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무신정권의 성립
1. 문벌귀족사회의 동요
2. 이자겸의 난(1126년)
3.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1135)
4. 무신란
5. 사회의 동요
6. 정권안정기-최씨무신정권
2. 자주성의 회복
1. 강동6주의 회복
2. 동북9성의 설치
3.몽고와의 전쟁
1.고려와 몽골의 접촉
2. 몽골과의 전쟁(6차)
3. 농민과 천민들의 항쟁
4. 삼별초의 항쟁
5. 원과의 관계
4. 고려말의 상황
1. 권문세족의 집권
2. 장원의 확대
3. 공민왕의 개혁(1351-1374) : 1368년 원의 멸망
4.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
5. 불교계의 변화
6. 성리학의 전래
1. 문벌귀족사회의 동요
2. 이자겸의 난(1126년)
3.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1135)
4. 무신란
5. 사회의 동요
6. 정권안정기-최씨무신정권
2. 자주성의 회복
1. 강동6주의 회복
2. 동북9성의 설치
3.몽고와의 전쟁
1.고려와 몽골의 접촉
2. 몽골과의 전쟁(6차)
3. 농민과 천민들의 항쟁
4. 삼별초의 항쟁
5. 원과의 관계
4. 고려말의 상황
1. 권문세족의 집권
2. 장원의 확대
3. 공민왕의 개혁(1351-1374) : 1368년 원의 멸망
4.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
5. 불교계의 변화
6. 성리학의 전래
본문내용
일시적 몰락, 도참설, 서경천도론등장
3.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1135)
1)배경 -이자겸의 난 이후 새로운 지배층을 형성한 김부식 중심의 경주 김씨 문벌 세력도 이자겸의 외교정책을 그 대로 계승. 금에 대한 이 같은 굴욕적인 외교 자세는 조정 대신 사이에도 반발을 일으켜 윤언이(윤관의 아들) 같은 이는 ‘칭제북벌(고려왕을 황제로 부르고, 금을 정벌하자)’을 주장.
지방 출신의 신진 관료들에게 명분을 제공. 정지상, 백수한 등 서경 출신의 신진 관리들은 묘청과 함께 서 경(지금의 평양. 당시의 서울은 개경이었다) 천도를 강력히 주장하며 세력을 규합.
-서경파(정지상, 묘청)와 개경파(김부식)의 대립
-서경파의 주장 : 풍수지리설을 바탕. (표면적) 서경으로 천도하면 국가 중흥 (실질적) 북진정책-금국정벌
-개경파의 주장 : 금정벌 불능-사대, 보수유학
2)경과
: 서경파들은 서경천도를 주장하며 서경에 대화궁을 건설
→그러나 벼락으로 대화궁 소실→표면적 이유 정당성 상실→ 서경천도운동 실패
→ 묘청등 서북인의 반란 : 국호를 대위(大爲), 연호를 천개(天開), 군대의 호칭을 천견충의(天遺忠義)
→ 김부식의 지구전술에 의해 토벌됨
3) 결과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은 귀족 사회 내의 족벌과 지역의 대립, 풍수 지리설이 결부된 자주적 전통 사상 과 사대적 유교 정치 사상과의 충돌, 고구려 계승 이념에 대한 의견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얽혀 일어난 것으로 그 뒤 개경의 문신 귀족 세력의 독주를 가능하게 하여 뒤에 무신 정변을 일으키게 하는 원인
서경세력몰락→ 개경파 실권장악→ 김부식, 문하시중이 됨 ⇒ 문치주의 강화 ♣문치주의 강화는 결국
4) 의의 무신란의 근본원인이 됨
: 금에 대한 고려 자주성의 표현으로 봄
4. 무신란
1)원인 - 고려 전기 사회 문신 중심의 정치 : 상대적으로 무신의 차별대우가 행해짐.
정3품직인 상장군이 최고직. 그 위인 재상직은 문신이 독점하여 군대의 최고 통솔권마저도 빼앗김.
군인들의 불평불만 - 평상시 각종 공사에 동원, 군인전 지급 미비(무신정변의 적극 협조)
거란과의 전쟁, 여진 정벌등 무신들의 세력의 성장
2)배경 - 귀족사회 내부 모순 : 이자겸, 묘청의 난 - 숭문천무정책(崇文賤武) - 무신세력의 집적
3)발달
- 1144년 김부식의 아들 김돈중이 무신 정중부의 수염을 태움
- 1170년(의종24년) 왕의 일행이 보현원에 행차할 때 문신 한뢰가 무신 이소옹이 뺨을 때리면서 모욕
- 정중부, 이의방, 이고등이 의종때 보현원 사건(1170년)으로 반란
- 문신을 살육하고 의종을 폐한 후(왕-거제도, 태자-진도) 동생 명종(재위1170 ~ 1197)을 세움(왕은 허수아비)
- 무신집권 : 중방(무반의 합의기구-무신정권 초기의 지배기구)정치 시작, 문벌귀족사회 붕괴
4) 무신정권의 수립(1170~1270)
① 형성기(1170~1196) : 27년간 - 연합정권으로 정국 불안정
- 정권다툼(이고,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 반 무신란(1173년 김보당의 난, 1174년 조위총의 난)
② 확립기(1196~1258) : 4대 63년간 - 최충헌-최우-최항-최의
③ 동요기(1258~1270) : 12년간 - 김인준 - 임연 - 임유무 등 무신정권 몰락기
무신정권의
변천
1170
∫
1270
형성기
27년간
연합정권: 이고→이의방→정중부(70살)→경대승(26살)→이의민(천민출신)
이고→이의방 : 이고가 정권을 완전 장악하려고 이의방을 죽이려다 이를 먼저 안 이의방이 살해
이의방→정중부 : 이의방은 정중부의 아들 정균에 의해 살해-정중부 정권 장악
정중부→경대승 : 정균과 정중부의 사위가 권세를 부리고 심지어 아내를 내
3.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1135)
1)배경 -이자겸의 난 이후 새로운 지배층을 형성한 김부식 중심의 경주 김씨 문벌 세력도 이자겸의 외교정책을 그 대로 계승. 금에 대한 이 같은 굴욕적인 외교 자세는 조정 대신 사이에도 반발을 일으켜 윤언이(윤관의 아들) 같은 이는 ‘칭제북벌(고려왕을 황제로 부르고, 금을 정벌하자)’을 주장.
