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은 흉늑관절을 이루어 흉골에 연결. 제8, 9, 10 늑골은 각각 바로 위의 늑골에 부착해서 늑골궁을 형성.
- 제 11, 12 늑골을 짧고 앞끝은 관절하지 않는다.
4. 상지골
1. 어깨에는 쇄골과 견갑골이 있어 상지대를 이룸. 그 윈위에 이어진 자유상지골은 상완 골, 전완의 요골과 척골, 수근골, 8개, 중수골 5개, 지골 14개로 이루어진다.
2. 쇄골(clavicle) - 목과 가슴의 경계를 거의 수평으로 달려 견갑골에 연결된다.
3. 견갑골(scapula) - 밑변이 위로 향해 있는 삼각형을 이루고 외측각에는 견관절의 관절 와 glenoid fossa 형성된다.
4. 상완골(bumerus) - 견갑골과의 사이에 견관절 shoulder joint를 이룸.
5. 요골(radius), 척골(ulnar)와 상완골이 만나 주관절 elbow joint를 이룬다.
5. 골반 Pelvis - 천골 및 미골과 좌, 우의 관골로 이루어진다.
6. 자유하지골 - 대퇴골, 슬개골, 경골, 비골 그리고 7개의 족근골, 5개의 중족골, 14개의 지골로 이루어진다.
1. 대퇴골두는 관골과 고관절 hip joint을 이룬다.
2. 슬개골(patella)은 대퇴사두근건 속에 있는 골로 슬관절 형성에 참여.
3. 슬관절(knee joint)은 대퇴골, 슬개골 및 경골로 이루어진다.
(2)뼈 조직의 구조
뼈는 결합조직이기 때문에 기질과 세포로 구성된다.
골기질은 주로 탄산칼슘과 칼슘, 인 등의 무기염류로 채워진 교원섬유들이 그물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뼈가 강하고 단단한 것은 뼈가 섬유와 무기질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뼈를 만드는 세포를 골세포라 하며 기질내에 존재한다. 뼈조직은 해면골과 치밀골로 되어있으며 해면골은 구멍이 많아서 스펀지와 비슷하다. 뼈의 공간에는 적골수가 들어있다.
치밀골은 해면골보다 구멍이 작으며, 장골의 골간과 해면골의 보호층을 형성한다.
(3)뼈의 성장과 전환
뼈는 골단판에서 생성한다. 장골이 성장할 때는 장골의 연골세포가 골단판 내에서 빠르게 증식하고 점차 뼈세포로 대치되는데 이를 골화과정이라 한다. 재구성과정이란 뼈의 선택적인 흡수와 형성을 말하며, 골단을 일정한 크기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뼈의 길이가 길어질 때 일어난다.
뼈의 형성과 재구성은 뼈에 적절한 자극이 가해질 때 일어난다. 그러므로 장기간 침상안정을 하면 뼈에 가해지는 힘이 약화되어 뼈의 형성과 재구성이 적절하지 못하게 된다.
(4)뼈의 혈액순환 및 신경지배
혈액은 다음의 세 통로를 통해 뼈로 공급된다.
-치밀골 속의 혈관통로인 하버스관속에 있는 세동맥
-골막에 위치하는 혈관 : 이 혈관은 볼크만 관이라 불리는 구조를 통해 뼈에 혈액을 공급한 다.
-골수의 혈관과 뼈 말단의 혈관 : 영양을 공급하는 동맥, 골막, 또는 골 자체의 손상이 있 으면 뼈에는 골막내에 감각신경말단이 분포되어 있고 이 는 중추신경계와 연결되어 있다.
2. 관절의 구조와 기능
(1) 부동결합 : 2개의 골이 인대나 연골로 연결되는 것
- suture : 두개골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톱니모양의 가장자리가 서로 물려 고정된 결 합. 2개의 골 사이에 끼어있는 결합조직이나 연골이 골화되면 골은 완전히 융합되어 버린다.
(2) 관절 Joint
① 관절의 구조
1. 골면 : 얇은 초자연골, 즉 관절연골로 덮여있고 보통 한쪽은 관절두, 다른 쪽은 관절와 를 이룬다.
2. 관절낭 : 내면은 활막이라고 하는 매끄러운 막으로 이루어지고 외면은 치밀결합조직으 로 형성되어 있다. 그 주위에는 인대가 있어 관절낭을 보강한다.
3. 관절강 : 관절의 양면 사이의 공간으로 그 속에 소량의 활액이 들어있다.
4. 고관절에서는 관절두의 앞끝과 관절와를 직접 연결하는 관절내 인대가 존재한다.
5. 관절 사이에는 골의 표면에 골막이 없는 것이 많고 이와 같은 곳에서 골절이 일어나면 골의 재생이 잘 안되어 치유가 어렵다.
