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분석(주식투자, 증권투자, 기술적분석이론정리, 용어정리) 이론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술적분석(주식투자, 증권투자, 기술적분석이론정리, 용어정리) 이론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다면 매도신호입니다.
[소나 모멘텀의 0선 돌파] 디지아이의 소나차트를 보면 2002년 1월 중순에 소나 모멘텀이 0선을 동파하여 매수신호를 보내고 있고, 이후 상승하던 소나 모멘텀이 4월 중순에 0선을 하향 돌파하여 매도신호를 보내고 있다.
윌리엄 %R
1.개념: 윌리엄%R(William %R)은 스토캐스틱에서 파생된 기법으로 래리 윌리엄(Lary William)이 10일 스토캐스틱을 이용하여 처음 개발, 사용하였습니다. 윌리엄%R은 스토캐스틱처럼 최근 기간의 가격변동폭에 기반을 둔 기본적 K를 응용하여 사용합니다. 또한 과도매입과 과도매도의 상태를 잘 반영하여 ‘윌리엄의 과도매입 과도매도 지표(William’s Overbought/Oversold Index)라 불리기도 합니다.
※TIP: 윌리엄%R지표의 내용은 일정 기간 중에 최고가와 최저가를 중심축으로 해서 현재가가 중심축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로 표시한 것으로서 주가의 천정권 및 바닥권을 판단하는데 유용한 투자지표입니다.
2.계산방법: 윌리엄%R은 기본적K를 계산하는 분자부분에 있어 스토캐스틱과 다른 모습을 갖습니다.
윌리엄%R = (최근 n일 중 최고가 - 당일종가)/(최근 n일 중 최고가 - 최근 n일 중 최저가) * 100 (단, 최고가, 최저가는 종가기준이 아닌 장중 최고가,최저가임)
3.매매기법: 윌리엄%R은 주로 과도매입과 과도매도의 지표로 이용되는데 다음과 같이 스토캐스틱과 상반된 지표의 의미를 갖습니다.
매도: 윌리엄%R < 20 → 과도매입(과열), 매수: 윌리엄%R > 80 → 과도매도(침체)
※TIP: 윌리엄%R지표는 일반적으로 약세시장보다는 강세시장에서 유용하며 개별종목 보다는 업종별 매매신호 판단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윌리엄%R을 이용한 투자전략] 윌리엄%R을 이용한 가장 보편적인 매매기법이 과도매입/과도매도를 판별하여 거래하는 것이다. 증권업종 지수의 일봉차트를 보면 과도매입(20%이하) 국면과 과도매도(80%이상)국면을 확인할 수가 있어 이를 매매에 활용하면 높은 수익을 시현할 수가 있다.
추세지표
증권시장은 크게 추세적 시장(Trend Market)과 비추세적 시장(Non-Trend Market)의 두 가지 국면으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추세적 시장은 시장이 강세이든 약세이든 추세를 가지고 있는 시장을 말하며 비추세적 시장은 시장가격이 일정한 방향성 없이 움직이는 횡보장세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현재의 시장이 추세적 시장인지 비추세적 시장인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투자전략이 크게 달라질 수가 있습니다.
DMI (Directional Movement Index)
1.개념: 웰레스 윌더(J. Welles Wilder. Jr)가 시장이 추세를 가지고 있는 지를 판별하기 위해 개발한 DMI는 개별적으로 사용할 때도 유용성이 높은 지표이지만 이를 이동평균한 ADX(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와 병행하여 투자에 이용하면 신뢰성은 더욱 높아집니다. DMI의 계산은 다음과 같은 단순한 가정에서 출발합니다.
* 시장이 상승추세일때 당일고가는 전일고가보다 높아야 한다.
* 시장이 하락추세일때 당일저가는 전일저가보다 낮아야 한다
2. 계산방법:
TR(True Range를 n일 동안 이동평균한 값)은 주가의 등락이 심한 국면에서는(상승이든 하락이든) 높게 나타나고, 횡보국면에서는 TR이 낮게 나타납니다. 결국 +DI는 상승추세를 DI는 하락추세를 나타내는 대표값의 의미를 갖습니다.
3. 매매기법: +DI는 실질적으로 상승하는 폭의 비율(%)이며, -DI는 실질적으로 하락하는 폭의 비율(%)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DI와 -DI가 같다는 것은 시장의 흐름이 균형상태임을 의미하고 +DI가 -DI보다 크면 클수록 상승탄력성은 크고 +DI가 DI보다 작으면 작을수록 하락탄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DI가 -DI를 상향돌파할 때가 추세가 상승세로 돌아서는 매수타이밍이며, +DI가 DI를 하향돌파할 때가 추세가 하락세로 전환되는 매도타이밍이 됩니다. 절대값으로 표시되어 항상(+)값을 갖는 DI가 가지는 또 하나의 의미는 추세방향성의 비율입니다. 즉, 만약 +DI가 40%이고-DI가 35%라면 일정기간 동안 추세가 40%상승하였고 35%는 하락하였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나머지 25%(40+35=75, 100-75=25)는 시장흐름이 불분명하게 비추세적으로 움직였음을 의미합니다.
※TIP: 일반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DMI > -DMI: 장세기조가 강하다 / +DMI < -DMI: 장세기조가 약하다 / +DMI가 -DMI를 상향돌파시 매수시점, 하향돌파시 매수시점으로 한다 / +DMI지표가 쌍바닥(매수신호) 또는 쌍봉(매도신호) 형성시 매매에 보다 적기로 여긴다 / +DMI가 -DMI보다 위에 있을 경우 중장기전략, 반대일 경우 단타전략이 필요하다.
[+DI와 -DI의 교차] SFA의 차트를 보면 2002년 1월중순에 +DI가 DI를 상향돌파하는 매수신호가 발생한 후 추세적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4월하순 +DI가 -DI를 하향돌파하는 매도신호를 발생한 이후 약세추세를 계속 나타내고 있다.
ADX (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
1.개념: DMI와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웰레스 윌더(J. Welles Wilder, Jr)이 개발하였습니다. DMI가 상승이나 하락추세시 상승폭과 하락폭의 비율을 알아내어 추세변화를 찾아내는 기법이라면 ADX는 +DI와 DI의 합과 차이를 이용하여 통합한 시장추세를 측정하는 단일지표입니다. ADX는 시장흐름에 추세가 있는지를 그것이 상승추세든 하락추세든 보여주는 ‘추세의 존재’에 대한 판별기법입니다.
2.매매기법:
ADX가 상승할 때 ADX가 상승하고 있다는 것은 어느 방향이든 추세가 형성되어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때는 ADX 하나만을 단독으로 매매지표로 삼지말고 이동평균법과 같은 추세추종적 지표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ADX가 상승할 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DMI의 움직임입니다. 만약 ADX가 상승하고 있을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14.08.24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46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