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PT & aPTT prolongation 의 의미
■ Natural anticoagulant 가 어디에 작용하는가
■ DIC 때 확인해야 하는 Lab
■ Urea
■ Creatinine 및 Creatine
■ Electrolytes
■ 혈장교환술(Therapeutic Plasmapheresis, Plasma Exchange)
■ Natural anticoagulant 가 어디에 작용하는가
■ DIC 때 확인해야 하는 Lab
■ Urea
■ Creatinine 및 Creatine
■ Electrolytes
■ 혈장교환술(Therapeutic Plasmapheresis, Plasma Exchange)
본문내용
in에 의해 억제되고 나머지 25%는 α-2macroglobulin과 heparin cofactor II에 의해 억제된다. Heparin cofactor II는 antithrombin에 비해 작용이 비교적 미미하나 thrombin에 대하여 억제작용을 한다.
■ DIC 때 확인해야 하는 Lab
* DIC(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
미세혈관계에 섬유소가 침착하여 이차적으로 응고계의 활성화가 유도되고 섬유소의 그물구조에 적혈구가 걸리게 되어 적혈구가 파괴된다. 용혈은 심하지 않으나 혈소판과 혈액 응고 인자가 소모되고 섬유소용해 과정으로 역시 혈액응고인자가 단백 분해되어 응고기능이 저하된다.
* 원인으로는 혈액내 procoagulant의 유리(snake venom, 종양, 각종 산부인과적 합병증), 손상된 표면에 혈액의 접촉(화상, 열사병, 장기이식, 감염), 혈액내 procoagulant 생성(AML M3. 용혈성 수혈반응)등이 있다.
* Lab Finding
1. 혈액도말에서 분절적혈구(schistocytes, fragmented red cell), 혈소판감소증이 관찰된다.
2. 각종 혈액응고인자의 감소로 PT, PTT, thrombin time이 연장
3. 혈액응고 인자의 감소와 혈소판수의 감소로 출혈시간이 연장
4. Antithrombin III 와 섬유소원이 감소하고, FDP와 D-dimer가 증가하며 fibrinogen은 감소
■ Urea
Urea는 주요 NPN(non-protein nitrogen)으로서 전체 NPN배설물의 75%이상 점유하고 있다. 이는 간에서 urea cycle 효소의 작용으로 아미노산과 암모니아로부터 생합성되고, 90%이상은 신장으로 배설된다. 신사구체에서는 자유로이 여과되고, 신세뇨관에서는 능동적으로 흡수또는 분비되지 않는다. 그러나 정상 신장에서 40 - 79%가 수동적으로 신세뇨관에서 간질로 이동하므로 urea clearance 검사 결과가 더 낮게 측정된다.
혈장또는 혈청 urea 농도
정상 성인 6-20mg/dl
신생아 3-25mg/dl
60세이상 8-23mg/dl
남녀간의 차이는 거의 없다. 고단백식 후에는 혈중 농도가 증가하고 소변중 배설량이 증가한다.
혈청urea농도가 신장 기능을 널리 반영할 수도 있지만 단독으로 측정하기보다는 혈청 urea농도와 혈청 creatinine 농도를 동시에 분석하여 urea/creatinine ratio를 구하여 전신성 및 후신성 요독증을 감별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정상식을 하는 정상인에서는 12-20mg/dl이며 대부분 12-16mg/dl이다. ATN, 저단백식, 기아, 심한 간장질환 등에서 낮아진다. 조직분해증가, 전신성 요독증, 고단백식, 위장관 출혈 등에서는 결과치가 높고 혈청 creatinine 농도는 정상이다. 이 결과치가 높고 동시에 혈청 creatinine도 높은 경우는 신장질환과 동반된 후신성 폐쇄증이나 전신성 요독증이며 혈청 creatinine농도도 높다.
urea clearance는 식사 또는 간기능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GFR측정에는 유용하지 못하며, back-diffusion때문에 혈장 및 소변 중의 urea농도 변화가 다양하다
Urea는 효소법(urease 와 glutamate dehydrogenase 이용) 을 응용한 간접법과 직접화학법을 이용하지만 대부분 효소법을 이용
■ Creatinine 및 Creatine
creatine은 신장, 간, 췌장 등에서 생성되어 근육, 뇌 등으로 이동하여 고에너지성 phosphocreatine이 된다. 근육에서는 phosphocreatine과 creatine이 근 수축에 관여하며, 하루 1-2% 정도 생성되는 free creatine은 비가역적으로 creatinine으로 변환된다. 생성된 creatinine은 신장에서 배설되고 신세뇨관에서는 거의 흡수되지 않는다. 매일 생성되는 creatinine양은 근육총량의 영향을 받으므로 개체내 일간 변동은 거의 없고 혈충 creatinine 농도도 매우 좁은 범위 내에서 거의 일정하다. 정상인에서 Jaff 법으로 측정한 혈청 creatinine 농도는 남자에서 0.9-1.3mg/dL 이고, 여자에서 0.6-1.1 mg/dL 이다. ARF에서는 4-6mg/dL이고, 치료하지 않은 만성신부전에서는 10mg/dL을 넘는다. 소변 creatinine 배설량은 남자에서 14-26mg/kg/day이고, 여자에서 11-20mg/
■ DIC 때 확인해야 하는 Lab
* DIC(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
미세혈관계에 섬유소가 침착하여 이차적으로 응고계의 활성화가 유도되고 섬유소의 그물구조에 적혈구가 걸리게 되어 적혈구가 파괴된다. 용혈은 심하지 않으나 혈소판과 혈액 응고 인자가 소모되고 섬유소용해 과정으로 역시 혈액응고인자가 단백 분해되어 응고기능이 저하된다.
