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택의 특징
- 불교 사상
- 유교 사상
- 음양오행설
- 풍수지리설
- 도참사상
주택의 종류
- 계급별 주택의 종류
- 지방별 주택의 종류
- 평면에 따른 종류
- 지붕재료에 따른 주택의 종류
정원(소쇄원)
- 불교 사상
- 유교 사상
- 음양오행설
- 풍수지리설
- 도참사상
주택의 종류
- 계급별 주택의 종류
- 지방별 주택의 종류
- 평면에 따른 종류
- 지붕재료에 따른 주택의 종류
정원(소쇄원)
본문내용
시하거나 약속하는 신비적 미신적 성격이 짙은 사상체계로서, 풍수지리설과 결합하여 조선시대의 정치, 사회 및 일반생활에 이르기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현재 생활 속에 남아 있는 풍습은 장승, 성황당, 당산, 산신 등의 촌락신이 마을을 지켜 주고, 이 밖에 다양한 가택신들이 가정을 지켜준다고 믿는 민간신을 들수 있다.
◎ 조선시대의 주택 종류
네어버 지식검색
Ⅰ) 계급별 주거형태
상류주택 - 상류주택은 종이품 이상의 벼슬을 한 분별 높은 양반계급이 소유한 사대부가로서 솟을대문이 있는 주택을 의미한다. 조선 중기 이후 부계 중심의 친족 존중과 남녀 차별, 장자 우대 등의 가부장제도 정착으로 상류주택은 그 평면이 하나의 채를 단위로 분화된다. 즉 행랑채, 사랑채, 안채, 별당, 정자, 사당 등의 각종 건축물과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담장, 채와 채 사이를 구분한 담장. 마당으로 구성된다. 상류상택에서는 대문간(바깥 행랑채)이 있고 그 옆이 마구간이며 중문을 들어서면 사랑마당과 사랑채가 있다. 사랑채에는 큰 사랑방과 작은 사랑방이 있으며 그 안 대문을 열면 안채가 있고 안채를 중심으로 아래채, 안사랑채, 곳간채등으로 주거평면이 나타난다.
중류 주택 - 중류 주택은 중인의 주택이거나 부농들이 살았던 규모가 큰 서민주택을 말한다. 그 구분이 명확하지는 않다. 중류주택은 상류주택의 평면과 비슷하거나 규모가 다소 작을 뿐이다. 그리고 상류주택에 비해 지방별 평면의 차이가 없으며 상류주택처럼 안채, 사랑채, 구별되어 있고 그 사이에 중문이 있어 역시 남, 여 공간을 분리하고 있으며 가장의 사랑방과 장자의 작은방, 종부의 안방과 장자부의 건넌방이 뚜렷이 구분되어 있다.
서민주택-서민주택은 일반백성의 주택이긴 하지만 양반이라 할지라도 벼슬을 하지 못하며 서민과 다름없는 주택에 살았던 경우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민가라고 하면 서민주택을 일컫는데 기후의 영향을 받아 지방별 특색이 뚜렷하다. 내부 공간의 특성은 상류주택의 채의 분화와 달리 간의 분화가 그 특징이다. 서민 주택을 지방별로 그 평면을 분류해 보면 남부지방형(경상도, 전라남도 일부). 서부지방형(전라도, 충청도일부), 중부지방형(경기도, 강원도일부), 북부지방형(함경도, 평안도), 제주지방형으로 나눌수 있다. 집의 형태는 一자형 (남부, 서부, 제주형)과 ㄱ자형, ㄷ자형,(중부형), ㅁ자형(강원산간, 북부형)으로 나누어지며 이들 집은 대개 부엌, 방, 마루의 3공간이 평면구성의 기본요소로 되어 있고 집의 종류와 간잡이도 2칸 오두막집(토담집)에서부터 도투마리집, 3~6칸 전툇집 등 다양하다. 서민주택의 내부공간 구성을 살펴보면 3칸집에는 주인 내외가 사용하는 큰방이 부엌과 벽을 사이에 두고 있으며 그 다음 칸이 자녀들이 거처하는 작은 방이 있다. 마루에는 3~4자 남짓한 툇마루가 큰방과 작은방 앞을 가로질로 놓고 있으며 4칸 이상의 주택에는 안청 또는 대청마루가 있고 사랑방, 건넛방이 추가된다. 또 외부공간은 본채 아래채(식솔이 늘어남에 따라 신축함), 헛간채(소마구, 뒷간)와 사립문, 마당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울타리 등으로 구성된다.
네이버 지식 검색
Ⅱ) 지방 주거형태
중부지방 특징 - 방과방 사이에 마루가 있고 ㄱ자 모양의 구조이다. 남부지방보다는 창문이 작고 마루도 좁다. 남부지방과 북부지방의 절충형이다. 마루는 있지만 남부지방보단 좁고 창문의 수도 남부지방보다는 적고 북부지방보다 많은 것이 날씨가 남부지방보다 춥고 북부지방보다 덥기 때문이다.