(3) 관절의 종류
1. 단순관절 : 2개의 골로 이루어진 것
2. 복관절 : 3개 이상의 골로 이루어진 것
- 슬관절 : 대퇴골, 경골, 슬개골
- 주관절 : 상완골, 요골, 척골
(4) 관절의 운동
1. 굴곡(flextion) : 골격의 장축을 구부리는 운동
2. 신전(extension) : 펴는 운동
3. 회전(rotation) : 장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운동
4. 외전(abduction) : 전후축을 회전축으로 해서 정중선으로부터 멀어지는 운동
5. 내전: adduction : 정중선으로부터 가까워지는 운동
6. 회선(circumduction) : 한쪽 끝을 중심으로 해서 다른 쪽 끝으로 원을 그리는 운동신체 의 관절은 3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유합관절 : 움직이지 않는 관절(예-두개골의 봉합)
긴밀관절 : 약간 움직일 수 있는 관절(예-치골결합)
가동관절 :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관절(예-무릎과 고관절)
3. 골격근의 구조와 기능
-골격근의 수축은 뼈를 움직이는데 필수적이다. 뼈는 지렛대로서 작용하고 관절은 지렛목을 회전시키며 근육은 지렛대를 움직이는데 힘을 제공한다.
-몸의 자세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근육의 긴장은 신체를 바로 서 있게 하고, 활동과 자세를 취하게 해준다.
-사람이 추위를 느끼면, 골격근은 작고 빠르게 수축하여 오한을 일으키고 열을 생산한다.
(1) 골격근의 움직임
골격근은 건에 의해 각 뼈의 끝에 고정되어 있다. 근육은 관절 전반에 뻗어 있으며, 근육이 부착된 곳 중 움직이기 어려운 부위를 기시점이라 부르고, 움직이기 쉬운 부위를 착점이라 부른다. 근육이 수축할 때 한 뼈는 비교적 안정상태에 있어서 다른 뼈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한다. 대부분의 골격근은 집단으로 움직인다. 주 운동근은 수축을 일으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근육이며 협력근은 주 운동근을 도와서 함께 일하는 근육이다. 길항근은 수축하는 동안 인완하거나 반대효과를 나타내는 근육이다. 팔을 굴곡 시키면 상완이두근이 주 운동근으로 작용하고, 상완삼두근은 이완하여 길항근으로 작용한다. 팔을 신전시키면 이러한 이두근과 삼두근의 역할은 바뀐다.
-수축의 형태 : 골격근의 크기와 모양은 길고 얇은 것으로부터
- 제 11, 12 늑골을 짧고 앞끝은 관절하지 않는다.
4. 상지골
1. 어깨에는 쇄골과 견갑골이 있어 상지대를 이룸. 그 윈위에 이어진 자유상지골은 상완 골, 전완의 요골과 척골, 수근골, 8개, 중수골 5개, 지골 14개로 이루어진다.
2. 쇄골(clavicle) - 목과 가슴의 경계를 거의 수평으로 달려 견갑골에 연결된다.
3. 견갑골(scapula) - 밑변이 위로 향해 있는 삼각형을 이루고 외측각에는 견관절의 관절 와 glenoid fossa 형성된다.
4. 상완골(bumerus) - 견갑골과의 사이에 견관절 shoulder joint를 이룸.
5. 요골(radius), 척골(ulnar)와 상완골이 만나 주관절 elbow joint를 이룬다.
5. 골반 Pelvis - 천골 및 미골과 좌, 우의 관골로 이루어진다.
6. 자유하지골 - 대퇴골, 슬개골, 경골, 비골 그리고 7개의 족근골, 5개의 중족골, 14개의 지골로 이루어진다.
1. 대퇴골두는 관골과 고관절 hip joint을 이룬다.
2. 슬개골(patella)은 대퇴사두근건 속에 있는 골로 슬관절 형성에 참여.
3. 슬관절(knee joint)은 대퇴골, 슬개골 및 경골로 이루어진다.
(2)뼈 조직의 구조
뼈는 결합조직이기 때문에 기질과 세포로 구성된다.
골기질은 주로 탄산칼슘과 칼슘, 인 등의 무기염류로 채워진 교원섬유들이 그물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뼈가 강하고 단단한 것은 뼈가 섬유와 무기질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뼈를 만드는 세포를 골세포라 하며 기질내에 존재한다. 뼈조직은 해면골과 치밀골로 되어있으며 해면골은 구멍이 많아서 스펀지와 비슷하다. 뼈의 공간에는 적골수가 들어있다.
치밀골은 해면골보다 구멍이 작으며, 장골의 골간과 해면골의 보호층을 형성한다.
(3)뼈의 성장과 전환
뼈는 골단판에서 생성한다. 장골이 성장할 때는 장골의 연골세포가 골단판 내에서 빠르게 증식하고 점차 뼈세포로 대치되는데 이를 골화과정이라 한다. 재구성과정이란 뼈의 선택적인 흡수와 형성을 말하며, 골단을 일정한 크기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뼈의 길이가 길어질 때 일어난다.
뼈의 형성과 재구성은 뼈에 적절한 자극이 가해질 때 일어난다. 그러므로 장기간 침상안정을 하면 뼈에 가해지는 힘이 약화되어 뼈의 형성과 재구성이 적절하지 못하게 된다.
