아 황달은 생리적인 현상이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생후 3∼4일 무렵에 가장 심하다가 차츰 아기의 간장 기능이 성숙해지면서 적어도 생후 1주일이 되면서부터는 자연히 없어집니다.
생리적 황달 - 빌리루빈은 용혈된 적혈구 내 헤모글로빈이 분해되어 혈액을 통해 간에서 간세포의 작용으로 담즙으로 배설되야 하나 간접 빌리루빈이 직접 빌리루빈으로 전환되는데 필요한 간의 효소 glucuronyl transferase이 생 후 몇일동안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병리적 황달 - 태아 적아구증 - 산모가 Rh-, 태아는 Rh+ 인 경우에 발생하며 태아 적혈구의 Rh항원이 모체의 순환속에 들어가 Rh-인 모체에 감작을 일으켜 항체를 형성해 다시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이행되어 발생된다.
ABO부적합증 - O형인 산모와 A,B형의 영아의 경우 발생빈도가 높으며 O형일 경우 antiA,B항체를 보유하고 있어 태반 통과시 용혈 반응을 일으켜 발생한다.
모유 황달 - 모유 수유를 하는 만삭아의 1-2%에서 산모의 모유에서 생성되는 물질이 빌리루빈의 배설을 방해하여 황달이 발생한다.
이럴땐 병원으로
황달이 있으면서 열이 38도가 넘거나, 체온이 떨어져 몸이 싸늘하거나, 먹는 것이 줄고 아기가 처지고 탈진되어 보이면 바로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황달이 생기거나 황달이 심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생후 1주가 지났는데도 황달이 점점 심해지거나, 2주가 지났는데도 황달이 좋아지지 않거나 태어난 지 1주가 지난 후에 황달이 시작된 경우에도 소아과 의사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간접 빌리루빈
신경에 독성이 크기 때문에 심한 황달을 가진 영아는 핵황달의 위험이 있습니다. 핵황달은 혈청 빌리루빈 농도가 독성 수준에 이를 때, 간접 빌리루빈이 뇌세포에 침착되어 뇌손상이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임상증상
ㆍ황달-피부의 노랑색 변색
ㆍ연한 노랑 혹은 오렌지색-간접 빌리루빈
ㆍ초록색이 깃든 탁한 노란색-직접 빌리루빈
치료 및 간호
광선요법, 약물요법, 교환수혈입니다.
3) 치료와 간호
① 광선치료 (Phototherapy)
- 가시광선을 쪼여 혈중 간접 빌리루빈이 감소하게 한다.
- 빌리루빈은 파장이 420-470mm의 청색빛을 가장 많이 흡수한다.
-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피부 노출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황아의 체위를 자주 바꿔준다.
- 치료시 눈에 빛이 노출되징 낳도록 안대를 하지만 각막 찰과상등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너무 세게 붙이지 않는다.
- 합병증으로는 묽은 변, 홍반성 발진, 발열과 탈수, 노출에 의한 오한 등이 있다.
② 교환 수혈 (Exchange Transfusion)
- 핵황달을 시사하는 임상 징후 관찰 시 혈청 빌리루빈치에 상관없이 교환 수혈을 한다.
- 건강한 만삭아는 생리적, 모유 황달시 25mg/dL 정도의 농도에서도 특별한 이상이 없 이 잘 견디지만 병든 미숙아들은 이보다 훨씬 낮은 농도에서도 핵황달을 일으킬 수 있 다.
- 생후 첫 날이나 이틀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2.18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1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