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신 반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신 반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불법 문신의 폐해 및 부작용
1)인터넷 불법 문신 조심 경보
2)병역 기피 목적 문신 확산
3)부작용 많은 문신용 불법마취제 전국에 유통 확인
4)무면허 의료행위 기승, 피해 우려
5)문신시술 합병증 위험
6)문신 기구 멸균 부실하면 위험
7)영구문신- 평생 지울 수 없는 상처 될 수도
8)불법 문신의 문제점

결론
문신의 의료행위 논란에 대하여

본문내용

염 바이러스 감염자들을 조사한 결과, 문신이 있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9배 이상 많았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불결한 문신 시술이 간염 바이러스의 매개체라고 주장했다.
또한 상처가 난 자리에 새살이 표피 위로 불거지는 비후성 반흔 또는 이른바 켈로이드 체질 사람이 문신 시술을 받을 경우, 그 자리의 살이 표피 위로 솟아올라 피부가 울퉁불퉁해질 수 있다. 간혹 문신에 들어간 색소에 과민 반응이 일어나 접촉성 피부염이나 알레르기성 피부염이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문신을 지우는 방법도 잘못되면 부작용이 일어난다. 김성완 원장은 문신을 지우려고 다시 불법 시술소를 찾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강산성( 욜) 화학물질을 이용하거나, 전기소작기 또는 점 빼는 레이저 등을 잘못 사용해서 화상을 입거나 염증이 생겨 흉터가 크게 남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결론
문신의 의료행위 논란에 대하여
불법 문신의 여러 가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문신을 예술이라고 주장하는 이가 있는가 하면, 어느 중앙일간지의 사설은 우리나라의 법이 잘못되어 예술을 제대로 대접하지 못하는 후진국인 듯 말하고 있다. 그러나 불법 문신의 사회적 폐해 및 부작용을 볼 때 어떠한 형태의 문신도 의료행위이며 의료인만이 이를 행할 수 있어야 한다.
첫째, 의료인이 아닌 문신 시술자의 경우 충분히 소독되지 않은 도구를 사용 하는 등 위생관념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으며, 다양한 합병증의 원인이 되는 등 공중위생에 피해를 끼치고 있다.
둘째, 불법 문신 시술로 인하여 발생한 여러 가지 피해에 대하여, 제대로 보상을 받지 못해 사회적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셋째, 불법 문신은 병역기피의 목적등 사회적 폐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문신을 의료행위로 보아 의료인에게만 문신 시술을 받도록 해야 한다.
문신은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거나 신체와 공중위생에 피해를 발생시키는 우려가 있는 것이므로 단순한 미용술이나 예술행위가 아니라 의료행위에 해당되는 것이 당연하다(2003년 2월 27일 보건복지부 유권해석참고) 따라서 의료인만이 문신을 시술하도록 강력한 단속이 필요하다.
영구문신이든 반영구문신이든 문신은 의료행위이며, 의료인만이 행할 수 있고, 의료행위를 학원에서 교육하고, 이에 대한 자격증을 주는 것도 의료법을 위반하는 행위이므로 즉각 중지되어야 하며 단속을 강화 하여 불법 문신 시술을 근절 하여야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10.13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2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