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유교
1) 유교에 대하여
2) 선비 정신에 대하여
(2) 이문구 작품 『산너머 남촌』, 『우리동네』
1) 우리 동네
2) 산너머남촌
(3) 작가 이문구
(4) 두 작품에서 보여진 전통사회의 변질 모습
3. 결론
참고문헌
2. 본론
(1) 유교
1) 유교에 대하여
2) 선비 정신에 대하여
(2) 이문구 작품 『산너머 남촌』, 『우리동네』
1) 우리 동네
2) 산너머남촌
(3) 작가 이문구
(4) 두 작품에서 보여진 전통사회의 변질 모습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본성이 어질다는 인(仁) 사상을 기초로 한 인도주의를 주장하며 ‘인(仁)은 사랑의 원리요, 착한 마음씨로서 모든 사람이 본디 타고난 고유한 인간성’이라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인간다운 삶은 바로 이 인간성을 밝혀서 지혜롭고 착하고 용기 있는 인격을 갖추어 자연법칙에 투철한 하늘, 땅의 도덕을 지키고, 사회질서에 철저한 인생의 윤리를 실천하여 행복한 가정, 밝은 사회, 평화로운 세상을 건설하는데서 인간의 본의(本義)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유교는 이와 같이 완전한 인격을 추구하므로 한 평생 배우기를 좋아하고 예절을 즐겨 찾는다. 유교의 경전을 4서5경이라고 하는데 그 학문범위가 대단히 넓은 것은 인간의 지식을 넓혀서 사물의 이치를 통달하여 아름다운 문화사회를 경영하는 충분한 능력을 갖추게 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2) 선비 정신에 대하여
유교 사상 중 선비 정신은 우리의 문학 속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렇다면 선비정신이란 무엇을 뜻할까?
‘선비 논 데 용 나고, 학이 논 데 비늘이 쏟아진다’고 했다. 뛰어난 사람의 행실이나 자취는 반드시 좋은 영향을 남긴다는 뜻이다. 선비가 아닌 사람은 한순간의 벼슬로 살지만, 선비는 정신으로 산다. 많은 사람들이 정신적 사표로 삼기에 일거수 일투족도 시종 올바르게 처신해야했다. ‘선비가 목구멍 때문에 구차해지면 모든 행실이 이지러진다’고 했다. 대부분 선비에게 가난은 그림자처럼 따라다니지만 스스로 늘 자중자애하고 당당할 수 있는 것은 고결한 정신 때문이다. 일상의 삶도 대의를 위한 것이며 나라가 위기에 처해 있을 때 가장 즉각적으로 분연해야 한다는 것은 선비가 스스로 떠맡은 임무이기도 하였다. 그래서 시대가 어려울 때 선비사상은 가장 잘 나타나는 것이다. 일제에게 나라를 유린당했을 때 선비들의 자결이 잇따랐다. 격정을 못 이겨 그런 것이 아니었다. 모든 백성들의 적개심을 고취시키고 기상을 드높여 주기 위해서였다. 살아서는 가슴 서늘한 시정신으로, 나라가 어려울 때는 깨끗한 자결을 통해 겨레의 가슴 속에서 곧은 이념으로 영원히 새겨지는 것이 참다운 선비상 이었다. 한국현대문학 정신사 수업> 양반댁자제들 1주차 발표문. 2005 발표자:이승석
선비는 유교문화의 주역이다 유교전통의 사회에서 가치 기준을 정립하고 수호 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수기치인(修己治人)을 신념으로 자신의 내면에서 밝은 덕을 밝히고 (明明德), 백성을 사랑하는 (新民) 일을 실천하려 평생을 자강불식 한다. 선비는 타고 난 것이 아니라 평생토록 다듬어지는 것이어서 일종의 수도 사를 보아야 한다. 이런 이유로 벼슬한 양반, 즉 사대부와 선비를 구분할 필요 가 있다
(2) 이문구 작품 『우리동네』.『산너머 남촌』
이문구 작가의 작품 『산너머 남촌』, 『우리동네』에서 유교적 측면에서 바라보자면 첫째, 두 작품에는 한국 사회 전체가 그 직전 시대 까지 온존시켰던 전통사회의 모델과 전통적인 문화가치가 지배한 사회를 나타내고있다. 이 전통은 유교적인 모습과 연관 지을 수 있는 것이다. 전통사회 전통문화가치가 지배한 사회란 곧 유교적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작가가 사회문화적의 변동등을 인식하고 있고 그리고 그렇게 인식하는 까닭이 무엇인지도 나타난다. 여기서는 사회가 급변하면서 벌어지는, 거기서 나타나는 전통의 변화 모습을 찾을 수가 있다.
셋째 문화변동의 제 요소들이 표시되고 있고 그 사회적 , 정치적 , 경제적 요인들이 상화관련되어 나타하고 있다 가령, 전통가치 즉 유교적가치가 완고하게 고착되어짐으로써 새로운 가치가 부딪치는 갈등의 문제 같은 것이 말이다.
