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증상 및 식이 원칙, 증상별 식이 요법 실제
2. 허용 식품 및 조리법
3. 1일 영양기준
4. 1일 식품 구성 및 끼니별 배분(식품교환단위)
5. 식단작성
6. 식품구입량(순식품량 × 출고계수)
7. 만드는 방법
8. 증상별 식단예
2. 허용 식품 및 조리법
3. 1일 영양기준
4. 1일 식품 구성 및 끼니별 배분(식품교환단위)
5. 식단작성
6. 식품구입량(순식품량 × 출고계수)
7. 만드는 방법
8. 증상별 식단예
본문내용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부드럽게 조리한 육류, 생선, 밥 또는 죽, 감자, 소화되기 쉽게 요리한 채소 등은 환자들이 잘 섭취할 수 있는 음식이다. 염증이 매우 심한 경우에는 장을 쉬게 하기 위해 금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elemental diet를 사용해 볼 수도 있다.
급성 염증 반응이 가라앉아 증상이 개선되면 2 - 3일 마다 한, 두 가지의 새로운 음식을 추가하여 그 반응을 살피도록 한다. 관해기에는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여 표준체중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관해기에는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증상의 악화를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고, 악화되더라도 그 정도가 덜 심하다는 보고가 있다.
지방이 많은 육식은 하지 않도록 하고 유제품, 자극이 강한 향신료, 알콜, 커피 탄산음료, 섬유가 많은 채소류 등은 피한다.
금기식품 : 우유, 천연버터, 요구르트, 치즈, 프림, 케이크, 생크림, 크림 수프
피해야할 식품 : 섬유소가 많은 채소, 과일 : 고사리, 고비, 표고버섯, 생강, 죽순, 감, 배, 샐러리, 소화하기 힘든 식품(문어, 오징어, 해조류), 가스발생 식품(콩제품), 장관연동을 증가시키는 자극제품(커피, 알콜, 향신료), 아주 뜨겁거나 찬 음식
만성궤양성대장염
▷ 설사가 심한 중증의 경우는 완전 정맥영양 보급을 한다.
▷ 설사 등 급성 복부증상이 없고 환자가 견딜 만하면 경구로 섭취한다.
▷ 영양가가 높고 섬유소와 지방이 적은 식품을 택하여 비타민과 무기질의 보급에 주의한다.
▷ 식사요법의 의의는 별로 크지 않지만 배변횟수와 배변시 통증을 줄이기 위해식사 중 잔사와 섬유소를 제한한다.
▷ 고열량, 고단백, 저잔사, 저지방식으로 염증의 치료와 영양 결핍상태를 개선한다.
▷ 소량씩 하루 6회 이상의 잦은 식사로 장내 자극은 줄이면서 영양소 흡수는 최대한으로 한다.
▷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여 설사로 인한 탈수를 막는다.
▷ 지방변이 보이면 지방을 제한하고 MCT와 보충제를 이용하여 부족되는 열량을 보충한다.
▷ 과일과 야채주스는 연동운동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제한한다.
▷ 커피, 알콜, 향신료는 피하는 것이 좋다.
크론병
▷ 전신 및 장관의 안정을 유지하고 영양결핍을 개선하기 위해서 궤양성 대장염에서와 마찬가지로 고열량, 고단백, 저지방, 저잔사식을 공급한다.
▷ 염증성 장질환에서는 신결석이 생기기 쉬우므로 식사 중 지방과 유당, 수산 등을 제한한다.
▷ 배변횟수와 배변시 통증을 줄이기 위해 잔사와 섬유소를 제한하지만 증상이 가라앉으며 빨리 일반식으로 이행한다.
▷ 비타민B12, 엽산, 칼슘, 마그네슘, 아연 등의 손실이 증가하므로 비타민 및 무기질의 보충이 필요하다.
2. 허용 식품 및 조리법
염증성 장 질환 때 도움이 되는 특별한 음식은 없으며, 등 푸른 생선에서 추출한 생선유가 어느 정도의 효과를 보인다는 보고가 있어 생선은 많이 먹는 것이 낫지만, 이보다는 충분한 영양 공급과 균형 잡힌 식이가 더 중요하다.