지방 출신의 신진 관료들에게 명분을 제공. 정지상, 백수한 등 서경 출신의 신진 관리들은 묘청과 함께 서 경(지금의 평양. 당시의 서울은 개경이었다) 천도를 강력히 주장하며 세력을 규합.
-서경파(정지상, 묘청)와 개경파(김부식)의 대립
-서경파의 주장 : 풍수지리설을 바탕. (표면적) 서경으로 천도하면 국가 중흥 (실질적) 북진정책-금국정벌
-개경파의 주장 : 금정벌 불능-사대, 보수유학
2)경과
: 서경파들은 서경천도를 주장하며 서경에 대화궁을 건설
→그러나 벼락으로 대화궁 소실→표면적 이유 정당성 상실→ 서경천도운동 실패
→ 묘청등 서북인의 반란 : 국호를 대위(大爲), 연호를 천개(天開), 군대의 호칭을 천견충의(天遺忠義)
→ 김부식의 지구전술에 의해 토벌됨
3) 결과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은 귀족 사회 내의 족벌과 지역의 대립, 풍수 지리설이 결부된 자주적 전통 사상 과 사대적 유교 정치 사상과의 충돌, 고구려 계승 이념에 대한 의견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얽혀 일어난 것으로 그 뒤 개경의 문신 귀족 세력의 독주를 가능하게 하여 뒤에 무신 정변을 일으키게 하는 원인
서경세력몰락→ 개경파 실권장악→ 김부식, 문하시중이 됨 ⇒ 문치주의 강화 ♣문치주의 강화는 결국
4) 의의 무신란의 근본원인이 됨
: 금에 대한 고려 자주성의 표현으로 봄
4. 무신란
1)원인 - 고려 전기 사회 문신 중심의 정치 : 상대적으로 무신의 차별대우가 행해짐.
정3품직인 상장군이 최고직. 그 위인 재상직은 문신이 독점하여 군대의 최고 통솔권마저도 빼앗김.
군인들의 불평불만 - 평상시 각종 공사에 동원, 군인전 지급 미비(무신정변의 적극 협조)
거란과의 전쟁, 여진 정벌등 무신들의 세력의 성장
2)배경 - 귀족사회 내부 모순 : 이자겸, 묘청의 난 - 숭문천무정책(崇文賤武) - 무신세력의 집적
3)발달
- 1144년 김부식의 아들 김돈중이 무신 정중부의 수염을 태움
- 1170년(의종24년) 왕의 일행이 보현원에 행차할 때 문신 한뢰가 무신 이소옹이 뺨을 때리면서 모욕
- 정중부, 이의방, 이고등이 의종때 보현원 사건(1170년)으로 반란
- 문신을 살육하고 의종을 폐한 후(왕-거제도, 태자-진도) 동생 명종(재위1170 ~ 1197)을 세움(왕은 허수아비)
- 무신집권 : 중방(무반의 합의기구-무신정권 초기의 지배기구)정치 시작, 문벌귀족사회 붕괴
4) 무신정권의 수립(1170~1270)
① 형성기(1170~1196) : 27년간 - 연합정권으로 정국 불안정
- 정권다툼(이고,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 반 무신란(1173년 김보당의 난, 1174년 조위총의 난)
② 확립기(1196~1258) : 4대 63년간 - 최충헌-최우-최항-최의
③ 동요기(1258~1270) : 12년간 - 김인준 - 임연 - 임유무 등 무신정권 몰락기
무신정권의
변천
1170
∫
1270
형성기
27년간
연합정권: 이고→이의방→정중부(70살)→경대승(26살)→이의민(천민출신)
이고→이의방 : 이고가 정권을 완전 장악하려고 이의방을 죽이려다 이를 먼저 안 이의방이 살해
이의방→정중부 : 이의방은 정중부의 아들 정균에 의해 살해-정중부 정권 장악
정중부→경대승 : 정균과 정중부의 사위가 권세를 부리고 심지어 아내를 내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 나라의 중앙정부조직(원, 부, 처, 실, 청, 외국, 위원회)의 변천과정과 배경
모반의 역사 서평
무인정권의 성립과 지배세력의 변화
김부식과 삼국사기
[과외]중학 국사 2-21 귀족 사회의 동요와 무신정권 02
[과외]중학 사회 2-2학기 중간 애상문제 09
[국사수업지도안]문벌귀족사회의 성립과 동요
한국역사의 이해 6장 요약
역사교육과 교수법 지도안 세안 - 고등학교 국사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역사신문(11-11)
교정학 요약본
무신정권과 5.16 군사 쿠데타
13. 문벌귀족 사회의 동요
[핵심총정리]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 수능 완벽 대비(고급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