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복지확충을 위해 필요한 세수 규모에 관한 논의
공약가계부 / 인수위원회의 공약
II. 우리나라 조세 구조
부가가치세 / 법인세 / 소득세
III. 비과세·감면에 대한 논의
감면 규모와 정비 / 가능성
IV. 지하경제 양성화에 대한 논의
규모 추정 / 가능성
V. 추가적인 세수 증대 방안
법인세 / 부가가치세 / 소득세
VI. 결론
공약가계부 / 인수위원회의 공약
II. 우리나라 조세 구조
부가가치세 / 법인세 / 소득세
III. 비과세·감면에 대한 논의
감면 규모와 정비 / 가능성
IV. 지하경제 양성화에 대한 논의
규모 추정 / 가능성
V. 추가적인 세수 증대 방안
법인세 / 부가가치세 / 소득세
VI. 결론
본문내용
공약가계부에 대한 검토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재정지원 실천 계획에 대한 검토
05월 31일 국가정책조정회의, “공약 가계부” 발표
140개 국정과제 실천 계획
세액 감면 축소·지하경제 양성화를 통한 세액 확충
세출 절감 84.1조 + 세액 확충 50.7조
.
.
.
비과세·감면 정비의 실현 가능성
폐지 대상 : 향후 3년 간 일몰이 도래하는 비과세·감면
원칙에 의해 모두 폐지할 경우, 42.6조 ~ 46.6조 확보
문제 : 경직적 항목 다수 존재
(근로자 소득공제, 기부금 공제, 농림어업 공제 등)
이 항목들을 제외할 경우, 약 3조 원 확보
출처 :김학수, 「비과세·감면제도 정비를 통한 세수확보 방안」, 2013
정부의 계획 : 15조 원 확보 기대
.
.
.
지하경제
지하경제 추계 방법
직접추계 : 표본 조사 (설문조사 + 세무조사)
간접추계 : 통화 간 괴리 측정, 통화지표 사용방법
모형추계 : DYMIMIC 모형
DYMIMIC 모형
지하경제의 광범위한 정의
: 합법적 시장 거래 활동 중 통계에 잡히지 않는 모든 경제활동
지하경제를 설명하는 원인변수와 지하경제 반영하는 지시변수 간의 구조 방정식 형성
원인변수 : 조세 사회보장기여금, 각종 규제, 공공서비스, 공식적인 경제 지표
지시변수 : 통화량, 노동시장지표, 공식적인 경제 지표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재정지원 실천 계획에 대한 검토
05월 31일 국가정책조정회의, “공약 가계부” 발표
140개 국정과제 실천 계획
세액 감면 축소·지하경제 양성화를 통한 세액 확충
세출 절감 84.1조 + 세액 확충 50.7조
.
.
.
비과세·감면 정비의 실현 가능성
폐지 대상 : 향후 3년 간 일몰이 도래하는 비과세·감면
원칙에 의해 모두 폐지할 경우, 42.6조 ~ 46.6조 확보
문제 : 경직적 항목 다수 존재
(근로자 소득공제, 기부금 공제, 농림어업 공제 등)
이 항목들을 제외할 경우, 약 3조 원 확보
출처 :김학수, 「비과세·감면제도 정비를 통한 세수확보 방안」, 2013
정부의 계획 : 15조 원 확보 기대
.
.
.
지하경제
지하경제 추계 방법
직접추계 : 표본 조사 (설문조사 + 세무조사)
간접추계 : 통화 간 괴리 측정, 통화지표 사용방법
모형추계 : DYMIMIC 모형
DYMIMIC 모형
지하경제의 광범위한 정의
: 합법적 시장 거래 활동 중 통계에 잡히지 않는 모든 경제활동
지하경제를 설명하는 원인변수와 지하경제 반영하는 지시변수 간의 구조 방정식 형성
원인변수 : 조세 사회보장기여금, 각종 규제, 공공서비스, 공식적인 경제 지표
지시변수 : 통화량, 노동시장지표, 공식적인 경제 지표
추천자료
전자정부의 비전
노무현정부의 지방분권화를 위한 과제 - 경찰자치,교육자치,특별행정기관을 중심으로
정부혁신의 길
정부부문 회계의 효율성과 투명성 제고를 위한 복식부기도입의 확대
정부투자기관
전자정부사업의 성공적운영을 위한 기반기술관련 정책분석과 전략
[산업조직][조직]조직 정의, 산업조직 개요, 산업조직 발전, 김치산업조직, 전자상거래산업조...
정부혁신 정부지식관리시스템(민간기업의 지식경영)
정부혁신의 기본 방향
전자정부에서의_행정윤리
[비정규직 해결방안] 비정규직의 개념,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의 필요성, 공공부문 ...
정부 3.0 - 행정 이론적 평가 및 통계청 사례를 중심으로
역대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자치경찰제 추진경과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