1) 우리 동네
이문구는 참다운 삶의 세계를 찾아가는데 그것이 바로 『우리 동네』인 것이다.
『우리 동네』(1977~1981)는 연작소설로 주로 농사꾼들의 평범한 삶의 이야기다 그러나 평범이란 밋밋하다는 뜻이 아니다. 그 속에서 소외당한 농민들의 한 맺힌 삶이 있고, 정부의 잘못된 정치에 대한 비판이 있고, 속악스럽게 변해가는 사회애 대한 풍자가 있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농민들이라고 해서 결코 무식하지 않다 ‘촌닭이 관청 닭 눈 빼 먹는다’는 격으로 비판정신은 도시인들, 지식인들을 뺨칠 정도다 어수룩한 행동거지와 투박한 사투리지만 ‘삼베주머니 속 마패 든 격’으로 현실의식은 도신인들, 지식인들에 뒤지지 않는다.
『우리동네』사람들은 하나같이 도시적 문화의 피해자이다. 그들은 그들과 맺어지는 모든 인간관계들에서 항상 득보다는 소실로 돌아옴을 알고 있다. 이 대타관계의 파탄은 『우리동네』전 작품의 공통적이다.
작품『우리동네』는 ‘70년대’ 소설이다. 이 시기는 60년대 후반기에 군사 정권에 의해 주도된 세 차례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엄청나게 재편되는 급격한 변동기라는 점에서, 전통의 문화의 기반이 새로운 문화를 만나면서 점차 현대화로 대체되고 위축되게 된다. 이러한 시대적 변동의 추이는 문학 현상으로 하여금 급격하게 변화하는 문제로 그 지향점을 돌리게 된다.
한 두 번 속아봤던가 재구실하는 농군이라면 하늘이건 관청이건 일찍이 아무것도 믿을 만한 게 없었음을 터득하여, 자기 농토는 자기 요량으로 다스려보겠다는 정신부터 기르지 않으면 안되겠던 것이다 (『우리 동네 김씨』,10쪽)
남 하고 사는 꼴 들여다 보았자 함께 즐거워해주어야 할 건더기가 없었고 배울 게 있던것도 아니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같잖던 꼴은, 이름자나 알려졌다는 것들이 나와서 탤런트나 가수들과 어울려 시시덕거리는 것이었다 미리 꾸며놓은 각본에 맞추어 저희들끼리 지고 이기며 갖은 구색으로 상품을 탄다거나 재롱을 떠는 장난이 시청자들과 무슨 관계가 있기에 프로에 넣어 남이 들여다보도록 마련햇는지, TV 방송국 담당자가 곁에 있으면 귀때기를 후려갈기고 싶은 심정이었던 것이다 (『우리 동네 황씨』,47쪽)
“시방이 어느 판국인지 알구나 허는 소리여? 접때 지서기 허는 말 들어봉께 올 연말까장 우리게 사람이 갚으야 헐 단위조합 빚이 이천이백만 원 돈이라는 겨 알겄어? 조합 빚이 그 지경이면 사채두 이 천만 원을 웃돈다는 애기여 사채할래 사천만 원을 칠십두 가구루 쩌개봐 가구당 평균 얼마 꼴인지 그런 것덜이 크릿스맛쓰는 뭬며 관광계(觀光契)는 다
2) 선비 정신에 대하여
유교 사상 중 선비 정신은 우리의 문학 속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렇다면 선비정신이란 무엇을 뜻할까?
‘선비 논 데 용 나고, 학이 논 데 비늘이 쏟아진다’고 했다. 뛰어난 사람의 행실이나 자취는 반드시 좋은 영향을 남긴다는 뜻이다. 선비가 아닌 사람은 한순간의 벼슬로 살지만, 선비는 정신으로 산다. 많은 사람들이 정신적 사표로 삼기에 일거수 일투족도 시종 올바르게 처신해야했다. ‘선비가 목구멍 때문에 구차해지면 모든 행실이 이지러진다’고 했다. 대부분 선비에게 가난은 그림자처럼 따라다니지만 스스로 늘 자중자애하고 당당할 수 있는 것은 고결한 정신 때문이다. 일상의 삶도 대의를 위한 것이며 나라가 위기에 처해 있을 때 가장 즉각적으로 분연해야 한다는 것은 선비가 스스로 떠맡은 임무이기도 하였다. 그래서 시대가 어려울 때 선비사상은 가장 잘 나타나는 것이다. 일제에게 나라를 유린당했을 때 선비들의 자결이 잇따랐다. 격정을 못 이겨 그런 것이 아니었다. 모든 백성들의 적개심을 고취시키고 기상을 드높여 주기 위해서였다. 살아서는 가슴 서늘한 시정신으로, 나라가 어려울 때는 깨끗한 자결을 통해 겨레의 가슴 속에서 곧은 이념으로 영원히 새겨지는 것이 참다운 선비상 이었다. 한국현대문학 정신사 수업> 양반댁자제들 1주차 발표문. 2005 발표자:이승석
선비는 유교문화의 주역이다 유교전통의 사회에서 가치 기준을 정립하고 수호 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수기치인(修己治人)을 신념으로 자신의 내면에서 밝은 덕을 밝히고 (明明德), 백성을 사랑하는 (新民) 일을 실천하려 평생을 자강불식 한다. 선비는 타고 난 것이 아니라 평생토록 다듬어지는 것이어서 일종의 수도 사를 보아야 한다. 이런 이유로 벼슬한 양반, 즉 사대부와 선비를 구분할 필요 가 있다
(2) 이문구 작품 『우리동네』.『산너머 남촌』
이문구 작가의 작품 『산너머 남촌』, 『우리동네』에서 유교적 측면에서 바라보자면 첫째, 두 작품에는 한국 사회 전체가 그 직전 시대 까지 온존시켰던 전통사회의 모델과 전통적인 문화가치가 지배한 사회를 나타내고있다. 이 전통은 유교적인 모습과 연관 지을 수 있는 것이다. 전통사회 전통문화가치가 지배한 사회란 곧 유교적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작가가 사회문화적의 변동등을 인식하고 있고 그리고 그렇게 인식하는 까닭이 무엇인지도 나타난다. 여기서는 사회가 급변하면서 벌어지는, 거기서 나타나는 전통의 변화 모습을 찾을 수가 있다.