곡 류 군: 정제된 빵, 흰밥, 찹쌀밥, 국수, 찹쌀밥, 식빵, 으깬 감자
어육류군: 부드러운 고기, 달걀 연한쇠고기, 돼지고기, 두부, 닭고기(껍질제외), 생선(껍질제외)
채 소 군: 통조림 야채, 야채쥬스 잘 익힌 시금치, 애호박, 당근, 숙주, 양송이, 가지(껍질제외), 양상치,
과 일 군: 과일 쥬스(오얏쥬스제외) 잘 익은 바나나, 과일통조림(복숭아, 포도 등),
유제품: 요플레(딸기제외), 푸딩, 아이스크림(과일, 땅콩제외), 두유
생과일, 말린과일
지방류: 식용유, 참기름, 들기름, 버터, 마가린, 마요네즈
조미료: 소금, 간장, 식초, 설탕, 꿀, 물엿
3. 금지 식품 및 조리법
우유, 천연버터, 요구르트, 치즈, 프림, 케이크, 생크림, 크림 마가린,
섬유소가 많은 채소, 과일 : 고사리, 고비, 표고버섯, 생강, 죽순, 감, 배, 샐러리, 소화하기 힘든 식품(문어, 오징어, 해조류), 가스발생 식품(콩제품), 장관연동을 증가시키는 자극제품(커피, 알콜,향신료), 아주 뜨겁거나 찬 음식 오렌지, 레몬, 과일 쥬스, 시거나 맵고 짠 음식, 기름진 음식,
곡 류 군: 전곡류, 콩류, 고구마, 옥수수, 통밀빵, 팝콘, 미싯가루 보리, 현미, 율무, 팥 등 잡곡류, 고구마밥, 통밀빵, 포테토칩, 팝콘
어육류군: 질긴고기나 결체조직, 햄류, 조개류, 비지
채 소 군: 말린나물 모든 생채소(양상치제외), 허용식품 이외의 채소(도라지, 근대, 더덕, 연근, 고사리, 콩나물, 우엉 등), 건조된 채소(무말랭이, 건호박 등), 해조류(김, 미역, 다시마, 파래 등)
지 방 군: 견과류, 종자류, 땅콩버터
우 유 군: 과일, 견과류가 함유된 유제품
과 일 군: 모든 생과일(바나나 제외)건조된 과일(대추, 곶감, 건포도 등)
지방류: 샐러드 드레싱, 깨, 땅콩버터,견과류(땅콩, 호두, 잣, 아몬드)
조미료: 과량의 된장, 고추장, 고춧가루, 겨자 등
아침
쌀밥 감자국 연두부찜 애호박나물 양송이볶음 물김치국물
점심
쌀밥 맑은된장국 불고기 콩나물 무침 양상치샐러드 물김치국물 오렌지 쥬스
저녁
쌀밥 계란국 가자미찜 시금치나물 가지나물 물김치국물 두유
3. 1일 영양기준
열량 2100-kcal, 당질 340g, 단백질 84g, 지방 50g
식품군
교환단위
당(g)
단백질(g)
지방(g)
열량(Kcal)
곡 류
13
299
26
-
1365
어륙류
저
2
-
16
4
100
중
3
-
24
15
225
고
-
-
-
-
-
채소류
6
18
12
-
120
지 방
5
-
-
25
225
우 유
1
11
6
6
125
과 일
1
12
-
-
50
계
340
84
50
2145
4. 1일 식품 구성 및 끼니별 배분(식품교환단위)
교환단위수
아침
간식
점심
간식
저녁
열량(Kcal)
곡 류
13
5
4
4
1365
어륙류
저
2
0
1
1
100
중
3
1
1
1
225
고
채 소
6
2
2
2
120
지 방
5
1.5
2
1.5
225
우 유
1
1
125
과 일
1
1
50
열량계
682.5
705
757.5
2145
%
31.8
32.8
35.3
100
5. 식단작성
구분
식단
재료
분량 (g)
교환단위수
열량 (kcal)
당질 (g)
급성 염증 반응이 가라앉아 증상이 개선되면 2 - 3일 마다 한, 두 가지의 새로운 음식을 추가하여 그 반응을 살피도록 한다. 관해기에는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여 표준체중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관해기에는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증상의 악화를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고, 악화되더라도 그 정도가 덜 심하다는 보고가 있다.