남부지방 - 방과 마루 부엌이 一자로 나란히 붙어있다. 넓은 대청마루가 있다. 창과 문이 많다. 무더운 여름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개방형구조로 만들어 마루가
◎ 조선시대의 주택 종류
네어버 지식검색
Ⅰ) 계급별 주거형태
상류주택 - 상류주택은 종이품 이상의 벼슬을 한 분별 높은 양반계급이 소유한 사대부가로서 솟을대문이 있는 주택을 의미한다. 조선 중기 이후 부계 중심의 친족 존중과 남녀 차별, 장자 우대 등의 가부장제도 정착으로 상류주택은 그 평면이 하나의 채를 단위로 분화된다. 즉 행랑채, 사랑채, 안채, 별당, 정자, 사당 등의 각종 건축물과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담장, 채와 채 사이를 구분한 담장. 마당으로 구성된다. 상류상택에서는 대문간(바깥 행랑채)이 있고 그 옆이 마구간이며 중문을 들어서면 사랑마당과 사랑채가 있다. 사랑채에는 큰 사랑방과 작은 사랑방이 있으며 그 안 대문을 열면 안채가 있고 안채를 중심으로 아래채, 안사랑채, 곳간채등으로 주거평면이 나타난다.
중류 주택 - 중류 주택은 중인의 주택이거나 부농들이 살았던 규모가 큰 서민주택을 말한다. 그 구분이 명확하지는 않다. 중류주택은 상류주택의 평면과 비슷하거나 규모가 다소 작을 뿐이다. 그리고 상류주택에 비해 지방별 평면의 차이가 없으며 상류주택처럼 안채, 사랑채, 구별되어 있고 그 사이에 중문이 있어 역시 남, 여 공간을 분리하고 있으며 가장의 사랑방과 장자의 작은방, 종부의 안방과 장자부의 건넌방이 뚜렷이 구분되어 있다.
서민주택-서민주택은 일반백성의 주택이긴 하지만 양반이라 할지라도 벼슬을 하지 못하며 서민과 다름없는 주택에 살았던 경우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민가라고 하면 서민주택을 일컫는데 기후의 영향을 받아 지방별 특색이 뚜렷하다. 내부 공간의 특성은 상류주택의 채의 분화와 달리 간의 분화가 그 특징이다. 서민 주택을 지방별로 그 평면을 분류해 보면 남부지방형(경상도, 전라남도 일부). 서부지방형(전라도, 충청도일부), 중부지방형(경기도, 강원도일부), 북부지방형(함경도, 평안도), 제주지방형으로 나눌수 있다. 집의 형태는 一자형 (남부, 서부, 제주형)과 ㄱ자형, ㄷ자형,(중부형), ㅁ자형(강원산간, 북부형)으로 나누어지며 이들 집은 대개 부엌, 방, 마루의 3공간이 평면구성의 기본요소로 되어 있고 집의 종류와 간잡이도 2칸 오두막집(토담집)에서부터 도투마리집, 3~6칸 전툇집 등 다양하다. 서민주택의 내부공간 구성을 살펴보면 3칸집에는 주인 내외가 사용하는 큰방이 부엌과 벽을 사이에 두고 있으며 그 다음 칸이 자녀들이 거처하는 작은 방이 있다. 마루에는 3~4자 남짓한 툇마루가 큰방과 작은방 앞을 가로질로 놓고 있으며 4칸 이상의 주택에는 안청 또는 대청마루가 있고 사랑방, 건넛방이 추가된다. 또 외부공간은 본채 아래채(식솔이 늘어남에 따라 신축함), 헛간채(소마구, 뒷간)와 사립문, 마당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울타리 등으로 구성된다.
네이버 지식 검색
Ⅱ) 지방 주거형태
중부지방 특징 - 방과방 사이에 마루가 있고 ㄱ자 모양의 구조이다. 남부지방보다는 창문이 작고 마루도 좁다. 남부지방과 북부지방의 절충형이다. 마루는 있지만 남부지방보단 좁고 창문의 수도 남부지방보다는 적고 북부지방보다 많은 것이 날씨가 남부지방보다 춥고 북부지방보다 덥기 때문이다.
남부지방 - 방과 마루 부엌이 一자로 나란히 붙어있다. 넓은 대청마루가 있다. 창과 문이 많다. 무더운 여름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개방형구조로 만들어 마루가
추천자료
[여성상][우리나라 여성상][한국 여성상][조선시대][문학][여성운동]우리나라 여성상(여성상,...
일본에서배우는고령화시대국토-주택정책
[법원][조선시대의 법원][법원의 권한][법원의 종류][헌법재판][법원의 재판][재판][조선시대...
불상의 시대별특징(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조선시대)
[한국교육사][고구려][백제][신라][조선][실학][근대]한국교육사 고구려시대교육, 한국교육사...
[조선해어화사][춘향뎐][춘향전][기생][조선시대]조선해어화사와 춘향뎐(춘향전)을 통해 본 ...
고구려시대 시조 여수장우중문시, 신라시대 시조 화왕계, 신라시대 시조 제가야산독서당, 고...
[조선시대 과학기술] 기상학을 통해 살펴본 조선 후기 근대 과학 기술 (조선시대의 기상학, ...
[한국문화사] 조선시대 의복사 - 옷, 의복, 조선시대 의복의 특징과 배경, 남성의 의복, 여성...
[한국문화사] 조선시대의 의복 - 옷, 의복, 조선시대의 복식의 특징(복식금제), 남자의 의복,...
[한국문화사] 조선 시대 의복의 역사 - 의복, 옷의 기원, 조선시대 여성의 옷, 조선시대 남성...
[한국문화사] <조선시대 의복> 조선시대 의복의 특징과 남자 의복 및 여자 의복, 조선시대 수...
[교육철학 및 교육사(Ⅱ)] 조선시대의 교육, 조선후기의 교육사상, 근대의 교육 (조선시대 교...
[사회복지행정] 한국의 사회복지 행정에 관하여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중 한 시대를 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