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Ⅱ. 본론 1
1. 수면장애의 분류 1
2. 수면장애의 종류 1
3. 수면장애의 진단 4
4. 수면장애의 치료 6
Ⅲ . 결론 8
참고문헌 8
Ⅱ. 본론 1
1. 수면장애의 분류 1
2. 수면장애의 종류 1
3. 수면장애의 진단 4
4. 수면장애의 치료 6
Ⅲ . 결론 8
참고문헌 8
본문내용
있다. 예를 들어 불면증 환자의 약 80%는 낮잠을 안 자는 것이 좋다. 그러나 약 20%는 짧은 낮잠을 자는 것이 더 좋은 밤잠을 이루게 한다.(이 경우에는 낮잠으로 안해 밤에 그렇게 심하게 잠을 청하려고 시도하지 않아 보다 이완되어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환자 스스로 찾아내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첫 1주 간은 낮잠을 자지 않고, 매일 잠잔 시간과 깨어 있었던 수면기록을 작성하고, 다음 1주일 간은 매일 짧은 시간의 낮잠을 자고 수면기록을 작성한 후 이를 서로 비교하여 낮잠을 잘 것인지 안 잘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렇게 해도 차이가 분명치 않은 경우에는 위의 작업을 되풀이한다. 각 수면위생의 지침은 앞서 언급된 것을 따르는데 그 중에서 어떤 것이 중요한지는 개인에 따라 다르므로 자신에게 적합한 것을 인식하고 꼭 지키도록 해야 한다.
② 행동치료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행동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① 이완훈련(relaxation training)
② 자극조절법(stimulus control)
③ 수면단축(sleep curtailment)
2) 이완치료
일반적으로 이완치료가 잠드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 이완기술의 종류는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점진적 이완법, 약물, 자기 최면,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등은 이완에 효과가 있다.
중요한 것은 불면증 환자들은 거의 자동적으로 잠들기 전 수분 동안 이완할 때까지 철저하게 훈련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불면증 환자들이 근긴장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나치게 이완되어 있는 사람에게 이완치료를 시키는 것은 오히려 불면증을 악화시킬수도 있다.
3) 자극조절치료(stimulus control therapy)
이 치료의 목표는 침실의 자극을 좌절과 각성이 아닌 빠른 입면과 재연관시키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키 위해서는 환자들에게 침실에 누워 있을 때 깨어 있거나 괴로움을 느낀다면 잠자리의 사용방식을 달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방식은 잠자리를 올바로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 졸릴 때만 잠자리에 들 것.
- 잠자리에서는 오직 잠만 잘 것(독서, TV 시청, 식사는 금할 것).
- 잠들 수 없을 때는 일어나서 다른 방으로 갈 것(졸릴 때까지 기다리고, 졸음이 오면 다시 침실로 들어가고, 그때도 쉽게 잠들 수 없으면 침실을 나올 것).
- 자명종을 설치하고, 매일 밤 잔 시간에 상관없이 아침에는 같은 시간에 일어날 것(이것은 일관된 수면-각성 리듬을 갖도록 도와줌).
- 낮잠자지 말 것.
처음에 이런 과정을 하면 첫날밤은 보통 더 못 자게 된다. 그러나 2, 3일째 밤이 되면, 대개는 피곤함을 느끼고 한두 번만의 시도로 쉽게 잠이 든다.
4) 수면제한치료(sleep restriction therapy)
대부분의 불면증 환자들은 잠자리에 너무 오래 누워 있다. 수면을 줄일수록, 더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고, 덜 깨게 된다. Spielman 등이 개발한 이 방법은 환자들에게 그들이 실제로 잤다고 생각하는 시간(그러나 4시간 이상)만큼만 잠자리에 있으라고 주문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누워 있는 시간의 최소 85% 이상을 자게 되면 그때qnxj 잠자리에 누워 있는 시간을 30분 연장하도록 한다.
5) 약물요법
때로 단기간의 약물요법이 수면위생 개선 또는 행동치료법과 병용된다. 이 경우 항우울제, 항불안제, 기타 수면제 등을 사용하는데, 이때는 반드시 정신과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한다. 잘못된 약물의 사용은 그 자체가 불면증의 원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6) 기타 치료
광선치료, 인지행동집단치료 등도 도움이 된다.
Ⅲ.결론
선행과목인 신경과학입문을 3년 전에 수강하였기 때문에 한 학기 동안 생리심리학을 들으면서 강의에 집중하여도 이해하기 상당히 버거웠던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생리심리학이 정신분석학파나 인간중심학파와 다르게 인간의 행동을 좀더 검증가능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무척 매력적이었고, 그 중에서도 학기 초의 수면장애는 다른 장보다 더 흥미로웠다. 그리하여 본 과제의 주제 또한 수면장애를 선정하게 되었는데, 강의교재에서 제시된 것과 분류가 다르게 되어있는 자료를 찾아보고서 이것도 상당히 색다르다고 판단하여 새롭게 정리해보게되었다. 삶의 2/3를 차지하는 수면, 알면 알수록 정말 흥미로웠다.