셋째 문화변동의 제 요소들이 표시되고 있고 그 사회적 , 정치적 , 경제적 요인들이 상화관련되어 나타하고 있다 가령, 전통가치 즉 유교적가치가 완고하게 고착되어짐으로써 새로운 가치가 부딪치는 갈등의 문제 같은 것이 말이다.
1) 우리 동네
이문구는 참다운 삶의 세계를 찾아가는데 그것이 바로 『우리 동네』인 것이다.
『우리 동네』(1977~1981)는 연작소설로 주로 농사꾼들의 평범한 삶의 이야기다 그러나 평범이란 밋밋하다는 뜻이 아니다. 그 속에서 소외당한 농민들의 한 맺힌 삶이 있고, 정부의 잘못된 정치에 대한 비판이 있고, 속악스럽게 변해가는 사회애 대한 풍자가 있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농민들이라고 해서 결코 무식하지 않다 ‘촌닭이 관청 닭 눈 빼 먹는다’는 격으로 비판정신은 도시인들, 지식인들을 뺨칠 정도다 어수룩한 행동거지와 투박한 사투리지만 ‘삼베주머니 속 마패 든 격’으로 현실의식은 도신인들, 지식인들에 뒤지지 않는다.
『우리동네』사람들은 하나같이 도시적 문화의 피해자이다. 그들은 그들과 맺어지는 모든 인간관계들에서 항상 득보다는 소실로 돌아옴을 알고 있다. 이 대타관계의 파탄은 『우리동네』전 작품의 공통적이다.
작품『우리동네』는 ‘70년대’ 소설이다. 이 시기는 60년대 후반기에 군사 정권에 의해 주도된 세 차례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엄청나게 재편되는 급격한 변동기라는 점에서, 전통의 문화의 기반이 새로운 문화를 만나면서 점차 현대화로 대체되고 위축되게 된다. 이러한 시대적 변동의 추이는 문학 현상으로 하여금 급격하게 변화하는 문제로 그 지향점을 돌리게 된다.
한 두 번 속아봤던가 재구실하는 농군이라면 하늘이건 관청이건 일찍이 아무것도 믿을 만한 게 없었음을 터득하여, 자기 농토는 자기 요량으로 다스려보겠다는 정신부터 기르지 않으면 안되겠던 것이다 (『우리 동네 김씨』,10쪽)
남 하고 사는 꼴 들여다 보았자 함께 즐거워해주어야 할 건더기가 없었고 배울 게 있던것도 아니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같잖던 꼴은, 이름자나 알려졌다는 것들이 나와서 탤런트나 가수들과 어울려 시시덕거리는 것이었다 미리 꾸며놓은 각본에 맞추어 저희들끼리 지고 이기며 갖은 구색으로 상품을 탄다거나 재롱을 떠는 장난이 시청자들과 무슨 관계가 있기에 프로에 넣어 남이 들여다보도록 마련햇는지, TV 방송국 담당자가 곁에 있으면 귀때기를 후려갈기고 싶은 심정이었던 것이다 (『우리 동네 황씨』,47쪽)
“시방이 어느 판국인지 알구나 허는 소리여? 접때 지서기 허는 말 들어봉께 올 연말까장 우리게 사람이 갚으야 헐 단위조합 빚이 이천이백만 원 돈이라는 겨 알겄어? 조합 빚이 그 지경이면 사채두 이 천만 원을 웃돈다는 애기여 사채할래 사천만 원을 칠십두 가구루 쩌개봐 가구당 평균 얼마 꼴인지 그런 것덜이 크릿스맛쓰는 뭬며 관광계(觀光契)는 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