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일반적 사항
Ⅱ. 병력
Ⅱ-1. 현병력(현제의 건강문제)
Ⅱ-2. 과거력(과거의 건강문제)
Ⅲ. 질병기술
■ 크루프(Croup)
Ⅳ. 간호력 및 신체검진
Ⅳ-1.간호력
Ⅳ-2. 신체사정
Ⅴ. 임상검사 및 진단검사
1) 임상검사
2) 진단검사
Ⅵ. 약물
Ⅶ. 특수치료 및 처치(각종 tube 포함)
Ⅷ. 간호과정
IX. 참고문헌
Ⅱ. 병력
Ⅱ-1. 현병력(현제의 건강문제)
Ⅱ-2. 과거력(과거의 건강문제)
Ⅲ. 질병기술
■ 크루프(Croup)
Ⅳ. 간호력 및 신체검진
Ⅳ-1.간호력
Ⅳ-2. 신체사정
Ⅴ. 임상검사 및 진단검사
1) 임상검사
2) 진단검사
Ⅵ. 약물
Ⅶ. 특수치료 및 처치(각종 tube 포함)
Ⅷ. 간호과정
IX. 참고문헌
본문내용
, 과량투여시 심근괴사, 신독성 등
Atock tab 20mcg
(formoterol
fumarate)
진해거담제
5/13
5/14
5/15
5/16
PO
0.33tab*3
(8시, 13시, 18시)
기관지천식, 급·만성기관지염, 폐기종, 천식성기관지염 등에 대한 기도폐쇄성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증상 완화
두통, 신경과민, 식은땀, 심계항진, 빈맥, 소화불량, 발진, 구내염 등
Plokon tab 3mg [PRN]
(Piprinhydrinate)
항히스타민제
5/13
5/14
5/15
5/16
PO
0.33tab*3
(8시, 13시, 18시)
소양성 피부질환(습진피부염, 피부소양증, 소아스트로플루스, 약진, 중독진, 다형성 삼출성 홍반), 두드러기, 알레르기성 비염, 코감기로 인한 재채기콧물기침
과민증 : 발진 등이 나타날 경우는 투여를 중지
정신신경계 : 때때로 어지러움, 다행감, 불면, 권태감, 졸음, 두중감 드물게 두통
소화기계 : 때때로 구갈, 구역, 식욕부진, 복통
cough syr 1ml [PRN]
(dihydrocodeine
bitartrate)
진해거담제
5/13
5/14
5/15
5/16
PO
4.000ml*3
(8시, 13시, 18시)
만성 염증성 기관지 질환의 증상 개선, 기침을 동반한 호흡기의 급성 염증 완화
드물게 설사, 구역 혹은 구토, 발적, 가려움, 두드러기, 호흡곤란 등
Ventolin Respirator solution 1ml [PRN]
(salbutamol 5mg/ml)
진해거담제
5/13
5/14
5/15
5/16
IH
0.50ml*2
(10시, 21시)
중증의 급성천식(천식지속 상태의 치료) 통상요법으로 효과가 없는 만성 기관지경련의 처치
흔하게 두통, 졸음 드물게 어지러움, 빈맥, 심계항진, 드물게 저칼륨혈증, 때때로 근육통, 구내염, 배뇨장애 등
PRD susp syr 0.1%
(prednisolone)
부신호르몬제
5/13
5/14
5/15
PO
4.000ml*3
(8시, 13시, 18시)
기관지천식,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등 중증 알레르기성 질환으로서 일반적인 처치로는 반응이 없는 질환에게 사용
감염증의 유발, 소아의 성장 억제, 쿠싱증후군,소화정 궤양, 부종, 체액저류, 백혈구 증가, 발열, 피로감 등
Budecort Soln 2ml/vial
(budesonide)
진해거담제
5/14
5/15
5/16
IH
1.000vial*2
(10시, 21시)
유아와 소아의 급성 후두 기관 기관지염(크루프)의 치료
인후통, 구강 및 설염, 구갈, 기침, 구강 칸디다염, 쉰목소리 등
Ⅵ. 약물
Ⅶ. 특수치료 및 처치(각종 tube 포함)
날짜
종류
목적 및 적응증
간호내용
(관리)
결과(부작용 포함)
평가
05/14
05/15
05/16
nebulizer
기관지 확장제나 진해제, 스테로이드 약물 등을 기관지로 직접 분무하여 증상을 완화 시키고 객담을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분무기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분무요법을 받는 동안 적어도 1분간 관찰하여 올바른 방법을 알고 있는지 확인한다.
분무기에 투여할 약물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고 주입하는 방법을 아는지 확인한다.