지방이 많은 육식은 하지 않도록 하고 유제품, 자극이 강한 향신료, 알콜, 커피 탄산음료, 섬유가 많은 채소류 등은 피한다.
금기식품 : 우유, 천연버터, 요구르트, 치즈, 프림, 케이크, 생크림, 크림 수프
피해야할 식품 : 섬유소가 많은 채소, 과일 : 고사리, 고비, 표고버섯, 생강, 죽순, 감, 배, 샐러리, 소화하기 힘든 식품(문어, 오징어, 해조류), 가스발생 식품(콩제품), 장관연동을 증가시키는 자극제품(커피, 알콜, 향신료), 아주 뜨겁거나 찬 음식
만성궤양성대장염
▷ 설사가 심한 중증의 경우는 완전 정맥영양 보급을 한다.
▷ 설사 등 급성 복부증상이 없고 환자가 견딜 만하면 경구로 섭취한다.
▷ 영양가가 높고 섬유소와 지방이 적은 식품을 택하여 비타민과 무기질의 보급에 주의한다.
▷ 식사요법의 의의는 별로 크지 않지만 배변횟수와 배변시 통증을 줄이기 위해식사 중 잔사와 섬유소를 제한한다.
▷ 고열량, 고단백, 저잔사, 저지방식으로 염증의 치료와 영양 결핍상태를 개선한다.
▷ 소량씩 하루 6회 이상의 잦은 식사로 장내 자극은 줄이면서 영양소 흡수는 최대한으로 한다.
▷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여 설사로 인한 탈수를 막는다.
▷ 지방변이 보이면 지방을 제한하고 MCT와 보충제를 이용하여 부족되는 열량을 보충한다.
▷ 과일과 야채주스는 연동운동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제한한다.
▷ 커피, 알콜, 향신료는 피하는 것이 좋다.
크론병
▷ 전신 및 장관의 안정을 유지하고 영양결핍을 개선하기 위해서 궤양성 대장염에서와 마찬가지로 고열량, 고단백, 저지방, 저잔사식을 공급한다.
▷ 염증성 장질환에서는 신결석이 생기기 쉬우므로 식사 중 지방과 유당, 수산 등을 제한한다.
▷ 배변횟수와 배변시 통증을 줄이기 위해 잔사와 섬유소를 제한하지만 증상이 가라앉으며 빨리 일반식으로 이행한다.
▷ 비타민B12, 엽산, 칼슘, 마그네슘, 아연 등의 손실이 증가하므로 비타민 및 무기질의 보충이 필요하다.
2. 허용 식품 및 조리법
염증성 장 질환 때 도움이 되는 특별한 음식은 없으며, 등 푸른 생선에서 추출한 생선유가 어느 정도의 효과를 보인다는 보고가 있어 생선은 많이 먹는 것이 낫지만, 이보다는 충분한 영양 공급과 균형 잡힌 식이가 더 중요하다.
