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교육과정과 교과서 검토
1. 교육과정
(1) 지도상의 유의점: 9항
(2) ‘읽기’ 영역 평가(목표)
(3) 중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어휘’ 관련 지도 내용
2. 교과서
(4) 어휘력 관련 지도 내용과 단원
(5) 학습활동의 문항
(6) 어휘력 관련 ‘평가 중점’ 내용
(7) 치면 칠수록 울섶이 물러 앉으며
(8) 바가지는 팔아다 양식 팔고
(9) 양적 어휘력 평가
(10) 질적 어휘력 평가
Ⅱ. 평가문항지의 검토
1. 수능고사와 학업성취도 평가의 실태
2. 학업성취도 평가지의 문항 분석
3. 수능고사의 문항 분석
1. 교육과정
(1) 지도상의 유의점: 9항
(2) ‘읽기’ 영역 평가(목표)
(3) 중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어휘’ 관련 지도 내용
2. 교과서
(4) 어휘력 관련 지도 내용과 단원
(5) 학습활동의 문항
(6) 어휘력 관련 ‘평가 중점’ 내용
(7) 치면 칠수록 울섶이 물러 앉으며
(8) 바가지는 팔아다 양식 팔고
(9) 양적 어휘력 평가
(10) 질적 어휘력 평가
Ⅱ. 평가문항지의 검토
1. 수능고사와 학업성취도 평가의 실태
2. 학업성취도 평가지의 문항 분석
3. 수능고사의 문항 분석
본문내용
성취도 평가 문항을 대상으로 한다. 전체 25문항 중 듣기 4문항, 쓰기 1문항, 읽기언어문학 영역이 20문항으로 구성된다. 주관식 문항이 8문항으로서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평가 대상 어휘는 4지 선다형으로 되어 있다. 전체 문항(75문항) 중 어휘력 평가 문항은 4문항으로서 아주 낮은 비율이지만 이것은 앞서의 언급에서처럼 학업성취도 평가가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에 기인하는 것이다.
(11)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중 어휘력 관련 문항
a. 위 글의 내용으로 보아 빈 칸 ㉠에 알맞은 낱말은 무엇인지 써라.(4학년 13번)
뜻
낱말
땜질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땜장이
멋이 있는 사람. 멋을 부리는 사람
㉠
b. 가로와 세로 열쇠로 표의 빈 칸을 채우면 ★ 에는 어떤 낱말이 만들어진다. 그 낱말을 높임말로 고쳐 써라.(4학년 18번)
가로 열쇠 ① 무,배추 등으로 만든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반찬
② 톱질을 할 때 쓸려 나오는 가루
세로열쇠 ① 소풍 가서 점심으로 많이 먹지요
② 흥부가 박을 타며, ‘슬근슬근 OO하세.’
①
②
★
c. 다음 문장의 밑줄 그은 ‘조화’는 어떤 뜻으로 쓰였는지 <보기>에서 찾아 번호를 써
라.(4학년 19번) < 여러 사람의 소리가 잘 조화되어야만 듣기 좋은 합창이 된다.>
보기 ① 조화 : 대립이나 어긋남이 없이 서로 잘 어울림.
② 조화 : 종이나 헝겊 따위로 만든 꽃
③ 조화 : 사람의 힘으로는 어떻게 된 것인지 알 수 없을 만큼 야릇하거나 신통한 일
④ 조화 : 사람의 죽음을 슬퍼하고 애석해 하는 뜻으로 바치는 꽃
d. 위 글 (다)의 ㉠에 알맞은 속담은 어느 것인가?(5학년 22번)
① 참외 버리고 호박 먹는다. ② 숭어가 뛰니 망둥이도 뛴다.
③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④ 제 먹기는 싫고 남 주자니 아깝다.
(11a)는 파생어의 조어법을 내용 요소로 한 주관식 문항이다. 그러나 이 문항의 답을 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의 정보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지문 논의의 편의상 ‘읽을 자료’는 ‘지문’으로, 평가하는 내용을 진술하는 부분은 ‘문항’으로, 그리고 평가 대상 또는 평가 보조 어휘는 ‘답지’라고 불러 그 각각을 구분하도록 하겠다.
