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화학] 아미노산(amino acid)과 단백질 및 대사 (아미노산의 종류 및 특징, 단백질의 영양가와 구조 및 1차구조 결정법, 단백질 대사의 개요, 아미노산의 분해와 합성, 각 아미노산의 대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화학] 아미노산(amino acid)과 단백질 및 대사 (아미노산의 종류 및 특징, 단백질의 영양가와 구조 및 1차구조 결정법, 단백질 대사의 개요, 아미노산의 분해와 합성, 각 아미노산의 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미노산의 종류 및 특징
2. 등전점(pI)
4. 단백질의 영양가
5. 단백질의 구조
6. 단백질의 1차구조 결정법
7. Peptide, 단백질
8. 단백질 대사의 개요
9. 요소(오르니틴)회로
10. 아미노산의 분해
11. 각 아미노산의 대사
12. 아미노산의 합성
13. 효소

본문내용

기와 유리카르보실기가 증가.
1) 1차구조(primary structure) : 아미노산의 배열 순서(peptide 결합)를 나타낸 구조
2) 2차구조(secondary structure) : 반복적 구조 양상을 보여 주는 독특하게 안정된 아미노산 잔기의 배열로 알파나선, 베타병풍 구조 등이 있다.-α-나선구조가 1회전하는데, 필요한 아미노산 잔기수=3.6개이고, 나선구조가 안정한 이유는 사슬내 수소결합(hydrogen bond) 때문이다-
3) 3차구조(tertiary structure) : Polypeptide 사슬이 아미노산 잔기 R-사슬의 인력, 결합(이온결합, 수소결합, 정전기적 결합, disulfide 결합, 소수성간의 친화력에 의한 결합) 등으로 구부러진 공간 구조. # 3중나선구조를 갖는 단백질: Collagen(Gly, Pro이 풍부)
4) 4차구조(quaternary structure) : 3차구조의 소단위(subunit) 단백질이 모여 배치된 구조. 전체적으로 단백질의 형상에 따라 구상단백질, 섬유상 단백질로 대별된다.
# 구상단백질의 특징: 소수성aa는 내부로 친수성aa는 외부로, 아미노산 배열순서가 3차구조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2차구조(알파나선, 베타병풍)를 기본으로 하여 서로 3차적 공간구조를 취한다.
6. 단백질의 1차구조 결정법:
1) 아미노말단(N-말단) 결정법: ㉮ Sanger 시약(DNFB) ㉯ 염화단실(Dansyl chloride),
㉰ Edman 분해(phenylisothiocyanate, PITC)
2) 카르복시말단(C-말단)결정법: ㉮ carboxylpeptidase법 ㉯ Hydrazine 분해법 ㉰ 환원법
7. Peptide(한 아미노산의 NH2와 다른 아미노산의 COOH와의 결합), 단백질
1) Peptide 특징 ① 평면적 단위 ② 부분적 2중결합(공명구조) ③ 인접한 C-C결합보다 길이가 짧다 ④ CO기와 NH기는 서로 trans 관계이다.
2) 단백질의 분리, 정제: 유기용매 침전, 염석, 투석(반투막을 이용 단백질은 고분자이므로 반투막을 빠져나가지 못하고 저분자인 무기염만 빠져나감), 등전점 침전, 전기영동, 초원심분리, 칼럼크로마토그라피(이온교환, 여지, 흡착, 겔여과) 등
8. 단백질 대사의 개요
: 소장에서 아미노산으로 최종 흡수
1) 아미노산 풀(amino acid pool): 식이 섭취와 단백질 분해 등으로 세포내에 유입되는 아미노산의 양.
① 단백질 합성 대사(아미노산 풀의 크기가 지나치게 클 경우) -- 과잉의 아미노산들이 에너지, 포도당, 지방생성에 사용됨.
② 단백질 분해 대사(단백질 섭취 부족으로 아미노산 풀이 감소할 경우) -- 부족한 아 미노산은 세포내 단백질을 분해하여 사용한다. 성인은 단백질의 합성과 분해가 지속 적으로 일어나서 동적인 평형상태에 있으므로 하루에 섭취하는 단백질량과 체외로 배설되는 양이 같다.
* 위장에서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의 특이성
효소
단백질내의 peptide결합의 분해 지점
Trypsin
R₁= Arg 혹은 Lys
R₂= 어떤 아미노산 잔기라도 가능
Chymotrypsin
R₁= 방향족 아미노산(Phe, Tyr, Trp)
R₂= 어떤 아미노산 잔기라도 가능
Carboxypeptidase A
R₁= 어떤 아미노산 잔기라도 가능
R₂= Arg, Lys, 혹은 Pro 제외한 어떤 C-말단 잔기라도 가능
Elastase
R₁= 하전하지 않은 잔기(중기 잔기)
R₂= 어떤 아미노산 잔기라도 가능
Aminopeptidase
R₁= Polypeptide 사슬의 대부분의 N-말단 잔기
R₂= Pro를 제외한 어떤 잔기라도 가능
Pepsin
R₁= Trp, Phe,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9.22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88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