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권][가사문화권][귀인문화권][백제문화권][백월문화권][호남문화권][가사][귀인][백제][백월][호남]가사문화권, 귀인문화권, 백제문화권, 백월문화권, 호남문화권 분석(가사문화권, 귀인문화권, 백제문화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권][가사문화권][귀인문화권][백제문화권][백월문화권][호남문화권][가사][귀인][백제][백월][호남]가사문화권, 귀인문화권, 백제문화권, 백월문화권, 호남문화권 분석(가사문화권, 귀인문화권, 백제문화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가사문화권
1. 식영정
2. 소쇄원
3. 송강정
4. 면앙정
5. 명옥헌원림
6. 독수정원림
7. 환벽당․조대

Ⅱ. 귀인문화권

Ⅲ. 백제문화권

Ⅳ. 백월문화권

Ⅴ. 호남문화권

참고문헌

본문내용

릭터의 제작과 파생상품을 만들며 준비를 함으로써 다가오는 또 다른 의미의 한중 동반자시대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문화산업이란 장차 21세기 전 세계에서 가장 전망이 있는 산업중의 하나가 될 것이며, 또한 반드시 새로운 세기 중국경제의 기간산업이 될 것이다.\"라는 이 말은 북경대학 철학과 학과장인 예랑(葉朗:전국정협위원, 북경대 문화산업연구소장)이 중국의 21세기 문화산업에 대한 전망을 압축하여 언급한 것이다. 중국의 문화가 그 역사 유구하고 오랜 만큼이나 중국의 문화산업 역시 21세기에 두터운 영향력과 문화적인 위력을 떨칠 것으로 예견하는 말이라 하겠다. 중국이 북경올림픽과 상해 국제해양엑스포를 통하여 전 세계 무대에 화려하게 데뷔할 것이라는 사실은 너무나도 분명하다. 이런 점에서 한국의 문화산업의 향후 전망과 전략은 대중국진출 전략과 맞물려 진행되어야 하며, 국내시장이 너무 좁기 때문에 중국의 광활한 시장을 겨냥한 문화산업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韓永進(2002)은 \"문화산업 자체도 경제의 한 구성부분이며, 문화산업의 충분한 발전은 국가의 산업구조를 우량화 할 수 있으며, 경제를 번영하게 하며 취업을 확대하는 데 유리하고, 시민들의 생활의 질량을 높여주며, 전면적으로 사회진보를 실현하는 데에 유리하다. 바로 이것이 이런 배경 아래에서 문화산업이 비로소 시기에 맞추어 생겨난 것이다. \"라고 말하였다. 즉 다시 말하면 중국은 21세기에 문화산업을 발전시키지 않을 수 없는 여러 가지 이유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는 \"문화산업을 발전시키고 부단하게 다양한 부문의 다양한 체계의 다양한 유형의 문화생산과 서비스체계를 형성하게 해야만 비로소 수량, 질량, 다양화 등의 측면에서 군중들의 문화적인 수요를 만족하게 할 수 있다\"고 말하면서 중국의 문화산업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중국의 문화산업의 발전은 한류열풍을 힘입어서 한중동반자적인 관계의 호황을 누리고 있는 우리에게는 한국문화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기회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자면 중국은 현재 21세기 새로운 중국의 모습을 갖추기 위해서 갖가지 방면에서 새로운 변화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며, 우리는 이러한 중국의 21세기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미이며, 이러한 중국의 거대한 변화는 우리에게 있어 매우 의미 있는 변화로 적절하게 분석되어져서 중국의 변화가 바로 한국의 변화이자 한국의 성장의 디딤돌이 되도록 만들어야 할 것이다. 그중에서도 눈여겨 주목해야 할 분야는 캐릭터 애니메이션 분야가 아닐까 생각한다. 과거의 \"배불리 먹고 따듯하게 입는 것(吃飽穿暖)\"에서 \"먹는 데는 영양을 중시하고, 입는 데는 멋진 것을 중시하고, 쓰는 데는 고급을 중시한다(吃講營養,穿講漂亮,用講高 )\"는 모습으로 급속도로 변모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중국이 이미 대중소비시대에 직면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전 중국의 의상생활을 지칭하는 말이 있으니,\'老三裝\'과 \'老三色\'이다. 