의 내용에 근거하여 ‘장이’를 써야 한다는 사실과 평가 어휘의 ‘의미’를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따라서 이 문항도 단어의 의미를 알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어휘력 평가 문항이라고 할 수 있다. (11b)는 ‘문제은행식 평가 모형’의 ‘십자말 풀이’ 형의 문항이다. 특히 이러한 문항은 어휘력의 종합적 정보를 알고 있을 것을 요구하는 좋은 평가 방법으로 생각된다. 이 문항의 의도대로라면 각 열쇠에 행당되는 어휘를 알고, 거기서 답을 찾아 내고 다시 이 해당 어휘의 높임말을 알아야 하는 종합적인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이 세 절차는 모두 어휘력 평가와 관련된다. 그러나 가로 열쇠의 두번째 질문에서 바로 답이 나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즉 열쇠를 다 풀이하지 않고도 답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유형의 문항은 2음절 이상의 단어를 평가 대상 어휘로 하거나 마지막 열쇠를 품과 동시에 정답이 나올 수 있는 방법론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11c)는 우선적으로 ‘조화’라는 단어의 문맥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어휘 능력이 필요하다. 이것을 바탕으로 할 때 보기에서 보이는 여러 동음 이의어 중 하나를 정답으로 찾을 수가 있을 것이다. (11d)는 제시문의 내용을 먼저 파악한 후 이에 합당한 속담을 찾는 문항이다. 여기에서는 이들 속담이 갖는 의미를 알아야 한다고 볼 때 어휘력 평가 문항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처럼, 비록 다양한 문항을 대상으로 하지는 못했지만, 어휘력이 하나의 정보만을 통해 평가되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평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내용별로는 문맥적 의미, 단어의 기본의미를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평가 방법으로 볼 때 주관식의 어휘력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중학교의 경우는 학업성취도 평가 95년도에서 97년도까지의 총 6회분이 논의의 대상이 된다. 한 문항지 당 33문항이 출제되었다. 듣기 평가는 4문항이 출제 되었고, 초등학교와 달리 쓰기 평가 문항은 출제되지 않았다. 또한 선택형 문항인 경우는 초등학교에서 4지 선다형을 한 것과 달리 5지 선다형으로 출제되었다. 주관식 문항이 10문항으로 늘었다. 전체 문항(198문항) 중 어휘력 평가 문항은 8문항으로서 아래와 같다. 초등학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취도 평가는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에 따라 이원분류표가 이루어지므로 어휘력 평가 문항의 비율이 높지 않다.
(12) 중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중 어휘력 관련 문항
a 다음 ㉠과 ㉡의 의미 관계가 같은 것끼리 연결된 것은?(95년 1학년 19번)
㉠ ㉡
① 낯 : 얼굴빛 : 광선
② 꽃 : 장미열다 : 닫다
③ 아버지 : 부친악기 : 피아노
④ 자동차 : 버스 미시적 : 거시적
⑤ 많다 : 넉넉하다 민물고기 : 피라미
b. ㉠-㉤을 이용하여 짧은 글을 지은 것 중, 어색한 것은?(96년 1학기 20번)
① 직업의 세계는 정말로 다양한다.
② 그분에게는 소탈한 멋이 느껴진다.
③ 그 물건은 거기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④ 이 건물은 엉성하게 지었기 때문에 튼튼하다.
⑤ 그는 주기적으로 병원에 가서 검진을 받는다.
c. 다음 문장 (가),(나),(다)의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쓰시오.(96 년 1학년 주관식 9번)
(가) 빈대떡은 ( )이 많이 가는 음식이다.
(나) 엄마와 아빠는 ( )이 척척 맞는다.