* 원인으로는 혈액내 procoagulant의 유리(snake venom, 종양, 각종 산부인과적 합병증), 손상된 표면에 혈액의 접촉(화상, 열사병, 장기이식, 감염), 혈액내 procoagulant 생성(AML M3. 용혈성 수혈반응)등이 있다.
* Lab Finding
1. 혈액도말에서 분절적혈구(schistocytes, fragmented red cell), 혈소판감소증이 관찰된다.
2. 각종 혈액응고인자의 감소로 PT, PTT, thrombin time이 연장
3. 혈액응고 인자의 감소와 혈소판수의 감소로 출혈시간이 연장
4. Antithrombin III 와 섬유소원이 감소하고, FDP와 D-dimer가 증가하며 fibrinogen은 감소
■ Urea
Urea는 주요 NPN(non-protein nitrogen)으로서 전체 NPN배설물의 75%이상 점유하고 있다. 이는 간에서 urea cycle 효소의 작용으로 아미노산과 암모니아로부터 생합성되고, 90%이상은 신장으로 배설된다. 신사구체에서는 자유로이 여과되고, 신세뇨관에서는 능동적으로 흡수또는 분비되지 않는다. 그러나 정상 신장에서 40 - 79%가 수동적으로 신세뇨관에서 간질로 이동하므로 urea clearance 검사 결과가 더 낮게 측정된다.
혈장또는 혈청 urea 농도
정상 성인 6-20mg/dl
신생아 3-25mg/dl
60세이상 8-23mg/dl
남녀간의 차이는 거의 없다. 고단백식 후에는 혈중 농도가 증가하고 소변중 배설량이 증가한다.
혈청urea농도가 신장 기능을 널리 반영할 수도 있지만 단독으로 측정하기보다는 혈청 urea농도와 혈청 creatinine 농도를 동시에 분석하여 urea/creatinine ratio를 구하여 전신성 및 후신성 요독증을 감별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정상식을 하는 정상인에서는 12-20mg/dl이며 대부분 12-16mg/dl이다. ATN, 저단백식, 기아, 심한 간장질환 등에서 낮아진다. 조직분해증가, 전신성 요독증, 고단백식, 위장관 출혈 등에서는 결과치가 높고 혈청 creatinine 농도는 정상이다. 이 결과치가 높고 동시에 혈청 creatinine도 높은 경우는 신장질환과 동반된 후신성 폐쇄증이나 전신성 요독증이며 혈청 creatinine농도도 높다.
urea clearance는 식사 또는 간기능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GFR측정에는 유용하지 못하며, back-diffusion때문에 혈장 및 소변 중의 urea농도 변화가 다양하다
Urea는 효소법(urease 와 glutamate dehydrogenase 이용) 을 응용한 간접법과 직접화학법을 이용하지만 대부분 효소법을 이용
■ Creatinine 및 Creatine
creatine은 신장, 간, 췌장 등에서 생성되어 근육, 뇌 등으로 이동하여 고에너지성 phosphocreatine이 된다. 근육에서는 phosphocreatine과 creatine이 근 수축에 관여하며, 하루 1-2% 정도 생성되는 free creatine은 비가역적으로 creatinine으로 변환된다. 생성된 creatinine은 신장에서 배설되고 신세뇨관에서는 거의 흡수되지 않는다. 매일 생성되는 creatinine양은 근육총량의 영향을 받으므로 개체내 일간 변동은 거의 없고 혈충 creatinine 농도도 매우 좁은 범위 내에서 거의 일정하다. 정상인에서 Jaff 법으로 측정한 혈청 creatinine 농도는 남자에서 0.9-1.3mg/dL 이고, 여자에서 0.6-1.1 mg/dL 이다. ARF에서는 4-6mg/dL이고, 치료하지 않은 만성신부전에서는 10mg/dL을 넘는다. 소변 creatinine 배설량은 남자에서 14-26mg/kg/day이고, 여자에서 11-20mg/
키워드
추천자료
익스트림 스포츠 - BMX(Bicycle Stunt Riding :자전거묘기)를 즐기는 사람들에 관한 관찰 보고서
B형 간염바이러스란 무엇인가??
ICU 실습자료
인사이더
플라톤 '소피스테스'의 분리기술에 대하여
TCP 정리와 OPNET 논문 분석및 실습
영화 도가니의 줄거리와 장애아동 대상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대책
디마케팅(Demarketing) 홈쇼핑사례분석
유럽의 비즈니스 문화
일반식도초음파
[케이스스터디][만성신부전]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만성신부전 케이스스...
김일성시기 북한 문헌에 나타난 도서관의 의미 -『김일성저작집』과 『조선중앙년감』을 중...
SSS(sick sinus syndrome) 동기능부전증후군 ppt 자료(간호 관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