여기서 \'老三裝\'이란 중산복, 학생복, 해방복을 지칭하는 것이며, \'老三色\'이란 \'흑색, 회색, 푸른색\'을 지칭한다. 현대중국은 전면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으며, WTO로 인하여 서구 사회로부터 전면적인 문화개방을 요구받고 있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藍猫(Blue Cat)이라는 중국 애니메이션영화의 이전과는 보기 드문 성공으로 인하여 중국은 이미 캐릭터상품 연쇄점이 전역에 생겨나고 있는 이러한 변화를 읽어내지 않는다면 우리 한국의 문화산업은 세계적인 문화산업으로 발돋움할 시기를 놓치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중국의 수많은 젊은 플래쉬작가들의 한국의 김재인이라는 마시마로작가를 자신들의 우상으로 보고 중국에서 플래쉬작품을 만들며 끊임없이 중국의 캐릭터애니메이션 산업의 발전에 참여하고 있음을 살펴본다면 중국에서도 플래쉬메일로 인한 바이러스마케팅의 마케팅효과가 얼마나 큰 것인지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單光 는 \"중국이 WTO에 가입한 웨 외국문화상품이 기술, 자금과 시장 운용 등 우세를 가지고 물밀 듯이 들어오니, 우리가 만약에 대응정책이 없다면 아마도 철저하게 실패할 것이다. 외국의 캐릭터와 캐릭터 속에 침투한 가치개념이 주류가 되어서 우리의 다음 세대는 그들의 포로가 될 것이다. \"라는 견해는 급격한 외래문화의 침투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내는 말이다. 이런 점들 때문에 국가신문출판서 음반부문 副司長 치우샤요웨이(寇曉偉)는 \"중국의 상품은 민족화를 실현해야 한다. 그러나 산업발전의 각도에서 본다면 더욱 국제화를 중시해야 한다. 카툰산업이 국제화의 길을 걸어야 하며, 시장을 국내에 머무르게 하지 않고 반드시 국제경영전략을 가져야 하며, 상품이 서구의 주류 매체를 파고들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중국이 21세기 문화산업에서의 자신감을 회복해 가는 이러한 시점에 한국의 한류열풍을 이어서 거대한 중국-전 세계 최대 소비시장인 중국에 한국적인 캐릭터 마시마로(Mashmaro,중국 명칭: 壞壞兎,流氓兎,兎子大王)가 중국 전 도시에 거대한 열풍을 불러내고 있음을 주목할 일이다. 왜냐하면 마시마로의 열풍이란 중국의 한류열풍의 새로운 방향과 21세기 대중국 전략이 문화산업이 주력이 되어야 하며, 또한 캐릭터 애니메이션산업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실례인 것이다. 한류열풍이 지속되면서 한국의 캐릭터 및 디자인 기업들이 중국에서 또 다른 한류열풍을 지속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북경올림픽 이전에 많은 한국 기업들이 새롭게 세계무대에 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김일환 외 1명(2000), 가사문화권 안내판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전남도립대학
나승화 외 1명(2001), 담양군 가사문화권의 관광상품화 전략, 한국문화관광학회
나경수(2011), 3향 문화권(三鄕文化圈) 설정을 위한 호남지역 문화표상의 탐색,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박종호 외 1명(2008), 백제문화권 문화관광 육성전략 방안에 관한 연구, 국제관광산업학회
윤병현(2000), 전통문화권 사인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 호남지역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최보라(2011), 귀인성향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특성에 대한 차이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 가격7,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11.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50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