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의 모든 것을 설명하려는 생물학적 결정론을 맹렬히 비판했으며 같은 맥락에서 인간의 사회현상을 생물학적 관점으로 설명한 에드워드 윌슨의 사회 생물학에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다윈주의와 사회적 다윈주의가 같은 것이 아니고 진화가 곧 진보는 아닌 것입니다. 사회적 다윈주의는 진화와 진보를 동일시하면서 독단적으로 설정한 진화 수준에 따라서 인간과 문화 집단에 등급을 매기고 지구와 함께 살아가는 100만종이 넘는 다른 생물들에게 동료의식을 갖기보다는 그들을 지배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믿음을 부채질해왔습니다. 이 책을 읽고 다윈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이 현재 생물체 중에서 가장 우월한 종이라고는 하지만 환경이 어떻게 변하냐에 따라 어떻게 될지는 모르는 일이고 그렇기 때문이 우리도 우월한 종은 아니라고 느꼈습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9·11 사태 이후 미국의 안보전략의 변화
피터 드러커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
축소지향의 일본인 그 이후
탄핵 그 이후의 영향들
김대중 정부 이후 한국의 복지정책
김대중 정부 이후 한국의 복지정책
20세기 후반기 이후 세계통상 환경 변화 & 국제 경쟁력 & 세계화와 영향
북한 핵실험 이후 남북관계 개선방향
영양교육실습(중년이후 여성을 위한 건강 제안)
고대 이스라엘과 교육-포로기 이후의 학교와 사회에서의 교육,여호수아와 사사들,유대교육,암...
삼풍백화점 붕괴 그 이후 (삼풍백화점 사고의 원인과 사고후의 변화, 문제점, 개선방안)
[태안 기름유출사고 이후] 태안생태계는 회복되고 있는가? - 태안 기름유출사고 실태, 태안 ...
2차 대전과 이후의 세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