(4)뼈의 혈액순환 및 신경지배
혈액은 다음의 세 통로를 통해 뼈로 공급된다.
-치밀골 속의 혈관통로인 하버스관속에 있는 세동맥
-골막에 위치하는 혈관 : 이 혈관은 볼크만 관이라 불리는 구조를 통해 뼈에 혈액을 공급한 다.
-골수의 혈관과 뼈 말단의 혈관 : 영양을 공급하는 동맥, 골막, 또는 골 자체의 손상이 있 으면 뼈에는 골막내에 감각신경말단이 분포되어 있고 이 는 중추신경계와 연결되어 있다.
2. 관절의 구조와 기능
(1) 부동결합 : 2개의 골이 인대나 연골로 연결되는 것
- suture : 두개골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톱니모양의 가장자리가 서로 물려 고정된 결 합. 2개의 골 사이에 끼어있는 결합조직이나 연골이 골화되면 골은 완전히 융합되어 버린다.
(2) 관절 Joint
① 관절의 구조
1. 골면 : 얇은 초자연골, 즉 관절연골로 덮여있고 보통 한쪽은 관절두, 다른 쪽은 관절와 를 이룬다.
2. 관절낭 : 내면은 활막이라고 하는 매끄러운 막으로 이루어지고 외면은 치밀결합조직으 로 형성되어 있다. 그 주위에는 인대가 있어 관절낭을 보강한다.
3. 관절강 : 관절의 양면 사이의 공간으로 그 속에 소량의 활액이 들어있다.
4. 고관절에서는 관절두의 앞끝과 관절와를 직접 연결하는 관절내 인대가 존재한다.
5. 관절 사이에는 골의 표면에 골막이 없는 것이 많고 이와 같은 곳에서 골절이 일어나면 골의 재생이 잘 안되어 치유가 어렵다.
(3) 관절의 종류
1. 단순관절 : 2개의 골로 이루어진 것
2. 복관절 : 3개 이상의 골로 이루어진 것
- 슬관절 : 대퇴골, 경골, 슬개골
- 주관절 : 상완골, 요골, 척골
(4) 관절의 운동
1. 굴곡(flextion) : 골격의 장축을 구부리는 운동
2. 신전(extension) : 펴는 운동
3. 회전(rotation) : 장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운동
4. 외전(abduction) : 전후축을 회전축으로 해서 정중선으로부터 멀어지는 운동
5. 내전: adduction : 정중선으로부터 가까워지는 운동
6. 회선(circumduction) : 한쪽 끝을 중심으로 해서 다른 쪽 끝으로 원을 그리는 운동신체 의 관절은 3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유합관절 : 움직이지 않는 관절(예-두개골의 봉합)
긴밀관절 : 약간 움직일 수 있는 관절(예-치골결합)
가동관절 :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관절(예-무릎과 고관절)
3. 골격근의 구조와 기능
-골격근의 수축은 뼈를 움직이는데 필수적이다. 뼈는 지렛대로서 작용하고 관절은 지렛목을 회전시키며 근육은 지렛대를 움직이는데 힘을 제공한다.
-몸의 자세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근육의 긴장은 신체를 바로 서 있게 하고, 활동과 자세를 취하게 해준다.
-사람이 추위를 느끼면, 골격근은 작고 빠르게 수축하여 오한을 일으키고 열을 생산한다.
(1) 골격근의 움직임
골격근은 건에 의해 각 뼈의 끝에 고정되어 있다. 근육은 관절 전반에 뻗어 있으며, 근육이 부착된 곳 중 움직이기 어려운 부위를 기시점이라 부르고, 움직이기 쉬운 부위를 착점이라 부른다. 근육이 수축할 때 한 뼈는 비교적 안정상태에 있어서 다른 뼈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한다. 대부분의 골격근은 집단으로 움직인다. 주 운동근은 수축을 일으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근육이며 협력근은 주 운동근을 도와서 함께 일하는 근육이다. 길항근은 수축하는 동안 인완하거나 반대효과를 나타내는 근육이다. 팔을 굴곡 시키면 상완이두근이 주 운동근으로 작용하고, 상완삼두근은 이완하여 길항근으로 작용한다. 팔을 신전시키면 이러한 이두근과 삼두근의 역할은 바뀐다.
-수축의 형태 : 골격근의 크기와 모양은 길고 얇은 것으로부터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 심장의 구조와 기능
성인간호학 - 고혈압
성인간호학 - 맥관계 건강문제와 간호
성인간호학 - 심장종양과 간호
성인간호학 - 후천성 판막질환과 간호
성인간호학 폐렴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성인간호학 외과 실습 신생물 간호과정 neoplasm case study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실습 폐렴(pneumonia)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실습- 갑상선암 케이스 ,Thyroid cancer ,간호사례연구
성인간호학 - 승모판협착증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요약 - 대장 및 소장장애
성인간호학4공통)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
성인간호학// 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