(다) 철수는 중학생이 되어 전자 오락실에서 ( )을 끊었다.
d. 다음 단어들의 의미 관계가 같은 것끼리 묶인 것은? (97년 1학년 10번)
① 생물 : 동물 = 증기 : 김
② 여자 : 여성 = 붕어 : 금붕어
③ 학용품 : 지우개 = 악기 : 피리
④ 여리다 : 강하다 = 가끔 : 종종
⑤ 넉넉하다 : 풍족하다 = 겉 : 속
e. (나)에서 밑줄 친 ‘주객 전도’의 뜻을 가장 잘 나타낸 속담은?(97년 1학년 17번)
①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
②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11)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중 어휘력 관련 문항
a. 위 글의 내용으로 보아 빈 칸 ㉠에 알맞은 낱말은 무엇인지 써라.(4학년 13번)
뜻
낱말
땜질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땜장이
멋이 있는 사람. 멋을 부리는 사람
㉠
b. 가로와 세로 열쇠로 표의 빈 칸을 채우면 ★ 에는 어떤 낱말이 만들어진다. 그 낱말을 높임말로 고쳐 써라.(4학년 18번)
가로 열쇠 ① 무,배추 등으로 만든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반찬
② 톱질을 할 때 쓸려 나오는 가루
세로열쇠 ① 소풍 가서 점심으로 많이 먹지요
② 흥부가 박을 타며, ‘슬근슬근 OO하세.’
①
②
★
c. 다음 문장의 밑줄 그은 ‘조화’는 어떤 뜻으로 쓰였는지 <보기>에서 찾아 번호를 써
라.(4학년 19번) < 여러 사람의 소리가 잘 조화되어야만 듣기 좋은 합창이 된다.>
보기 ① 조화 : 대립이나 어긋남이 없이 서로 잘 어울림.
② 조화 : 종이나 헝겊 따위로 만든 꽃
③ 조화 : 사람의 힘으로는 어떻게 된 것인지 알 수 없을 만큼 야릇하거나 신통한 일
④ 조화 : 사람의 죽음을 슬퍼하고 애석해 하는 뜻으로 바치는 꽃
d. 위 글 (다)의 ㉠에 알맞은 속담은 어느 것인가?(5학년 22번)
① 참외 버리고 호박 먹는다. ② 숭어가 뛰니 망둥이도 뛴다.
③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④ 제 먹기는 싫고 남 주자니 아깝다.
(11a)는 파생어의 조어법을 내용 요소로 한 주관식 문항이다. 그러나 이 문항의 답을 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의 정보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지문 논의의 편의상 ‘읽을 자료’는 ‘지문’으로, 평가하는 내용을 진술하는 부분은 ‘문항’으로, 그리고 평가 대상 또는 평가 보조 어휘는 ‘답지’라고 불러 그 각각을 구분하도록 하겠다.
의 내용에 근거하여 ‘장이’를 써야 한다는 사실과 평가 어휘의 ‘의미’를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따라서 이 문항도 단어의 의미를 알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어휘력 평가 문항이라고 할 수 있다. (11b)는 ‘문제은행식 평가 모형’의 ‘십자말 풀이’ 형의 문항이다. 특히 이러한 문항은 어휘력의 종합적 정보를 알고 있을 것을 요구하는 좋은 평가 방법으로 생각된다. 이 문항의 의도대로라면 각 열쇠에 행당되는 어휘를 알고, 거기서 답을 찾아 내고 다시 이 해당 어휘의 높임말을 알아야 하는 종합적인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이 세 절차는 모두 어휘력 평가와 관련된다. 그러나 가로 열쇠의 두번째 질문에서 바로 답이 나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즉 열쇠를 다 풀이하지 않고도 답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유형의 문항은 2음절 이상의 단어를 평가 대상 어휘로 하거나 마지막 열쇠를 품과 동시에 정답이 나올 수 있는 방법론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11c)는 우선적으로 ‘조화’라는 단어의 문맥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어휘 능력이 필요하다. 이것을 바탕으로 할 때 보기에서 보이는 여러 동음 이의어 중 하나를 정답으로 찾을 수가 있을 것이다. (11d)는 제시문의 내용을 먼저 파악한 후 이에 합당한 속담을 찾는 문항이다. 여기에서는 이들 속담이 갖는 의미를 알아야 한다고 볼 때 어휘력 평가 문항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처럼, 비록 다양한 문항을 대상으로 하지는 못했지만, 어휘력이 하나의 정보만을 통해 평가되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평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내용별로는 문맥적 의미, 단어의 기본의미를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평가 방법으로 볼 때 주관식의 어휘력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중학교의 경우는 학업성취도 평가 95년도에서 97년도까지의 총 6회분이 논의의 대상이 된다. 한 문항지 당 33문항이 출제되었다. 듣기 평가는 4문항이 출제 되었고, 초등학교와 달리 쓰기 평가 문항은 출제되지 않았다. 또한 선택형 문항인 경우는 초등학교에서 4지 선다형을 한 것과 달리 5지 선다형으로 출제되었다. 주관식 문항이 10문항으로 늘었다. 전체 문항(198문항) 중 어휘력 평가 문항은 8문항으로서 아래와 같다. 초등학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취도 평가는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에 따라 이원분류표가 이루어지므로 어휘력 평가 문항의 비율이 높지 않다.