Ⅳ.참고문헌
http://provider.healthkorea.net/hi/Disease/Body_list/253.htm
따라서 이 경우에는 환자 스스로 찾아내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첫 1주 간은 낮잠을 자지 않고, 매일 잠잔 시간과 깨어 있었던 수면기록을 작성하고, 다음 1주일 간은 매일 짧은 시간의 낮잠을 자고 수면기록을 작성한 후 이를 서로 비교하여 낮잠을 잘 것인지 안 잘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렇게 해도 차이가 분명치 않은 경우에는 위의 작업을 되풀이한다. 각 수면위생의 지침은 앞서 언급된 것을 따르는데 그 중에서 어떤 것이 중요한지는 개인에 따라 다르므로 자신에게 적합한 것을 인식하고 꼭 지키도록 해야 한다.
② 행동치료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행동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① 이완훈련(relaxation training)
② 자극조절법(stimulus control)
③ 수면단축(sleep curtailment)
2) 이완치료
일반적으로 이완치료가 잠드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 이완기술의 종류는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점진적 이완법, 약물, 자기 최면,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등은 이완에 효과가 있다.
중요한 것은 불면증 환자들은 거의 자동적으로 잠들기 전 수분 동안 이완할 때까지 철저하게 훈련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불면증 환자들이 근긴장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나치게 이완되어 있는 사람에게 이완치료를 시키는 것은 오히려 불면증을 악화시킬수도 있다.
3) 자극조절치료(stimulus control therapy)
이 치료의 목표는 침실의 자극을 좌절과 각성이 아닌 빠른 입면과 재연관시키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키 위해서는 환자들에게 침실에 누워 있을 때 깨어 있거나 괴로움을 느낀다면 잠자리의 사용방식을 달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방식은 잠자리를 올바로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 졸릴 때만 잠자리에 들 것.
- 잠자리에서는 오직 잠만 잘 것(독서, TV 시청, 식사는 금할 것).
- 잠들 수 없을 때는 일어나서 다른 방으로 갈 것(졸릴 때까지 기다리고, 졸음이 오면 다시 침실로 들어가고, 그때도 쉽게 잠들 수 없으면 침실을 나올 것).
- 자명종을 설치하고, 매일 밤 잔 시간에 상관없이 아침에는 같은 시간에 일어날 것(이것은 일관된 수면-각성 리듬을 갖도록 도와줌).
- 낮잠자지 말 것.
처음에 이런 과정을 하면 첫날밤은 보통 더 못 자게 된다. 그러나 2, 3일째 밤이 되면, 대개는 피곤함을 느끼고 한두 번만의 시도로 쉽게 잠이 든다.
4) 수면제한치료(sleep restriction therapy)
대부분의 불면증 환자들은 잠자리에 너무 오래 누워 있다. 수면을 줄일수록, 더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고, 덜 깨게 된다. Spielman 등이 개발한 이 방법은 환자들에게 그들이 실제로 잤다고 생각하는 시간(그러나 4시간 이상)만큼만 잠자리에 있으라고 주문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누워 있는 시간의 최소 85% 이상을 자게 되면 그때qnxj 잠자리에 누워 있는 시간을 30분 연장하도록 한다.
5) 약물요법
때로 단기간의 약물요법이 수면위생 개선 또는 행동치료법과 병용된다. 이 경우 항우울제, 항불안제, 기타 수면제 등을 사용하는데, 이때는 반드시 정신과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한다. 잘못된 약물의 사용은 그 자체가 불면증의 원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6) 기타 치료
광선치료, 인지행동집단치료 등도 도움이 된다.
Ⅲ.결론
선행과목인 신경과학입문을 3년 전에 수강하였기 때문에 한 학기 동안 생리심리학을 들으면서 강의에 집중하여도 이해하기 상당히 버거웠던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생리심리학이 정신분석학파나 인간중심학파와 다르게 인간의 행동을 좀더 검증가능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무척 매력적이었고, 그 중에서도 학기 초의 수면장애는 다른 장보다 더 흥미로웠다. 그리하여 본 과제의 주제 또한 수면장애를 선정하게 되었는데, 강의교재에서 제시된 것과 분류가 다르게 되어있는 자료를 찾아보고서 이것도 상당히 색다르다고 판단하여 새롭게 정리해보게되었다. 삶의 2/3를 차지하는 수면, 알면 알수록 정말 흥미로웠다.
Ⅳ.참고문헌
http://provider.healthkorea.net/hi/Disease/Body_list/253.htm
키워드
추천자료
이상심리학 이상행동 정신병 심리적 장애 정신의학 정신장애 신경증
스트레스와 신체 장애들
심리학 기초에 대한 전반적 개론
심리학의 이해 심리학의 시각 행동적 접근 인지적 접근 심리학의 기원 심리학의 탄생 정신 분...
[심리학][심리학이론][심리학자][심리학 접근 방법][심리학 제관점][심리학파]심리학의 어원,...
심리학 요약 정리
심리학에 대하여..
발달심리의 연구방법
신경의 정의, 종류, 기능, 구조
인지심리학에 관하여
인지심리학에 대하여 설명
[심리학] 심리학의 역사(발달과정,발전과정)
[인간과심리 중간과제물]심리학心理學의 주요 이론 중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