곡 류 군: 정제된 빵, 흰밥, 찹쌀밥, 국수, 찹쌀밥, 식빵, 으깬 감자
어육류군: 부드러운 고기, 달걀 연한쇠고기, 돼지고기, 두부, 닭고기(껍질제외), 생선(껍질제외)
채 소 군: 통조림 야채, 야채쥬스 잘 익힌 시금치, 애호박, 당근, 숙주, 양송이, 가지(껍질제외), 양상치,
과 일 군: 과일 쥬스(오얏쥬스제외) 잘 익은 바나나, 과일통조림(복숭아, 포도 등),
유제품: 요플레(딸기제외), 푸딩, 아이스크림(과일, 땅콩제외), 두유
생과일, 말린과일
지방류: 식용유, 참기름, 들기름, 버터, 마가린, 마요네즈
조미료: 소금, 간장, 식초, 설탕, 꿀, 물엿
3. 금지 식품 및 조리법
우유, 천연버터, 요구르트, 치즈, 프림, 케이크, 생크림, 크림 마가린,
섬유소가 많은 채소, 과일 : 고사리, 고비, 표고버섯, 생강, 죽순, 감, 배, 샐러리, 소화하기 힘든 식품(문어, 오징어, 해조류), 가스발생 식품(콩제품), 장관연동을 증가시키는 자극제품(커피, 알콜,향신료), 아주 뜨겁거나 찬 음식 오렌지, 레몬, 과일 쥬스, 시거나 맵고 짠 음식, 기름진 음식,
곡 류 군: 전곡류, 콩류, 고구마, 옥수수, 통밀빵, 팝콘, 미싯가루 보리, 현미, 율무, 팥 등 잡곡류, 고구마밥, 통밀빵, 포테토칩, 팝콘
어육류군: 질긴고기나 결체조직, 햄류, 조개류, 비지
채 소 군: 말린나물 모든 생채소(양상치제외), 허용식품 이외의 채소(도라지, 근대, 더덕, 연근, 고사리, 콩나물, 우엉 등), 건조된 채소(무말랭이, 건호박 등), 해조류(김, 미역, 다시마, 파래 등)
지 방 군: 견과류, 종자류, 땅콩버터
우 유 군: 과일, 견과류가 함유된 유제품
과 일 군: 모든 생과일(바나나 제외)건조된 과일(대추, 곶감, 건포도 등)
지방류: 샐러드 드레싱, 깨, 땅콩버터,견과류(땅콩, 호두, 잣, 아몬드)
조미료: 과량의 된장, 고추장, 고춧가루, 겨자 등
아침
쌀밥 감자국 연두부찜 애호박나물 양송이볶음 물김치국물
점심
쌀밥 맑은된장국 불고기 콩나물 무침 양상치샐러드 물김치국물 오렌지 쥬스
저녁
쌀밥 계란국 가자미찜 시금치나물 가지나물 물김치국물 두유
3. 1일 영양기준
열량 2100-kcal, 당질 340g, 단백질 84g, 지방 50g
식품군
교환단위
당(g)
단백질(g)
지방(g)
열량(Kcal)
곡 류
13
299
26
-
1365
어륙류
저
2
-
16
4
100
중
3
-
24
15
225
고
-
-
-
-
-
채소류
6
18
12
-
120
지 방
5
-
-
25
225
우 유
1
11
6
6
125
과 일
1
12
-
-
50
계
340
84
50
2145
4. 1일 식품 구성 및 끼니별 배분(식품교환단위)
교환단위수
아침
간식
점심
간식
저녁
열량(Kcal)
곡 류
13
5
4
4
1365
어륙류
저
2
0
1
1
100
중
3
1
1
1
225
고
채 소
6
2
2
2
120
지 방
5
1.5
2
1.5
225
우 유
1
1
125
과 일
1
1
50
열량계
682.5
705
757.5
2145
%
31.8
32.8
35.3
100
5. 식단작성
구분
식단
재료
분량 (g)
교환단위수
열량 (kcal)
당질 (g)
추천자료
충수돌기염 응급실 케이스
설사의 원인 및 진단
급성췌장염(Acute Pancreatitis)케이스스터디
간호실습 소화기 내과 췌두부암
유전공학과 유전식품
복통과 WBC 종류 및 수치
[소화기질환, 식도염, 소화성궤양, 간염, 식이섬유, 소화기, 궤양, 병태생리]소화기질환과 식...
[소화기계, 소화기, 소화기관]소화기계(소화기, 소화기관)와 창자, 급성간염, 소화기계(소화...
Ulcerative colitis(궤양성 대장염)
[기초간호과학3공통]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를 제시하고, 염증의 형태적 분...
[기초간호과학2017]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를 제시하고, 염증의 형태적 분류...
[간호학] 결석 외상 혈관성 대상자의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