(12) 중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중 어휘력 관련 문항
a 다음 ㉠과 ㉡의 의미 관계가 같은 것끼리 연결된 것은?(95년 1학년 19번)
㉠ ㉡
① 낯 : 얼굴빛 : 광선
② 꽃 : 장미열다 : 닫다
③ 아버지 : 부친악기 : 피아노
④ 자동차 : 버스 미시적 : 거시적
⑤ 많다 : 넉넉하다 민물고기 : 피라미
b. ㉠-㉤을 이용하여 짧은 글을 지은 것 중, 어색한 것은?(96년 1학기 20번)
① 직업의 세계는 정말로 다양한다.
② 그분에게는 소탈한 멋이 느껴진다.
③ 그 물건은 거기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④ 이 건물은 엉성하게 지었기 때문에 튼튼하다.
⑤ 그는 주기적으로 병원에 가서 검진을 받는다.
c. 다음 문장 (가),(나),(다)의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쓰시오.(96 년 1학년 주관식 9번)
(가) 빈대떡은 ( )이 많이 가는 음식이다.
(나) 엄마와 아빠는 ( )이 척척 맞는다.
(다) 철수는 중학생이 되어 전자 오락실에서 ( )을 끊었다.
d. 다음 단어들의 의미 관계가 같은 것끼리 묶인 것은? (97년 1학년 10번)
① 생물 : 동물 = 증기 : 김
② 여자 : 여성 = 붕어 : 금붕어
③ 학용품 : 지우개 = 악기 : 피리
④ 여리다 : 강하다 = 가끔 : 종종
⑤ 넉넉하다 : 풍족하다 = 겉 : 속
e. (나)에서 밑줄 친 ‘주객 전도’의 뜻을 가장 잘 나타낸 속담은?(97년 1학년 17번)
①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
②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키워드
추천자료
[신행정수도건설][행정수도이전][신행정수도][수도권정책][행정수도]신행정수도건설(행정수도...
외주제작과 외주정책의 추이, 외주제작과 외주정책의 현황, 프랑스 외주제작과 외주정책의 사...
교사정보소양교육(교원정보소양교육)의 의의, 교사정보소양교육(교원정보소양교육)의 현황과 ...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수업) 의미와 유형,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수업) 도입배경과 ...
[인지세와 주세] 인지세와 주세 각각의 정의, 과세대상, 세액, 효율성과 형평성, 현황, 개선...
피자스쿨(PIZZASCHOOL) 마케팅 및 경영전략 (피자시장현황, 저가피자, TAKE-OUT, STP, SWOT, ...
디스타 프로그램(DISTAR Program)에 대한 모든 것 (프로그램의 배경과 현황, 프로그램의 요소...
[노인교육론 4공통]노인교육프로그램 선정하여 (1)현황,내용,교육방법 조사 기술, (2)프로그...
노인교육론 4공통) 노인교육프로그램 하나를 선정하여 현황, 내용, 교육방법 등을 조사하여 ...
[장애인障&#31001;人연금법 개선방안] 장애인연금법 소개, 장애인연금법 지급, 장애인 소...
[장애인연금법 (障碍人年金法) 개선방안] 장애인연금법 소개, 장애인연금법 지급, 장애인 소...
★우수레포트★[성매매 방지 정책] 성매매,성매매의 현황, 성매매 문제점, 성매매 정책 변화, ...
『노인 장기요양보험 제도에 대한 고찰』시설급여를 중심으로 - 노인 장기요양보험 서비스 개...
[노인교육론] 노인교육프로그램 하나를 선정하여 (1)현황, 내용, 교육방법 등을 조사 (2)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