되도록 앉은 자세를 취하게 하여 폐의
팽창이 용이하게 한다.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 했을 때 빈맥, 심계항진, 현기증, 오심 또는 신경과민을 초래할 수 있음
두드러기나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알레르기 반응
환아의 가래가 많이 묽어짐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결과기준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Ⅷ. 간호과정
S:주관적 자료
- “애가 계속 기침하고 쌕쌕되면서 숨 쉬어요” by 보호자
- “콜록콜록”
(barking cough소리)
O:객관적 자료
- 5/13 RR 40회/분
5/14 RR 36회/분
- hoarseness (+)
- 기침 심하여
nebulizer 적용함.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단기목표)
- 환아는 3일이내에 청진시 호흡음이 정상으로 들린다.
- 환아는 3일이내에 호흡수 20~30회/분을 유지한다.
(장기목표)
환아는 5일이내에 불편감없이 호흡한다.
좌위나 반좌위를 취하게 하고 흉곽 두드리기 및 진동을 한다.
-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 기도 분비물을 내부 벽에서 떼어낼 수 있다.
- 분비물을 액화시키는 것은 물론 흡인되는 공기도 습화시킬 수 있다.
1. 환아 편안해함
2. 환아는 2일이내에 호흡수가 20~30회/분으로 유지되었다.
3. 환아는 3일이내에 barking cough와 hoarsness가 호전되었다.
budesonide가 포함된 용액으로 nebulizer를 적용한다.
필요시 산소를 투여한다.
심호흡을 하도록 교육한다.
- 환기효과를 증진시키고 객담을 끌어올린다.
- 산소요구를 감소 시킨다.
조용한 환경을 조성하게 하고 육체적으로 충분히 안정을 취하도록 교육한다.
S:주관적 자료
- \"계속 열이 안내려요. 집에서도 38도가 넘었어요\"
- “우리애기 몸이 뜨거워요” by 보호자
O:객관적 자료
- BT : 38.3
- chilling (+)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단기목표)
정상체온으로 돌아온다.
하루 이내로 37도 이하로 떨어진다.
(장기목표)
정상체온이 유지된다.
3일 이상 37도 이하를 유지한다.
30도 전후 미온수 마사지
열을 내리기 위함이다.
1. 36.6 checked
2. 갈증/ 피부건조
(-/-)
3. 환아 편안해함
38도 이상일 시 해열제를 준다.
수분섭취를 권장하고 처방된 수액을 준다.
탈수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활력징후 측정
활력징후를 통해 환아의 안위상태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고열로 인한 증상 관찰 (갈증, 피부건조)
고열로 인한 합병증(탈수)를 사정하기 위함이다.
초기사정자료 : problem list
IX. 참고문헌
- 송지호 외 (2012). 원리와 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 현문사.
- ADAMS 외 (2009).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서원미디어.
-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 대한민국 의학정보 센터 KIMS. http://www.kimsonline.co.kr/
- 서울대학교 병원. http://www.snuh.org/
Atock tab 20mcg
(formoterol
fumarate)
진해거담제
5/13
5/14
5/15
5/16
PO
0.33tab*3
(8시, 13시, 18시)
기관지천식, 급·만성기관지염, 폐기종, 천식성기관지염 등에 대한 기도폐쇄성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증상 완화
두통, 신경과민, 식은땀, 심계항진, 빈맥, 소화불량, 발진, 구내염 등
Plokon tab 3mg [PRN]
(Piprinhydrinate)
항히스타민제
5/13
5/14
5/15
5/16
PO
0.33tab*3
(8시, 13시, 18시)
소양성 피부질환(습진피부염, 피부소양증, 소아스트로플루스, 약진, 중독진, 다형성 삼출성 홍반), 두드러기, 알레르기성 비염, 코감기로 인한 재채기콧물기침
과민증 : 발진 등이 나타날 경우는 투여를 중지
정신신경계 : 때때로 어지러움, 다행감, 불면, 권태감, 졸음, 두중감 드물게 두통
소화기계 : 때때로 구갈, 구역, 식욕부진, 복통
cough syr 1ml [PRN]
(dihydrocodeine
bitartrate)
진해거담제
5/13
5/14
5/15
5/16
PO
4.000ml*3
(8시, 13시, 18시)
만성 염증성 기관지 질환의 증상 개선, 기침을 동반한 호흡기의 급성 염증 완화
드물게 설사, 구역 혹은 구토, 발적, 가려움, 두드러기, 호흡곤란 등
Ventolin Respirator solution 1ml [PRN]
(salbutamol 5mg/ml)
진해거담제
5/13
5/14
5/15
5/16
IH
0.50ml*2
(10시, 21시)
중증의 급성천식(천식지속 상태의 치료) 통상요법으로 효과가 없는 만성 기관지경련의 처치
흔하게 두통, 졸음 드물게 어지러움, 빈맥, 심계항진, 드물게 저칼륨혈증, 때때로 근육통, 구내염, 배뇨장애 등
PRD susp syr 0.1%
(prednisolone)
부신호르몬제
5/13
5/14
5/15
PO
4.000ml*3
(8시, 13시, 18시)
기관지천식,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등 중증 알레르기성 질환으로서 일반적인 처치로는 반응이 없는 질환에게 사용
감염증의 유발, 소아의 성장 억제, 쿠싱증후군,소화정 궤양, 부종, 체액저류, 백혈구 증가, 발열, 피로감 등
Budecort Soln 2ml/vial
(budesonide)
진해거담제
5/14
5/15
5/16
IH
1.000vial*2
(10시, 21시)
유아와 소아의 급성 후두 기관 기관지염(크루프)의 치료
인후통, 구강 및 설염, 구갈, 기침, 구강 칸디다염, 쉰목소리 등
Ⅵ. 약물
Ⅶ. 특수치료 및 처치(각종 tube 포함)
날짜
종류
목적 및 적응증
간호내용
(관리)
결과(부작용 포함)
평가
05/14
05/15
05/16
nebulizer
기관지 확장제나 진해제, 스테로이드 약물 등을 기관지로 직접 분무하여 증상을 완화 시키고 객담을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분무기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분무요법을 받는 동안 적어도 1분간 관찰하여 올바른 방법을 알고 있는지 확인한다.
