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Asthma문헌고찰+간호과정적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 Asthma문헌고찰+간호과정적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연구목적
Ⅱ. 문헌고찰
▶ 정의
▶ 원인
▶ 병태생리
▶ 증상
▶ 분류
▶ 진단
▶ 치료
Ⅲ. 간호과정 적용

Ⅳ. 참고문헌 & 실습소감

본문내용

Amspen syr 1ml
PO
연령 및 체중에 따라 1회 2.5~15ml 1일 2회 복용한다
기관지경련 및 점액과다분비 : 기관지 천식, 폐기종, 기관지염
두통, 진전, 근경직, 졸음, 불안, 어지러움발진, 가려움, 혈관부종, 두드러기
용법ㆍ용량에 맞게 투여하여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Ⅳ이 약이 적당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고 투여를 중지한다. 특히 소아에 투여시에는 사용법을 정확히 지도하고 경과를 충분히 관찰한다
Klaricid syr 1ml
po
보통 소아 체중 Kg당 7.5mg을 12시간마다(15mg/Kg/day) 투여한다
유효균종 -
황색포도구균, 폐렴연쇄구균,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임균
드물게 쇽, 아나필락시양 증상(호흡곤란, 경련, 발적 등
3세 환자에 대해 발프로에이트 및 페노바르비탈과 병용투여 하였을 때 이들 약물의 농도가 증가하여 과도한 진정작용이 관찰되었다. 원인과 효과에 대한 상관관계가 성립되지는 않았지만, 발프로에이트 및 페노바르비탈 농도에 대한 모니터링을 고려해야한다.
Maxibupen 뇩
po
1- 2세 : 50-100mg ( 3- 5ml)
류마티양 관절염,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요통 월경곤란증, 수술후 동통
드물게 쇽, 아나필락시양 증상(호흡곤란, 경련, 발적 등
체중이 30kg미만인 어린이는1일량이 500mg(25ml)을 초과해서는 안되며 공복시 투여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물조사
2) 임상검사
항목
결과
참고치
해석
WBC
10.97
3.5 ~ 11.0
증가 : 급성감염(폐렴 등)
RBC
4.63
3.8~5.2
Hgb
11.2
12~16.0
감소 : 빈혈, 암, 신장질환, 정맥내 주입초과
Hct
33.2
35~47
감소 : 급격한 혈액손실, 빈혈, 백혈병, 소화성궤양, 만성신부전, 영양실조
MCV
71.6
86~100.P
감소 : 소적혈구성 빈혈(철결핍성), 악성종양, 류마티스 관절염
MCH
24.2
26~34.P
감소 : 소적혈구성 빈혈
MCHC
33.8
32~36
RDW
14.6
11.5~14.0
증가 : 빈혈
patelet
367
150~450
감소: 골수기능저하, 감염증
증가: 심한 출혈에 대한 보상반응, 백혈병 등
Neutrophil
44.3
50~60
Lymphocyte
39.2
30
~40
감소: Hodgkin\'s disease, 화상, 외상, 쿠싱증후군
증가: 세균성 상기도 감염, 호르몬 질환
Monocyte
7.2
1~7
증가: 감염, Collagen disease
Eosinophil
1.6
0~5
Basophil
1.1
0~3
ESR
77
0~20
증가 : 몸안의 염증 반응
MPV
7.9
6.5~10.5
PCT
0.3
0.15~0.32
3) 화학검사
명칭
검사 결과
참고치
해석
Glucose
117
70~110
증가 : 당뇨병 의심
creatinine
0.37
0.6~0.9
감소 : 탈수, 화상, 출혈등의 신장 외적 병변
BUN
10.24
8.0~20.0
감소 : 빈혈
Total Protein
7.26
6.7~8.3
감소 : 영양실조, 기아, 심한 간질환
AST(SGOT)
30
25~95
증가: 급성간염, 폐쇄성황달, 간질환, 골격근 질환
감소: 비타민B6 결핍증
ALT(SGPT)
14
7~40
증가: 간질환, 황달, 심근경색
감소: 비타민B6 결핍증
albumin
4.19
3.8~5.3
증가: 쇼크, 탈수
감소: 간경병증, 간염, 신증
Bilirubin total
1.2 이하
CRP
2.99
0.4 이하
Na
137.0
136~146
증가: 수분섭취부족
감소: 탈수, 전해질상실
K
5.09
3.5~5.1
증가: 신질환, 외상 칼륨배설저하
감소: 칼륨섭취저하, 구토
Cl
103.6
98~106
증가: 설사감소: 구토, 위액상
Ca
9.8
8.4~10.2
증가: 산독증, 뇨배설저하, 부갑상선기능항진
감소: 알칼리증, 급성췌장염, 지방변
P
5.2
4.8~5.6
A/G
1.4
1.2~2.1
간호진단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사정
S
“.......”
O
①ESR 77
②feve - 38.4℃
③보챔이 늘어남.
간호목표
1. 환아의 체온을 정상 범위로 유지한다.
2. 환아의 보호자가 환아의 고체온 시 간호에 대해 안다.
간호계획
①매 시간 환아의 체온과 상태를 측정하고 관찰한다.
②적절한 수분을 공급해 준다.
③구강상태를 관찰하고 필요시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④.보호자 에게 미온수 요법을 교육하여 시행하도록 한다.
⑤환아가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⑥약 처방 시 투여 후 환아의 반응을 관찰한다.
간호수행
①매 시간 환아의 체온과 상태를 측정하고 관찰한다.
- 1. 매 시간 마다 환아의 체온을 측정하였다.
- 2. 환아의 피부색과 온도를 확인하였다.
②적절한 수분을 공급해 준다.
- 고체온으로 인한 수분상실이 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분공급을 하였다.
③구강상태를 관찰하고 필요시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 구강상태 관찰결과 입마름과 구강점막의 갈라짐이 보이지 않았다.
④.보호자 에게 미온수 요법을 교육하여 시행하도록 한다.
-교육내용 : 27~34℃ 의 미온수로 목욕
증발기전을 통해 열소실이 발생한다.
찬물사용시 혈관수축, 떨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온도 유지
⑤환아가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 신체활동을 줄여 에너지 요구량을 줄였다.
⑥약 처방 시 투여 후 환아의 반응을 관찰한다.
- 맥시부펜 투여 후 환아의 체온이 떨어진 것을 확인 하였다.
이론적 근거
1.열이 있는 동안 체온을 자주 확인한다.
2.피부색과 온도는 열 증상 및 증후를 나타낸다.
3.발열과정 시 구강 점막이 갈라지기 쉬우므로 구강간호가 필요하다.
4.미온수 마사지는 체표면의 증발기전을 통해 열소실을 발생시킨다.
5.에너지 요구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신체활동을 최소로 유지한다.
간호평가
- 환아의 체온이 정상범위 내로 유지되었다.
- 환아의 보호자가 미온수 요법에 대해 알고 환아에 수행 할 수 있다.
- 휴식을 취함으로써 환아가 안정을 취하였다.
참고문헌
- 아동건강간호학 수문사 김미예외 2010
- 기본간호학 수문사 송경애 외 공저 2008
- 국가건강정보포털
- 드러그인포
- 한국만성질환 관리 협회
실습소감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12.09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38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