분무기에 투여할 약물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고 주입하는 방법을 아는지 확인한다.
되도록 앉은 자세를 취하게 하여 폐의
팽창이 용이하게 한다.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 했을 때 빈맥, 심계항진, 현기증, 오심 또는 신경과민을 초래할 수 있음
두드러기나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알레르기 반응
환아의 가래가 많이 묽어짐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결과기준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Ⅷ. 간호과정
S:주관적 자료
- “애가 계속 기침하고 쌕쌕되면서 숨 쉬어요” by 보호자
- “콜록콜록”
(barking cough소리)
O:객관적 자료
- 5/13 RR 40회/분
5/14 RR 36회/분
- hoarseness (+)
- 기침 심하여
nebulizer 적용함.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단기목표)
- 환아는 3일이내에 청진시 호흡음이 정상으로 들린다.
- 환아는 3일이내에 호흡수 20~30회/분을 유지한다.
(장기목표)
환아는 5일이내에 불편감없이 호흡한다.
좌위나 반좌위를 취하게 하고 흉곽 두드리기 및 진동을 한다.
-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 기도 분비물을 내부 벽에서 떼어낼 수 있다.
- 분비물을 액화시키는 것은 물론 흡인되는 공기도 습화시킬 수 있다.
1. 환아 편안해함
2. 환아는 2일이내에 호흡수가 20~30회/분으로 유지되었다.
3. 환아는 3일이내에 barking cough와 hoarsness가 호전되었다.
budesonide가 포함된 용액으로 nebulizer를 적용한다.
필요시 산소를 투여한다.
심호흡을 하도록 교육한다.
- 환기효과를 증진시키고 객담을 끌어올린다.
- 산소요구를 감소 시킨다.
조용한 환경을 조성하게 하고 육체적으로 충분히 안정을 취하도록 교육한다.
S:주관적 자료
- \"계속 열이 안내려요. 집에서도 38도가 넘었어요\"
- “우리애기 몸이 뜨거워요” by 보호자
O:객관적 자료
- BT : 38.3
- chilling (+)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단기목표)
정상체온으로 돌아온다.
하루 이내로 37도 이하로 떨어진다.
(장기목표)
정상체온이 유지된다.
3일 이상 37도 이하를 유지한다.
30도 전후 미온수 마사지
열을 내리기 위함이다.
1. 36.6 checked
2. 갈증/ 피부건조
(-/-)
3. 환아 편안해함
38도 이상일 시 해열제를 준다.
수분섭취를 권장하고 처방된 수액을 준다.
탈수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활력징후 측정
활력징후를 통해 환아의 안위상태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고열로 인한 증상 관찰 (갈증, 피부건조)
고열로 인한 합병증(탈수)를 사정하기 위함이다.
초기사정자료 : problem list
IX. 참고문헌
- 송지호 외 (2012). 원리와 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 현문사.
- ADAMS 외 (2009).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서원미디어.
-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 대한민국 의학정보 센터 KIMS. http://www.kimsonline.co.kr/
- 서울대학교 병원. http://www.snuh.org/
추천자료
NSVD 케이스스터디 여성건강간호학
[성인간호학] 췌장염(Pancreatitis)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폐농양(Lung abscess) 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부분)
[성인간호학]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협심증(AP) 스터디케이스
[정신간호학] 정신분열증(SPR) 케이스스터디
[모성간호학] 제왕절개(C-SEC)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실습 : 당뇨병(Diabetes Mellitus)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간질]케이스스터디(Case Study)[Epilepsy],문헌고찰
여성간호학실습 자연분만 질분만 NSVD 케이스스터디
여성간호학실습 Endometriosis 자궁 내막증식증 케이스스터디
정신간호학 실습 주요우울장애 케이스스터디
케이스스터디, 신장암 사례연구, 성인간호학 사례연구
bipolar disorder 조울증 정신간호학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수면장애
소개글